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제 (假題) [가:제]
한자: 假(거짓 가:), 題(제목 제)
임시로 붙인 제목.
용례:
이튿날 나는 ‘계룡산의 현주소’란 가제 아래 어정쩡한 ‘르포’ 기사를 하나 작성한 후 서울로 돌아갔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 가제 (歌題) [가제]
한자: 歌(노래 가), 題(제목 제)
노래의 제목.
3. 개제 (改題) [개:제]
한자: 改(고칠 개(:)), 題(제목 제)
제목을 바꿈. 또는 바꾼 제목.
4. 개제 (開題) [개제]
한자: 開(열 개), 題(제목 제)
경론(經論)의 제목을 설명하고 내용의 대강을 풀이함. 또는 그런 것.
5. 겹명제 (겹命題) [겸명제]
한자: 命(목숨 명:), 題(제목 제)
몇 가지 명제가 ‘또는’, ‘이고’, ‘이면’, ‘-이 아닌’ 따위의 논리어나 그와 같은 말을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고 있는 명제.
6. 경제 (經題) [경제]
한자: 經(지날/글 경), 題(제목 제)
경전의 제목.
7. 경제문제 (經濟問題) [경제문:제]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問(물을 문:), 題(제목 제)
경제 분야에서 연구하고 논쟁하며 해결해야 할 문제.
용례:
경제 공황으로 심각한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다.
8. 과제 (科題) [과제]
한자: 科(과목 과), 題(제목 제)
과거를 볼 때에 내주던 제목(題目).
9. 과제 (課題) [과제]
한자: 課(공부할/과정 과(:)), 題(제목 제)
「1」처리하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
「2」주로 교육 기관 등에서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해 교사나 교수가 학생들에게 내어주는 연구 문제.
용례:
- 「1」당면한 과제.
- 「1」과제가 주어지다.
- 「1」통일은 꼭 이루어야 할 민족의 과제이다.
- 「1」민족 통일은 우리 세대가 완수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 「1」창호에게 대한 춘경이는 운명이 창호를 시험하기 위하여 내던진 한 과제이었다.≪염상섭, 이심≫
- 「2」과제 발표 시간.
- 「2」학교 과제.
- 「2」학기 말 과제.
- 「2」이번에 교수님께서 주신 과제는 조원 간 협력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10. 관제 (官題) [관제]
한자: 官(벼슬 관), 題(제목 제)
소송이나 청원 따위에 대하여 관아에서 내리던 지령.
11. 구제 (舊題) [구:제]
한자: 舊(예 구:), 題(제목 제)
새로 붙인 제목 이전에 원래 쓰던 제목.
12. 글제 (글題) [글쩨]
한자: 題(제목 제)
글의 제목.
용례:
백일장에서 글제를 내다.
13. 기출문제 (旣出問題) [기출문:제]
한자: 旣(이미 기), 出(날[生] 출),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이미 출제되었던 문제.
용례:
- 시험 전날에 기출문제만 풀어 봤어도 그 시험에 합격했을 것이다.
- 올해 시험은 작년과 달리 기출문제와 유사한 유형이 많이 출제되었다.
14. 난문제 (難問題) [난문제]
한자: 難(어려울 난(:)), 問(물을 문:), 題(제목 제)
해결하기 어려운 일이나 사건.
용례:
- 난문제를 만나다.
- 난문제에 부딪치다.
- 난문제에 봉착하다.
- 나는 그런 난문제를 피하기 위해 스웨덴으로 가 버렸으면 하는 공상을 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5. 난제 (難題) [난제]
한자: 難(어려울 난(:)), 題(제목 제)
해결하기 어려운 일이나 사건.
용례:
- 해결해야 할 난제가 산적해 있다.
- 불문(不問)과 타성으로 지나쳐 버린 지난날의 신앙적인 난제가 말할 수 없는 무게로 그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음에 분명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16. 남북문제 (南北問題) [남붕문:제]
한자: 南(남녘 남), 北(북녘 북), 問(물을 문:), 題(제목 제)
「1」북반구의 선진 공업국과 남반구의 개발 도상국 사이의 경제적 격차에서 생기는 정치적·경제적 문제를 통틀어 이르는 말.
「2」한반도의 남측과 북측 사이에 생기는 정치적·사회적 문제를 통틀어 이르는
말.
17. 내제 (內題) [내:제]
한자: 內(안 내:), 題(제목 제)
책의 이름을 속표지나 본문의 첫머리 따위에 적음. 또는 그런 제목.
18. 노사문제 (勞使問題) [노사문:제]
한자: 勞(일할 로(노)), 使(하여금/부릴 사:), 問(물을 문:), 題(제목 제)
노동자와 사용자 사이에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
19. 논제 (論題) [논제]
한자: 論(논할 론), 題(제목 제)
「1」논설이나 논문, 토론 따위의 주제나 제목.
「2」과거 시험에서 출제하던 논(論)의 제목.
「3」하급 관아의 보고에 대하여 상급 관아에서 그 결점을 지적하여 훈령을 보내던 일. 또는 그
훈령.
용례:
- 「1」주요 논제.
- 「1」토론회의 논제를 정하다.
- 「1」오늘 우리가 토론할 논제는 환경 오염이다.
20. 농제 (弄題) [농:제]
한자: 弄(희롱할 롱:), 題(제목 제)
익살스러운 내용을 섞어 쓴 제사(題辭).
21. 대명제 (大命題) [대:명제]
한자: 大(큰 대(:)), 命(목숨 명:), 題(제목 제)
어떤 문제에 대한 가장 기본이 되는 논리적 판단이나 주장을 언어나 기호로 표현한 것.
22. 대제 (大題) [대:제]
한자: 大(큰 대(:)), 題(제목 제)
책의 이름을 편(篇)의 이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3. 도시문제 (都市問題) [도시문:제]
한자: 都(도읍 도), 市(저자 시:), 問(물을 문:), 題(제목 제)
도시의 구조적 불균형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제. 도시 인구의 급격한 증대가 주택·토지·교통·급수·실업·범죄 문제 따위의 원인이 되고 있다.
24. 도제 (圖題) [도제]
한자: 圖(그림 도), 題(제목 제)
작도, 도면, 그림 따위의 제목.
25. 득제 (得題) [득쩨]
한자: 得(얻을 득), 題(제목 제)
「1」글 지을 제목을 받음.
「2」예전에,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 등에 자기에게 이로운 제사(題辭)를 받던 일.
26. 명제 (命題) [명:제]
한자: 命(목숨 명:), 題(제목 제)
「1」시문 따위의 글에 제목을 정함. 또는 그 제목.
「2」어떤 문제에 대한 하나의 논리적 판단 내용과 주장을 언어 또는 기호로 표시한 것.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내용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테면, ‘고래는 포유류이다.’ 따위이다.
용례:
- 「2」논리적 명제.
- 「2」다음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라.
27. 목침제 (木枕題) [목침쩨]
한자: 木(나무 목), 枕(베개 침:), 題(제목 제)
목침으로 머리를 고이고 짓는 글제라는 뜻으로, 아주 짓기 어려운 시문의 글제를 이르는 말.
28. 무제 (無題) [무제]
한자: 無(없을 무), 題(제목 제)
제목이 없음. 흔히 시나 그림 따위에서 제목을 붙이기 어려운 경우에 제목 대신에 사용한다.
29. 문제 (文題) [문제]
한자: 文(글월 문), 題(제목 제)
글의 제목.
30. 문제 (問題) [문:제]
한자: 問(물을 문:), 題(제목 제)
「1」해답을 요구하는 물음.
「2」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
「3」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또는 그런 일.
「4」귀찮은 일이나 말썽.
「5」어떤 사물과
관련되는 일.
용례:
- 「1」연습 문제.
- 「1」문제가 쉽다.
- 「1」문제가 어렵다.
- 「1」문제를 내다.
- 「1」문제를 풀다.
- 「1」문제의 정답을 맞히다.
- 「2」환경 오염 문제.
- 「2」학교는 입학 지원자의 감소로 존폐 문제가 거론되었다.
- 「3」문제가 생기다.
- 「3」문제를 해결하다.
- 「3」문제에 부딪히다.
- 「3」뒤늦게나마 보리 가마를 안전하게 건사하는 일이 여간 큰 문제가 아니었다.≪윤흥길, 장마≫
- 「4」그는 늘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이다.
- 「5」이 일은 가치관에 관한 문제이다.
31. 미제 (謎題) [미제]
한자: 謎(수수께끼 미), 題(제목 제)
수수께끼 같아서 잘 풀 수 없는 어려운 문제.
용례:
- 미제로 남아 있는 문제.
- 그 사건은 결국 미제로 처리되었다.
32. 발달과제 (發達課題) [발딸과제]
한자: 發(필 발), 達(통달할 달), 課(공부할/과정 과(:)), 題(제목 제)
사람의 각 성장 발달 단계에서 습득해야 하는 여러 정신적·신체적 내용.
33. 발제 (發題) [발쩨]
한자: 發(필 발), 題(제목 제)
토론회나 연구회 따위에서 어떤 주제를 맡아 조사하고 발표함.
용례:
이번 토론회에는 다섯 명의 발표자가 발제를 맡았다.
34. 방제 (旁題) [방제]
한자: 旁(곁 방:), 題(제목 제)
신주의 아래 왼쪽에 쓴 제사를 받드는 사람의 이름.
35. 배제 (背題) [배:제]
한자: 背(등 배:), 題(제목 제)
백성이 낸 소장(訴狀) 뒤에 판결한 내용을 적는 일. 또는 그 내용.
36. 법률문제 (法律問題) [범뉼문:제]
한자: 法(법 법), 律(법칙 률),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소송법에서, 법원이 재판을 행하는 작용 중에서 법률의 해석 및 법규의 적용을 포함한 법률적 평가의 대상이 되는 문제.
37. 별문제 (別問題) [별문제]
한자: 別(다를/나눌 별), 問(물을 문:), 題(제목 제)
「1」관계가 없는 다른 문제.
「2」보통과는 다른 별난 문제.
용례:
- 「1」아는 것과 가르치는 것은 별문제이다.
- 「1」토정비결이 맞고 안 맞고는 과학성과는 별문제이다.
- 「1」사고로 그랬다면 별문제지만 이놈은 일부러 자기 몸을 상했습니다.≪홍성원, 육이오≫
- 「2」먹고사는 데 별문제 없이 지내고 있다.
- 「2」사람이 똑똑하고 생각도 건전하니까 너만 결심하면 별문제가 없을 거다.≪박경리, 토지≫
38. 보제 (補題) [보:제]
한자: 補(기울 보:), 題(제목 제)
어떤 정리를 증명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예비적인 정리. 이것을 증명한 다음에 본제(本題)의 정리를 증명한다.
39. 본문제 (本問題) [본문제]
한자: 本(근본 본), 問(물을 문:), 題(제목 제)
본디의 근본이 되는 문제.
용례:
본문제로 돌아가서 당신에게 다시 묻겠습니다.
40. 본제 (本題) [본제]
한자: 本(근본 본), 題(제목 제)
「1」근간이 되는 제목이나 과제.
「2」본디의 제목.
용례:
- 「1」본제에 따라 글을 써라.
- 「1」오늘의 성호에 대한 심문이 크리스천 주보에 쓴 글은 부차적이고, 그 노트에 관한 사건이 본제였으니….≪황순원, 움직이는 성≫
41. 봉제 (封題) [봉제]
한자: 封(봉할 봉), 題(제목 제)
편지를 봉하고 겉봉을 씀.
42. 부제 (副題) [부:제]
한자: 副(버금 부:), 題(제목 제)
서적, 논문, 문예 작품 따위의 제목에 덧붙어 그것을 보충하는 제목.
용례:
- 부제를 달다.
- 부제를 붙이다.
43. 부제 (賦題) [부:제]
한자: 賦(부세 부:), 題(제목 제)
과거에서, 부(賦)를 지을 때 내던 글의 제목.
44. 부주제 (副主題) [부:주제]
한자: 副(버금 부:), 主(임금/주인 주), 題(제목 제)
악곡의 주제 가운데 주요 주제를 돕는 부차적인 주제.
45. 부표제 (副標題) [부:표제]
한자: 副(버금 부:), 標(표할 표), 題(제목 제)
서적, 논문, 문예 작품 따위의 제목에 덧붙어 그것을 보충하는 제목.
46. 사회문제 (社會問題) [사회문:제]
한자: 社(모일 사), 會(모일 회:),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사회 제도의 결함이나 모순으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 실업 문제, 교통 문제, 주택 문제, 공해 문제, 청소년 문제 따위가 있다.
47. 서제 (序題) [서:제]
한자: 序(차례 서:), 題(제목 제)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48. 서제 (書題) [서제]
한자: 書(글 서), 題(제목 제)
조선 시대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문서의 기록과 관리를 맡아보던 하급의 구실아치.
49. 설제 (設題) [설쩨]
한자: 設(베풀 설), 題(제목 제)
문제를 새로 만들거나 제목을 정함. 또는 그 문제나 제목.
50. 소제 (小題) [소:제]
한자: 小(작을 소:), 題(제목 제)
책의 편명(篇名)을 그 책의 이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그 저서는 소제가 더 유명하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題 제목 제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