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세액공제 (稅額控除) [세:액꽁:제]
한자: 稅(세금 세:), 額(이마 액), 控(당길 공:), 除(덜 제)
산출된 세액에서, 정책적으로 일정액을 공제하고 납부할 세금을 정하는 세법 규정.
37. 세제 (洗除) [세:제]
한자: 洗(씻을 세:), 除(덜 제)
더러운 것을 씻어서 없앰.
38. 세제 (歲除) [세:제]
한자: 歲(해 세:), 除(덜 제)
섣달그믐날 밤.
39. 소득공제 (所得控除) [소:득꽁:제]
한자: 所(바 소:), 得(얻을 득), 控(당길 공:), 除(덜 제)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총소득액에서 법으로 정하여진 금액을 빼내는 일. 기초 공제, 부양가족 공제, 의료비 공제 따위가 있다.
40. 소제 (掃除) [소:제]
한자: 掃(쓸[掃除] 소(:)), 除(덜 제)
더럽거나 어지러운 것을 쓸고 닦아서 깨끗하게 함.
용례:
- 소제를 마치다.
- 어머니는 아이에게 방 소제를 시켰다.
41. 승귀제 (乘歸除) [승귀제]
한자: 乘(탈 승), 歸(돌아갈 귀:), 除(덜 제)
곱셈법과 나눗셈법을 아울러 이르는 말.
42. 승제 (乘除) [승제]
한자: 乘(탈 승), 除(덜 제)
「1」곱셈과 나눗셈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곱셈법과 나눗셈법을 아울러 이르는 말.
43. 시험절제 (試驗切除) [시험절쩨]
한자: 試(시험 시(:)), 驗(시험 험:), 切(끊을 절), 除(덜 제)
종양, 궤양 따위의 병을 조사하기 위하여 병이 있는 자리의 조직 일부를 잘라 내는 일. 특히 암과 같은 악성 종양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44. 십일제 (十一除) [시빌쩨]
한자: 十(열 십), 一(한 일), 除(덜 제)
「1」열에서 하나를 덜어 냄.
「2」조선 시대에, 장색(匠色)이 일터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하면 그 물건을 파는 상인이 물건값에서 10분의 1을 심부름 온 사람에게 주던 일.
45. 안전해제 (安全解除) [안전해:제]
한자: 安(편안 안), 全(온전 전), 解(풀 해:), 除(덜 제)
포탄이나 폭탄 신관의 안전장치를 풀어서 폭발할 수 있는 상태로 바꾸는 일. 또는 폭발시킬 준비를 하는 일.
46. 약혼해제 (約婚解除) [야콘해:제]
한자: 約(맺을 약), 婚(혼인할 혼), 解(풀 해:), 除(덜 제)
약혼자가 합의 또는 법정 사유에 의하여 약혼 관계를 해소시키는 행위.
47. 양제 (攘除) [양:제]
한자: 攘(물리칠 양:), 除(덜 제)
물리쳐 없앰.
48. 연제 (連除) [연제]
한자: 連(이을 련), 除(덜 제)
몇 번이고 계속하여 수를 나누는 일.
49. 완제 (完除) [완제]
한자: 完(완전할 완), 除(덜 제)
나눗셈에서, 몫이 정수로만 되고 나머지가 없게 되는 일.
50. 외제 (外除) [외:제]
한자: 外(바깥 외:), 除(덜 제)
내직(內職)에 있던 사람을 외방(外方)의 수령으로 내보내던 일.
51. 의무면제 (義務免除) [의:무면:제]
한자: 義(옳을 의:), 務(힘쓸 무:), 免(면할 면:), 除(덜 제)
어떠한 특정인에게나 특정한 경우에 의무의 부담을 해제하는 일.
52. 인적공제 (人的控除) [인쩍꽁:제]
한자: 人(사람 인), 的(과녁 적), 控(당길 공:), 除(덜 제)
소득세법에서, 배우자·부양가족·장애인에 대한 일정한 몫을 세금에서 덜어 주는 일.
53. 전제 (剪除) [전:제]
한자: 剪(가위 전(:)), 除(덜 제)
불필요한 것을 잘라서 없애 버림.
54. 절제 (切除) [절쩨]
한자: 切(끊을 절), 除(덜 제)
잘라 냄.
용례:
- 절제 부위.
- 절제 수술을 받다.
55. 정제 (庭除) [정제]
한자: 庭(뜰 정), 除(덜 제)
섬돌의 아래. 곧 뜰이나 마당을 이른다.
용례:
정제에서 흙손으로 화초를 재식(栽植)하다가….≪최남선, 심춘순례≫
56. 주제 (誅除) [주:제]
한자: 誅(벨 주), 除(덜 제)
죄를 물어 죽여 없앰.
57. 증거배제 (證據排除) [증거배제]
한자: 證(증거 증), 據(근거 거:), 排(밀칠 배), 除(덜 제)
어떤 증거가 증거 능력이 없거나 그 사건과 관련이 없을 때, 그 증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증거로 하지 않는 일.
58. 징집면제 (徵集免除) [징집면:제]
한자: 徵(부를 징), 集(모을 집), 免(면할 면:), 除(덜 제)
병역 판정 검사의 결과, 복무에 부적합하거나 그 밖의 사정으로 징집을 면제하는 일.
59. 채무면제 (債務免除) [채:무면:제]
한자: 債(빚 채:), 務(힘쓸 무:), 免(면할 면:), 除(덜 제)
대가 없이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한 의사 표시로 채무를 없애 주는 일.
60. 척제 (滌除) [척쩨]
한자: 滌(씻을 척), 除(덜 제)
「1」씻어 없앰.
「2」옛 민법에서, 저당이 된 부동산의 소유권·저당권·영소작권 따위를 취득한 제삼자가 저당권 소멸의 대가로 저당권자에게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거나 공탁하여 저당권을 소멸하는 행위.
61. 철제 (撤除) [철쩨]
한자: 撤(거둘 철), 除(덜 제)
거두어 제거함.
62. 초제 (剿除) [초제]
한자: 剿(끊을/노략질할 초), 除(덜 제)
외적이나 도적의 무리를 무찔러 없앰.
63. 취학면제 (就學免除) [취:항면:제]
한자: 就(나아갈 취:), 學(배울 학), 免(면할 면:), 除(덜 제)
초·중등 교육법에 따라 학교에 들어가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아동의 보호자에 대하여 취학 의무를 면제하는 일. 장애가 있거나 치유가 어려운 병 따위에 걸린 아동에 한하여 인정한다.
64. 폐제 (廢除) [폐:제]
한자: 廢(폐할/버릴 폐:), 除(덜 제)
「1」폐하여져 없어짐.
「2」일정한 법정 원인이 있는 때에, 피상속인(被相續人)의 요구에 의하여 상속인의 자격을 박탈하는 제도.
65. 포함제 (包含除) [포함제]
한자: 包(쌀[裹] 포(:)), 含(머금을 함), 除(덜 제)
어떤 수 안에 다른 수가 몇이나 포함되어 있는가를 구하기 위한 나눗셈. 예를 들면 ‘28일은 몇 주일인가’와 같은 문제를 풀기 위한 나눗셈이다.
66. 합의해제 (合意解除) [하비해:제]
한자: 合(합할 합), 意(뜻 의:), 解(풀 해:), 除(덜 제)
계약 당사자들이 합의하여 계약을 해제하는 일.
67. 해제 (解除) [해:제]
한자: 解(풀 해:), 除(덜 제)
「1」설치하였거나 장비한 것 따위를 풀어 없앰.
「2」묶인 것이나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법령 따위를 풀어 자유롭게 함.
「3」책임을 벗어서 면하게 함.
「4」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의 효력을
당사자의 일방적인 의사 표시에 의하여 소급(遡及)으로 해소함.
용례:
- 「1」패전한 나라의 군인들은 모두 총기 해제를 당하였다.
- 「2」계엄 해제.
- 「2」공습경보 해제.
- 「2」그린벨트 해제.
- 「2」수배 해제.
- 「2」암호 해제.
- 「2」경제 제재의 해제를 요구하다.
- 「2」한바탕 폭풍이 지나간 후에 폭풍 해제 사이렌이 울렸다.
- 「2」나는 오늘 저녁 순환 열차 편에 상경하기로 작정했다. 그 차를 타면 아마 통금 해제 시간 앞뒤에 서울에 떨어질 터였다.≪김원일, 노을≫
- 「3」직위 해제.
68. 해충구제 (害蟲驅除) [해:충구제]
한자: 害(해할 해:), 蟲(벌레 충), 驅(몰 구), 除(덜 제)
농작물이나 과실나무가 성장하고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해로운 벌레를 없애는 일.
69. 혁제 (革除) [혁쩨]
한자: 革(가죽 혁), 除(덜 제)
「1」바람직하지 못한 것을 제거함.
「2」관리의 직책에서 면직함.
「3」제도 따위를 고침.
70. 현역면제 (現役免除) [혀:녁면:제]
한자: 現(나타날 현:), 役(부릴 역), 免(면할 면:), 除(덜 제)
군대에서 현역으로 복무하는 것을 제외시켜 주는 일. 질병, 정신병 및 본인이 없으면 가계를 꾸려 나갈 수 없는 경우 따위의 조건으로 면제한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除 덜 제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