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除 덜 제 - 1

1. 가감승제 (加減乘除) [가감승제]

한자: 加(더할 가), 減(덜 감:), 乘(탈 승), 除(덜 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서당에는 근처도 안 갔지만, 제법 글도 혼자서 깨치고 수 계산 같은 것은 가감승제를 자유롭게 해서 무지한 농민들을 놀라게 했다.≪유현종, 들불≫

2. 가면제 (假免除) [가:면제]

한자: 假(거짓 가:), 免(면할 면:), 除(덜 제)

어떤 조건 아래에서 임시로 의무의 부담을 면제함.

3. 가제 (加除) [가제]

한자: 加(더할 가), 除(덜 제)

「1」더하거나 뺌.
「2」글의 내용을 검토하여 첨삭하거나 고침.
「3」덧셈과 나눗셈을 아울러 이르는 말.

4. 개제 (改除) [개:제]

한자: 改(고칠 개(:)), 除(덜 제)

감원 또는 기구 개편 따위로 말미암아 벼슬아치를 전임하거나 전보하던 인사이동.

5. 개제 (開除) [개제]

한자: 開(열 개), 除(덜 제)

「1」널리 열어서 헤침.
「2」장애물 따위를 헤쳐 없애 버림.

6. 경찰면제 (警察免除) [경:찰면:제]

한자: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免(면할 면:), 除(덜 제)

긴급한 목적을 위하여 특정한 사람에게 주어진, 경찰 의무를 해제하는 행정 처분.

7. 계약해제 (契約解除) [계:야캐:재]

한자: 契(맺을 계:), 約(맺을 약), 解(풀 해:), 除(덜 제)

현재 효력을 지니고 있는 계약을 소멸시키는 일. 상대편에 대한 의사 표시로 행하며, 취소하지 못한다.

용례:

  • 계약 해제를 하다.
  • 구단은 선수 전원에 대하여 계약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

8. 계제 (計除) [계:제]

한자: 計(셀 계:), 除(덜 제)

셈을 따져서 제할 것을 제함.

9. 계제 (階除) [계제]

한자: 階(섬돌 계), 除(덜 제)

걸어서 층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턱이 지게 만들어 놓은 설비.

10. 고제 (扣▽除) [고제]

한자: 扣(두드릴 구), 除(덜 제)

셈하여 내어줄 때 덜 것을 미리 덞.

11. 공제 (公除) [공제]

한자: 公(공평할 공), 除(덜 제)

왕이나 왕비가 죽은 뒤 36일 동안 일반 공무(公務)를 중지하고 조의를 표하던 일.

용례:

전에 정한 날짜가 달로 말하면 이미 한 달이 넘었고 날로 말하면 공제가 이미 지났으니, 미안한 뜻이 없을 듯합니다.≪번역 인조실록≫

12. 공제 (控除) [공:제]

한자: 控(당길 공:), 除(덜 제)

「1」받을 몫에서 일정한 금액이나 수량을 뺌.
「2」바둑에서, 맞바둑의 경우 흑이 백에게 몇 집을 더 주는 일.

용례:

「1」기부금 공제.

13. 구제 (驅除) [구제]

한자: 驅(몰 구), 除(덜 제)

해충 따위를 몰아내어 없앰.

용례:

  • 기생충 구제.
  • 송충이 구제.
  • 해충 구제 사업.

14. 귀제 (歸除) [귀:제]

한자: 歸(돌아갈 귀:), 除(덜 제)

산가지나 주산으로 구귀가를 응용하여 셈하는 나눗셈.

15. 근로공제 (勤勞控除) [글:로공:제]

한자: 勤(부지런할 근(:)), 勞(일할 로), 控(당길 공:), 除(덜 제)

근로 소득에 대하여 과세할 때에, 특별한 기준을 세워 일정 부분만큼에 대하여는 세금을 면제하여 주는 일.

16. 기초공제 (基礎控除) [기초공:제]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控(당길 공:), 除(덜 제)

세금을 물리는 소득 금액을 산정할 때 총소득 금액에서 일정한 금액을 빼는 것. 납세 의무자의 조세 부담을 덜고 최저 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17. 노제 (老除) [노:제]

한자: 老(늙을 로:), 除(덜 제)

나이가 들어 군에서 제대함. 또는 늙은 군인을 제대시킴.

용례:

이 섬 백성은 여섯 살에 군적(軍籍)에 오르면 칠팔십이 되어도 법대로 노제를 못 받고 숨 넘어가는 날까지 군역을 치르느라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8. 등분제 (等分除) [등:분제]

한자: 等(무리 등:), 分(나눌 분(:)), 除(덜 제)

어떤 수를 똑같이 몇으로 나누기 위한 나눗셈. 예를 들면, ‘사과 28개를 일곱 사람이 똑같이 나누어 갖는다면 몇 개씩 가져야 하는가.’와 같은 문제를 풀기 위한 나눗셈이다.

19. 면제 (免除) [면:제]

한자: 免(면할 면:), 除(덜 제)

「1」책임이나 의무 따위를 면하여 줌.
「2」채권자가 일방적인 의사 표시로써 대가 없이 채무자의 채무를 면하여 주는 일.

용례:

  • 「1」세금 면제.
  • 「1」소작료 면제.
  • 「1」수업료 면제.

20. 무장해제 (武裝解除) [무:장해:제]

한자: 武(호반 무:), 裝(꾸밀 장), 解(풀 해:), 除(덜 제)

항복한 군인이나 포로의 무기를 빼앗는 일. 또는 중립국 영토 안에 들어온 교전국 병력의 전투 장비를 일시적으로 빼앗는 일.

용례:

무장 해제를 당하다.

21. 방제 (防除) [방제]

한자: 防(막을 방), 除(덜 제)

「1」재앙을 미리 막아 없앰.
「2」병충해를 예방하거나 해충을 없앰.

용례:

  • 「2」장마가 끝난 뒤에는 특히 병충해 방제를 위해 농약을 뿌려야 한다.
  • 「2」미리 농약을 준비해 방제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22. 배당공제 (配當控除) [배:당공:제]

한자: 配(나눌/짝 배:), 當(마땅 당), 控(당길 공:), 除(덜 제)

소득세를 계산할 때, 종합 소득세의 과세 표준에 배당 소득 금액이 합산되어 있는 경우 일정한 금액을 종합 소득 산출 세액에서 공제하는 일.

23. 배제 (排除) [배제]

한자: 排(밀칠 배), 除(덜 제)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물리쳐 제외함.

용례:

폭력의 배제.

24. 벽제 (辟除) [벽쩨]

한자: 辟(물리칠 벽), 除(덜 제)

지위가 높은 사람이 행차할 때, 구종(驅從) 별배(別陪)가 잡인의 통행을 금하던 일.

25. 변제 (變除) [변:제]

한자: 變(변할 변:), 除(덜 제)

상복을 바꾸어 입는 일. 소상을 마친 뒤에 상복을 빨고 수질(首絰)을 벗으며, 대상을 마친 뒤에 상복을 아주 벗는다.

26. 별제 (別除) [별쩨]

한자: 別(다를/나눌 별), 除(덜 제)

특별히 제외함.

27. 병역면제 (兵役免除) [병역면:제]

한자: 兵(병사 병), 役(부릴 역), 免(면할 면:), 除(덜 제)

장애자나 폐질자 등에 대하여 병역을 면제하는 일.

28. 복제 (復除) [복쩨]

한자: 復(회복할 복), 除(덜 제)

노인이나 병자, 학자, 군인 등에 부과한 부역이나 조세를 면제하던 일.

29. 부양공제 (扶養控除) [부양공:제]

한자: 扶(도울 부), 養(기를 양:), 控(당길 공:), 除(덜 제)

소득세를 계산할 때 부양가족의 수에 따라 일정액을 소득액에서 공제하는 일.

30. 불임방제 (不妊防除) [부림방제]

한자: 不(아닐 불), 妊(아이밸 임:), 防(막을 방), 除(덜 제)

암수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을 불임 상태로 만들어 해충의 증식을 막는 방법.

31. 불제 (祓除) [불쩨]

한자: 祓(푸닥거리할 불), 除(덜 제)

재앙을 물리침.

용례:

오늘날에도 굿은 불제의 한 방편으로 이용된다.

32. 삭제 (削除) [삭쩨]

한자: 削(깎을 삭), 除(덜 제)

「1」깎아 없애거나 지워 버림.
「2」화면(畫面)에 표시된 문자를 지우는 일. 또는 파일 내에 저장된 기록을 제거하거나 기억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지우는 일.

용례:

  • 「1」회원들은 회칙에서 필요 없는 조항의 삭제를 요구했다.
  • 「1」이번에 방영된 프로그램 중 일부 내용은 방송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삭제를 강요받기도 했다.

33. 산제 (刪除) [산:제]

한자: 刪(깎을 산), 除(덜 제)

필요 없는 글자나 글귀를 지워 버림.

34. 삼제 (芟除) [삼제]

한자: 芟(풀벨 삼), 除(덜 제)

풀을 깎듯이 베어 없애 버림.

35. 선제 (先除) [선제]

한자: 先(먼저 선), 除(덜 제)

먼저 뺌.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除 덜 제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