1. 감음정 (減音程) [가:믐정]
한자: 減(덜 감:),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완전 어울림 음정이나 단음정을 반음 낮춘 음정.
2. 객정 (客程) [객쩡]
한자: 客(손 객), 程(한도/길[道] 정)
여행의 과정이나 일정.
3. 겹음정 (겹音程) [겨븜정]
한자: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한 옥타브가 넘는 두 음 사이의 음정. 보통 한 옥타브 좁혀진 음정으로 고쳐 9도는 2도, 10도는 3도와 같이 부른다.
4. 계정 (啓程) [계:정]
한자: 啓(열 계:), 程(한도/길[道] 정)
길을 떠남.
5. 계정 (稽程) [계:정]
한자: 稽(머무를 계:), 程(한도/길[道] 정)
공문서의 처리 기한을 어김.
6. 공정 (工程) [공정]
한자: 工(장인 공), 程(한도/길[道] 정)
「1」일이 진척되는 과정이나 정도.
「2」한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거쳐야 하는 하나하나의 작업 단계.
용례:
- 「1」건물 신축 공사가 90%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 「2」공장 생산품의 불량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모든 공정을 기계화·자동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2」투석 작업이 일단락 지어지고 난 다음 공정은 솟아오른 들둑 위로 흙을 돋워 올리는 성토 작업이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7. 과정 (科程) [과정]
한자: 科(과목 과), 程(한도/길[道] 정)
학교에서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목의 내용과 체계.
용례:
과정이 끝나다.
8. 과정 (過程) [과:정]
한자: 過(지날 과:), 程(한도/길[道] 정)
일이 되어 가는 경로.
용례:
- 발달 과정.
- 진행 과정.
- 과정을 겪다.
- 모든 일은 결과만큼 과정도 중요하다.
- 원작을 번역하는 과정이 끝나면 곧바로 배역을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9. 과정 (課程) [과정]
한자: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1」해야 할 일의 정도.
「2」일정한 기간에 교육하거나 학습하여야 할 과목의 내용과 분량.
「3」대학에서, 일정한 분야의 교수·연구를 위한 전문적인 절차.
용례:
- 「2」오늘로 1학년 1학기 과정을 마치고 여름 방학에 들어간다.
- 「3」정규 과정 이수 계획.
- 「3」과정을 거치다.
10. 교과과정 (敎科課程) [교:과과정]
한자: 敎(가르칠 교:), 科(과목 과),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교과의 배열과 조직을 체계화한 전체적인 계획.
11. 교양과정 (敎養課程) [교:양과정]
한자: 敎(가르칠 교:), 養(기를 양:),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대학에서, 폭넓은 교양을 습득하기 위하여 이수해야 하는 교과 과정.
12. 교육과정 (敎育課程) [교:육꽈정]
한자: 敎(가르칠 교:), 育(기를 육),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1」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교과의 배열과 조직을 체계화한 전체적인 계획.
「2」학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교과 학습 및 생활 영역의 총체.
13. 교정 (敎程) [교:정]
한자: 敎(가르칠 교:), 程(한도/길[道] 정)
「1」가르치는 정도.
「2」가르치는 순서와 방식.
「3」학교에서 교과 과정에 따라 주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편찬한 책.
「4」가르치는 과정.
14. 귀정 (歸程) [귀:정]
한자: 歸(돌아갈 귀:), 程(한도/길[道] 정)
돌아오는 길.
15. 규정 (規程) [규정]
한자: 規(법 규), 程(한도/길[道] 정)
「1」조목별로 정하여 놓은 표준.
「2」행정법상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정하여진 명령 조항을 통틀어 이르는 말.
「3」관공서 따위에서, 내부 조직이나 사무 집행 따위를 정하여 놓은 준칙.
용례:
- 「2」일부 증권사들이 공매도 제한 규정을 위반해 금융 당국으로부터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 「3」업무 규정을 준수하다.
- 「3」노사가 합의한 규정에 따라 퇴직금이 지급될 것입니다.
16. 기정 (起程) [기정]
한자: 起(일어날 기), 程(한도/길[道] 정)
길을 떠남.
17. 노정 (路程) [노:정]
한자: 路(길 로:), 程(한도/길[道] 정)
「1」목적지까지의 거리. 또는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
「2」거쳐 지나가는 길이나 과정.
용례:
- 「1」도합 사십오 리의 산길이니 하루의 노정으로선 단단하다.≪이병주, 지리산≫
- 「2」험난한 노정.
- 「2」그는 혼자서지만 새로운 길을 가는 것이 아니고…영순과 거닐었던 그 노정을 따라 걷고 또 걷는 것이었다.≪주요섭, 미완성≫
18. 단음정 (短音程) [다:늠정]
한자: 短(짧을 단(:)),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장음정을 반음 낮춘 음정.
19. 대장정 (大長程) [대:장정]
한자: 大(큰 대(:)), 長(긴 장(:)), 程(한도/길[道] 정)
멀고 먼 길. 또는 그런 노정.
용례:
- 6개월간 북극 탐험의 대장정에 들어가다.
- 이후로 상철이 월남엘 자원하여 갔다는 소식을 들었다. 어쩌면 그가 따야 할 별을 위한 대장정을 시작한 것일 거라고 그녀는 생각했다.≪한승원, 까치노을≫
20. 도입과정 (導入課程) [도:입꽈정]
한자: 導(인도할 도:), 入(들 입),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동일한 영역 또는 같은 교과에서 한층 더 높은 과정으로 이끄는 예비적 과정.
21. 도정 (道程) [도:정]
한자: 道(길 도:), 程(한도/길[道] 정)
「1」길의 이수(里數).
「2」어떤 장소나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용례:
- 「1」이 지도는 도정이 적혀 있어서 여행자에게 편리하다.
- 「2」한국은 현재 복지 국가로 가는 도정에 있다.
- 「2」성숙한 인격에 이르는 길은 끝이 없는 도정이다.
22. 등정 (登程) [등정]
한자: 登(오를 등), 程(한도/길[道] 정)
길을 떠남.
23. 박사과정 (博士課程) [박싸과정]
한자: 博(넓을 박), 士(선비 사:),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원의 교과 과정.
24. 반음정 (半音程) [바:늠정]
한자: 半(반(半) 반:),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서양 음악에서, 온음의 반이 되는 음정. 고전적 음정의 최소 단위가 되며 열두 개의 반음으로써 한 옥타브가 구성된다.
25. 발정 (發程) [발쩡]
한자: 發(필 발), 程(한도/길[道] 정)
길을 떠남.
용례:
군사들의 발정을 늦추다.
26. 방정 (方程) [방정]
한자: 方(모[棱] 방), 程(한도/길[道] 정)
1세기 무렵에, 중국의 예수(隸首)가 만들었다고 하는 수학서인 ≪구장산술≫ 가운데 한 장(章). 일차 연립 방정식을 가감법(加減法)으로 푸는 것을 다루다.
27. 복무규정 (服務規程) [봉무규정]
한자: 服(옷 복), 務(힘쓸 무:), 規(법 규), 程(한도/길[道] 정)
직무나 임무에 힘쓰는 사람이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한 규정.
용례:
- 복무규정을 엄수하다.
- 군에 입대한 연후에는 복무규정을 잘 준수해야 한다.
28. 복음정 (複音程) [보금정]
한자: 複(겹칠 복),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한 옥타브가 넘는 두 음 사이의 음정. 보통 한 옥타브 좁혀진 음정으로 고쳐 9도는 2도, 10도는 3도와 같이 부른다.
29. 불상정 (不上程) [불쌍정]
한자: 不(아닐 불), 上(윗 상:), 程(한도/길[道] 정)
안건을 회의에 내놓지 아니함.
30. 붕정 (鵬程) [붕정]
한자: 鵬(새 붕), 程(한도/길[道] 정)
한 번에 구만 리를 난다는 상상의 붕새가 날아갈 길이라는 뜻으로, 가야 할 멀고 먼 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1. 빙정 (氷程) [빙정]
한자: 氷(얼음 빙), 程(한도/길[道] 정)
얼음이 언 길.
32. 사무규정 (事務規程) [사:무규정]
한자: 事(일 사:), 務(힘쓸 무:), 規(법 규), 程(한도/길[道] 정)
사무 취급의 절차를 정한 규정.
33. 사정 (射程) [사정]
한자: 射(쏠 사(:)), 程(한도/길[道] 정)
탄알, 포탄, 미사일 따위가 발사되어 도달할 수 있는 곳까지의 거리.
34. 상정 (上程) [상:정]
한자: 上(윗 상:), 程(한도/길[道] 정)
토의할 안건을 회의 석상에 내어놓음.
용례:
국회가 열리고 오 개월이 지나도록 농지 개혁 실시는커녕 농지 개혁법조차 상정이 안 되고 있는 형편이었다.≪조정래, 태백산맥≫
35. 생산공정 (生産工程) [생산공정]
한자: 生(날 생), 産(낳을 산:), 工(장인 공), 程(한도/길[道] 정)
원료나 재료로부터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제조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일련의 과정. 흔히 설계·기술 교육 따위의 계획 공정과 노동력·기계·재료·제품 완성 따위의 제조·작업 공정으로 나뉜다.
36. 생산과정 (生産過程) [생산과:정]
한자: 生(날 생), 産(낳을 산:), 過(지날 과:), 程(한도/길[道] 정)
노동으로 일정한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
용례:
그들의 제안은, 불량품인 원료가 생산 과정을 거쳐서 불합격됐을 때 그 파손품을 공원들이 변상하도록 하지 말 것이었다.≪황석영, 야근≫
37. 석사과정 (碩士課程) [석싸과정]
한자: 碩(클 석), 士(선비 사:), 課(공부할/과정 과(:)), 程(한도/길[道] 정)
석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원의 교과 과정. 입학자는 4년제 대학 졸업자 가운데서 선발하며, 수업 연한은 2년 이상이다.
38. 설정 (雪程) [설쩡]
한자: 雪(눈 설), 程(한도/길[道] 정)
눈에 덮인 길.
39. 수정 (水程) [수정]
한자: 水(물 수), 程(한도/길[道] 정)
배를 타고 물로 다니는 길.
40. 시정 (視程) [시:정]
한자: 視(볼 시:), 程(한도/길[道] 정)
목표물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최대 거리. 대기의 혼탁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쓰인다. 거리에 따라 0~9계급으로 나눈다.
용례:
오전부터 해무가 짙게 끼어 시정이 300m에 불과해 항해가 어려웠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程 한도/길[道] 정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