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帝 임금 제:

1. 반제 (反帝) [반:제]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帝(임금 제:)

우월한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다른 나라나 후진 민족을 정벌하려는 침략주의를 반대하는 경향.

용례:

  • 반제 반봉건 운동.
  • 반제 사상.
  • 반제와 반일 투쟁.

2. 상제 (上帝) [상:제]

한자: 上(윗 상:), 帝(임금 제:)

「1」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서 각각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불가사의한 능력으로써 선악을 판단하고 길흉화복을 인간에게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중국에 가톨릭교가 처음 도래하였을 때 가톨릭교의 하느님을 이르던 말.

용례:

「1」그 본체를 가톨릭에선 천주라고 하고, 도교에선 도라고 하고 회교에선 알라라고 하는데 우리는 상제라고 부르고 있는 거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3. 신제 (新帝) [신제]

한자: 新(새 신), 帝(임금 제:)

새로 즉위한 황제.

용례:

신제의 명을 받들어 국가 체제를 재정비하다.

4. 예황제 (예皇帝) [예:황제]

한자: nan

별로 하는 일 없이 호의호식하며 안락하게 지내는 왕.

용례:

중앙 통로 편으로 걸상 한 귀퉁이를 얻어서 끼어 앉은 나는 오히려 예황제 팔자….≪이희승, 벙어리 냉가슴≫

5. 옥제 (玉帝) [옥쩨]

한자: 玉(구슬 옥), 帝(임금 제:)

흔히 도가(道家)에서, ‘하느님’을 이르는 말.

용례:

이곳은 다른 데가 아니라 곧 여러 신선들이 모여 노는 봉래산인데 옥제께서 그대와 정혼하였던 경원 소저를 불쌍히 여기사 영주군을 봉하여 이곳에 머무르게 하시고….≪최찬식, 금강문≫

6. 옥황상제 (玉皇上帝) [오쾅상:제]

한자: 玉(구슬 옥), 皇(임금 황), 上(윗 상:), 帝(임금 제:)

흔히 도가(道家)에서, ‘하느님’을 이르는 말.

용례:

하늘의 옥황상제님께서는 심청이 효심이 지극한 것을 귀히 여겨서 다시 심청을 환생시키기로 했는데.≪박경리, 토지≫

7. 일제 (日帝) [일쩨]

한자: 日(날 일), 帝(임금 제:)

제국주의를 표방한 일본을 이르던 말. 대체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의 일본을 이른다.

용례:

  • 일제 식민 통치.
  • 일제 치하의 조국 땅에는 절대로 돌아가지 않겠다.
  • 아까도 잠시 언급했지만 우리나라는 왜정 때 일제 군국 체제의 제식 훈련에 오래 젖어 왔었다.≪윤흥길, 제식 훈련 변천 약사≫
  • 합방 청원문을 왕에게 내자 그 두목 송병준과 이용구를 처형하라고 한때 주장하기도 했으나 합방 이후에는 일제가 마련한 귀족 반열에 끼여….≪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8. 폐제 (廢帝) [폐:제]

한자: 廢(폐할/버릴 폐:), 帝(임금 제:)

폐위된 황제.

용례:

그 하나는 만청의 폐제 부의가 새로 독립한 만주국의 강덕제로 옹위된 일이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9. 황제 (皇帝) [황제]

한자: 皇(임금 황), 帝(임금 제:)

「1」왕이나 제후를 거느리고 나라를 통치하는 임금을 왕이나 제후와 구별하여 이르는 말.
「2」‘임금’(군주 국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을 이르는 말.

용례:

  • 「1」황제 폐하.
  • 「1」황제의 대관식.
  • 「1」황제를 배알하다.
  • 「1」그는 황제에게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했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