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시조 (時潮) [시조]
한자: 時(때 시), 潮(밀물/조수 조)
시대적인 사조나 조류.
용례:
시조가 변전되는 대로 이역을 표류하다 고국으로 돌아와 다시 군문으로 들어선….≪오상원, 유예≫
32. 신사조 (新思潮) [신사조]
한자: 新(새 신), 思(생각 사(:)), 潮(밀물/조수 조)
새로운 사조.
용례:
서구의 신사조가 국내에 밀려들어 오다.
33. 신풍조 (新風潮) [신풍조]
한자: 新(새 신), 風(바람 풍), 潮(밀물/조수 조)
새로운 풍조.
용례:
- 최신 유행가는 신풍조에 따라 자꾸 변한다.
- 젊은이들이 기성세대보다 신풍조를 빨리 받아들인다.
- 희준이가 현해탄을 건너간 것은 물론 그때 청년들이 동경하던 신풍조에 휩쓸려서 자기도 한 포부를 갖고 문명국의 신학문을 배우기 위한 것이 첫째 원인이었겠지만….≪이기영, 고향≫
34. 암조 (暗潮) [암:조]
한자: 暗(어두울 암:), 潮(밀물/조수 조)
「1」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조류(潮流).
「2」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세력이나 풍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5. 역조 (逆潮) [역쪼]
한자: 逆(거스릴 역), 潮(밀물/조수 조)
「1」바람의 방향과 반대로 흐르는 조류.
「2」배의 진행 방향과 반대로 흐르는 조류.
용례:
- 「1」역조에 맞추어 가다 보니 역풍이 거세다.
- 「2」역조로 배의 진행 속도가 더디다.
36. 일일조 (一日潮) [이릴쪼]
한자: 一(한 일), 日(날 일), 潮(밀물/조수 조)
천체의 기조력에 의하여 하루를 주기로 일어나는 밀물과 썰물.
37. 입조 (入潮) [입쪼]
한자: 入(들 입), 潮(밀물/조수 조)
밀물이 들어옴.
용례:
입조 시각.
38. 저조 (低潮) [저:조]
한자: 低(낮을 저:), 潮(밀물/조수 조)
바다에서 조수가 빠져나가 해수면이 가장 낮아진 상태. 하루에 두 번 일어나며, 달의 인력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39. 적조 (赤潮) [적쪼]
한자: 赤(붉을 적), 潮(밀물/조수 조)
편모충류 등의 이상 번식으로 바닷물이 붉게 물들어 보이는 현상. 바닷물이 부패하기 때문에 어패류가 크게 해를 입는다.
40. 정조 (停潮) [정조]
한자: 停(머무를 정), 潮(밀물/조수 조)
만조나 간조 때에 물의 높이가 변하지 아니하는 시간.
41. 주조 (主潮) [주조]
한자: 主(임금/주인 주), 潮(밀물/조수 조)
주된 조류나 경향.
용례:
- 절제된 표현이 이 작품의 주조를 이루고 있다.
- 올해 유행하는 옷 색깔은 파스텔 톤이 주조를 이룬다.
42. 창조 (漲潮) [창:조]
한자: 漲(넘칠 창:), 潮(밀물/조수 조)
조수의 간만으로 해면이 상승하는 현상. 또는 그 바닷물. 간조에서 만조까지를 이르며 하루에 두 차례씩 밀려 들어온다.
43. 천체조 (天體潮) [천체조]
한자: 天(하늘 천), 體(몸 체), 潮(밀물/조수 조)
달이나 태양과 같은 천체의 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조석(潮汐).
44. 초조 (初潮) [초조]
한자: 初(처음 초), 潮(밀물/조수 조)
대략 12세에서 15세 사이의 여성이 처음으로 시작하는 월경.
용례:
어두운 툇마루 아래서 환한 남폿불에 비치는 미남 유학생의 얼굴만 바라보다가 돌아오곤 했지요. 이미 초조를 경험한 열네 살의 소녀였으니까…….≪이문열, 영웅시대≫
45. 최고조 (最高潮) [최:고조]
한자: 最(가장 최:), 高(높을 고), 潮(밀물/조수 조)
어떤 분위기나 감정 따위가 가장 높은 정도에 이른 상태.
용례:
- 연극이 최고조에 이르다.
- 사람들의 흥분이 최고조에 달해 마침내 싸움으로 번졌다.
46. 춘조 (春潮) [춘조]
한자: 春(봄 춘), 潮(밀물/조수 조)
봄의 조수(潮水).
47. 태양조 (太陽潮) [태양조]
한자: 太(클 태), 陽(볕 양), 潮(밀물/조수 조)
조석 가운데 태양의 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조석.
48. 태음조 (太陰潮) [태음조]
한자: 太(클 태), 陰(그늘 음), 潮(밀물/조수 조)
조석 가운데 달의 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조석. 달의 기조력은 태양보다 두 배 정도 크기 때문에 이것이 조석의 최대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49. 퇴조 (退潮) [퇴:조]
한자: 退(물러날 퇴:), 潮(밀물/조수 조)
「1」기운, 세력 따위가 줄어듦.
「2」조수의 간만으로 해면이 하강하는 현상. 또는 그 바닷물. 만조에서 간조까지를 이르며 하루에 두 차례씩 밀려 나간다.
용례:
- 「1」고조와 퇴조.
- 「1」하나의 유행이 퇴조를 보이면 다시 새로운 유행이 나타난다.
50. 퇴폐풍조 (頹廢風潮) [퇴폐풍조]
한자: 頹(무너질 퇴), 廢(폐할/버릴 폐:), 風(바람 풍), 潮(밀물/조수 조)
정신적으로 또는 사회적·문화적으로 어지럽고 문란한 생활 기풍.
용례:
일본 거리거리에는 애조 띤 군가가 물결치고 퇴폐풍조는 하루아침에 군국주의로 결속이 되었다.≪박경리, 토지≫
51. 풍조 (風潮) [풍조]
한자: 風(바람 풍), 潮(밀물/조수 조)
「1」바람과 조수(潮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바람에 따라 흐르는 조수.
「2」시대에 따라 변하는 세태.
용례:
- 「2」과소비 풍조.
- 「2」불신 풍조.
- 「2」조선에선 조강지처를 아니 버린다는 불문율 때문에 부득이 소실 두는 풍조가 생긴 모양인데….≪박경리, 토지≫
52. 해조 (海潮) [해:조]
한자: 海(바다 해:), 潮(밀물/조수 조)
아침에 밀려들었다가 나가는 바닷물.
53. 혈조 (血潮) [혈쪼]
한자: 血(피 혈), 潮(밀물/조수 조)
「1」얼굴에 도는 핏기.
「2」치솟는 혈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얼굴에 혈조를 띠다.
- 「1」볼에 혈조가 떠오르다.
- 「1」계숙의 눈동자는 흑진주같이 빛났고 두 뺨은 능금처럼 빨갛게 혈조에 타올랐다.≪심훈, 영원의 미소≫
- 「2」울렁거리는 혈조를 가라앉히기 위해서 그는 한참이나 낯을 침대에 묻고 가만히 엎디어 보았다.≪김남천, 경영≫
- 「2」그래, 젊은 놈들이 되어 가지고 가슴에서 바작바작 타는 혈조를 가만두는 것은. 하여간 손톱만 한 향락까지도 할 수 없는 이런 경을 칠 일이 있단 말인가.≪송영,석공 조합 대표≫
54. 혼조 (混潮) [혼:조]
한자: 混(섞을 혼:), 潮(밀물/조수 조)
주로 주가 지수나 경제 상황이 일정한 흐름을 예측할 수 없이 혼란스러운 상태를 이르는 말.
용례:
- 혼조 국면.
- 혼조를 보이다.
- 당분간 국내 증시는 등락을 예측할 수 없는 혼조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55. 혼합조 (混合潮) [혼:합쪼]
한자: 混(섞을 혼:), 合(합할 합), 潮(밀물/조수 조)
조석이 하루 두 번 있는 현상과 한 번 있는 현상이 엇갈리어 나타나는 조석.
56. 홍조 (紅潮) [홍조]
한자: 紅(붉을 홍), 潮(밀물/조수 조)
「1」아침 해가 바다에 비치어 붉게 물든 경치.
「2」부끄럽거나 취하여 붉어짐. 또는 그런 빛.
용례:
- 「1」동해 바다에서 보는 홍조는 장관이다.
- 「2」얼굴에 홍조를 띠다.
- 「2」여인은 부끄러운 듯 얼굴에 홍조가 물들었다.
- 「2」그의 눈결 같은 새하얀 두 볼에 발그스레한 홍조가 떠올랐다.≪김동리, 흥남 철수≫
57. 회귀조 (回歸潮) [회귀조]
한자: 回(돌아올 회), 歸(돌아갈 귀:), 潮(밀물/조수 조)
달이 적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에 일어나는 조석(潮汐).
58. 휴조 (休潮) [휴조]
한자: 休(쉴 휴), 潮(밀물/조수 조)
밀물과 썰물이 바뀔 때에 일어나는 조류의 정지 상태.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潮 밀물/조수 조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