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미태 (媚態) [미태]
한자: 媚(아첨할/예쁠 미), 態(모습 태:)
아양을 부리는 태도.
용례:
- 미태를 느끼다.
- 미태가 없다.
- 미태가 짙다.
- 그는 그만 여자의 미태에 끌리고 말았다.
- 다만 사리(私利)를 위한 미태보다 민족 전체를 위한 눈물을 되찾으라고….≪조지훈, 돌의 미학≫
37. 방태 (芳態) [방태]
한자: 芳(꽃다울 방), 態(모습 태:)
꽃다운 자태라는 뜻으로, 미인의 모습을 이르는 말.
38. 백지상태 (白紙狀態) [백찌상태]
한자: 白(흰 백), 紙(종이 지), 狀(형상 상), 態(모습 태:)
「1」종이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상태.
「2」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
「3」어떠한 일을 하기 이전의 상태.
「4」잡념이나 선입관 따위가 없는 상태.
용례:
- 「1」답안지를 백지상태로 제출하다.
- 「2」하라는 한국 실정에 전연 백지상태였으므로 여명방에게 전적으로 의지하여….≪유주현, 대한 제국≫
- 「2」인계받은 쪽에서는 으레 사전 지식 하나 없이 백지상태에서 인계를 받는 만큼, 그들 중 이때까지 어느 누가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 도통 알 턱이 없었고….≪이호철, 남에서 온 사람들≫
- 「3」과장의 실수로 모든 일이 백지상태로 돌아갔다.
- 「4」백지상태에서 지원자를 면접하다.
39. 백태 (百態) [백태]
한자: 百(일백 백), 態(모습 태:)
온갖 자태나 형태.
40. 변태 (變態) [변:태]
한자: 變(변할 변:), 態(모습 태:)
「1」본래의 형태가 변하여 달라짐. 또는 그런 상태.
「2」정상이 아닌 상태로 달라짐. 또는 그 상태.
「3」성체와는 형태, 생리, 생태가 전혀 다른 유생의 시기를 거치는 동물이 유생에서
성체로 변함. 또는 그런 과정.
「4」식물의 뿌리, 줄기, 잎 따위의 기관이 본래의 것과는 다른 형태로 변하여 그 상태로 종(種)으로서 고정되는 일.
용례:
「3」비단 송충이뿐 아니라 곤충이란 것은 모두 그렇게 변태를 거쳐서 자라난다는 거지요.≪이기영, 신개지≫
41. 병태 (病態) [병:태]
한자: 病(병 병:), 態(모습 태:)
어떤 병이 나타내는 증상이나 진행 단계.
42. 보태 (步態) [보:태]
한자: 步(걸음 보:), 態(모습 태:)
걸음걸이의 자태.
용례:
저 처자는 보태로 보아 양갓집 규수는 아닌 듯하다.
43. 본태 (本態) [본태]
한자: 本(근본 본), 態(모습 태:)
본디의 모습.
용례:
그 사람은 본태가 좋으니 무슨 옷을 입어도 어울린다.
44. 부동태 (不動態) [부동태]
한자: 不(아닐 불), 動(움직일 동:), 態(모습 태:)
금속이 보통 상태에서 나타내는 반응성을 잃은 상태. 철이나 크로뮴과 같이 산과 쉽게 반응하는 금속은 진한 질산에 담근 후에는 산과 반응하지 않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금속 산화물의 얇은 막이 금속의 표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45. 비상사태 (非常事態) [비:상사:태]
한자: 非(아닐 비(:)), 常(떳떳할 상), 事(일 사:), 態(모습 태:)
「1」큰일이 벌어진 위급한 상황.
「2」나라에 천재(天災), 사변(事變), 폭동 따위가 일어나서 경찰력으로는 공공의 안녕 및 질서의 유지가 불가능할 정도로 사회가 혼란에 빠진 상태.
용례:
「2」군부 쿠데타로 인하여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다.
46. 사태 (事態) [사:태]
한자: 事(일 사:), 態(모습 태:)
일이 되어 가는 형편이나 상황. 또는 벌어진 일의 상태.
용례:
- 긴급한 사태.
- 폭력 사태.
- 사태를 수습하다.
- 사태가 심각하다.
- 사태를 관망하다.
- 사태를 예견하다.
- 유일하게 오빠만이 흥분하지 않고 그 사태를 차근차근 갈피 잡아 바른 판단을 하려는 침착성을 보였다.≪박완서, 엄마의 말뚝≫
47. 상태 (狀態) [상태]
한자: 狀(형상 상), 態(모습 태:)
「1」사물·현상이 놓여 있는 모양이나 형편.
「2」자연 현상의 관측에 의하여 가능한 한 완전히 기술된 계(系)의 존재 상황. 예를 들면 열역학적 상태, 에너지 상태 따위가 있다.
용례:
- 「1」무방비 상태.
- 「1」정신 상태.
- 「1」건강 상태가 좋다.
- 「1」이미 기차가 끊긴 상태여서 친구 집에서 하룻밤 신세를 졌다.
- 「1」나는 거의 탈진한 상태로 걸음을 떼 놓고 있었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1」대동아 전쟁이 막바지에 이를 무렵이라 우리는 그때 심적으로 꽤 불안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48. 상태 (常態) [상태]
한자: 常(떳떳할 상), 態(모습 태:)
보통 때의 모양이나 형편.
49. 색태 (色態) [색태]
한자: 色(빛 색), 態(모습 태:)
「1」여자의 곱고 아름다운 자태.
「2」색깔의 맵시.
용례:
「1」만고에 한량인 진 의원 아들이 색태 자르르한 비오리를 보고 그만 앞뒤 분별을 잃었다는 말도 있고….≪최명희, 혼불≫
50. 생태 (生態) [생태]
한자: 生(날 생), 態(모습 태:)
생물이 살아가는 모양이나 상태.
용례:
- 식물의 생태를 조사하다.
- 수질 오염으로 인해 수중 생물의 생태가 크게 변했다.
- 환경의 변화가 동식물의 생태에 큰 영향을 끼쳤다.
51. 세태 (世態) [세:태]
한자: 世(인간 세:), 態(모습 태:)
사람들의 일상생활, 풍습 따위에서 보이는 세상의 상태나 형편.
용례:
- 세태가 나쁘게 변하다.
- 세태가 어지럽다 보니 별 희한한 일도 다 생긴다.
- 오늘의 세태는 지난날에 비해 부모와 자식 사이의 갈등의 폭과 골이 넓고 깊다.
- 범죄가 날로 늘어 가는 것은 오늘날 타락한 세태를 반영하는 것이다.
- 요즘 드라마에는 세태를 신랄하게 풍자하는 내용이 많다.
- 화제는 세태에 대한 개탄에서 정치가들에 대한 시비로 번져 갔다.≪선우휘, 사도행전≫
52. 소강상태 (小康狀態) [소:강상태]
한자: 小(작을 소:), 康(편안 강), 狀(형상 상), 態(모습 태:)
소란이나 분란, 혼란 따위가 그치고 조금 잠잠한 상태.
용례:
- 소강상태에 빠지다.
- 소강상태에 들다.
- 소강상태에 놓이다.
- 한 보름 전, 전선이 소강상태로 들어간 어느 날 점심때였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 그의 시름을 생각하면 불행한 일이었지만 어쨌든 집안은 소강상태였다.≪박경리, 토지≫
53. 소태 (笑態) [소:태]
한자: 笑(웃음 소:), 態(모습 태:)
웃는 맵시. 또는 웃음.
54. 속태 (俗態) [속태]
한자: 俗(풍속 속), 態(모습 태:)
고상하거나 아담스럽지 못한 모습.
용례:
속태를 벗다.
55. 쇠태 (衰態) [쇠태]
한자: 衰(쇠할 쇠), 態(모습 태:)
쇠약한 상태나 모습.
56. 수동태 (受動態) [수동태]
한자: 受(받을 수(:)), 動(움직일 동:), 態(모습 태:)
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그 작용을 받을 때에,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용례:
- 수동태 구문.
- 수동태 문장.
57. 수태 (羞態) [수태]
한자: 羞(부끄러울 수), 態(모습 태:)
부끄러워하는 태도.
용례:
- 수태를 짓다.
- 수태를 띠다.
- 몸이 기생이니, 처녀 같은 수태는 없더라도, 은근한 맛이라도 있을 것이다.≪염상섭, 무화과≫
58. 수태 (愁態) [수태]
한자: 愁(근심 수), 態(모습 태:)
근심스러워하는 모양.
59. 수태 (樹態) [수태]
한자: 樹(나무 수), 態(모습 태:)
나무의 상태.
60. 숙태 (淑態) [숙태]
한자: 淑(맑을 숙), 態(모습 태:)
숙녀다운 정숙한 태도.
61. 시태 (時態) [시태]
한자: 時(때 시), 態(모습 태:)
그 당시의 세상 형편.
용례:
자네는 나보다 더한 신선놀음일세. 이런 시태에 쉽지 않은 일이야.≪박경리, 토지≫
62. 신업태 (新業態) [시넙태]
한자: 新(새 신), 業(업 업), 態(모습 태:)
새로운 형태의 사업.
용례:
- 신업태가 나타나다.
- 신업태에 진출하다.
- 불황기를 맞아 기존 소매업계는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고 각종 신업태가 시장을 빼앗아 가고 있다.
63. 실태 (失態) [실태]
한자: 失(잃을 실), 態(모습 태:)
본디의 면목을 잃음. 또는 그런 모양.
용례:
술을 먹지 말라는 것은 아니되 너무 과하게 먹고 실태가 있어서는 못쓰는 법이다.≪홍명희, 임꺽정≫
64. 실태 (實態) [실태]
한자: 實(열매 실), 態(모습 태:)
있는 그대로의 상태. 또는 실제의 모양.
용례:
- 실태 보고.
- 실태 조사.
- 실태를 파악하다.
- 문화 유적 훼손 실태.
- 이번에는 돌이켜서, 우리 언어생활의 실태를 살펴보기로 하자.≪이희승, 소경의 잠꼬대≫
65. 앞태 (앞態) [압태]
한자: 態(모습 태:)
앞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
용례:
이리 오너라. 앞태를 보자.
66. 액태 (液態) [액태]
한자: 液(진 액), 態(모습 태:)
액체의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조성과 물리·화학적 특성이 같은 상태.
67. 야태 (野態) [야:태]
한자: 野(들[坪] 야:), 態(모습 태:)
시골 사람의 세련되지 못하고 어수룩한 모양이나 태도.
용례:
그는 도시 생활을 한 지 이십 년이 지났는데도 여태 야태를 벗지 못하고 있었다.
68. 양태 (樣態) [양태]
한자: 樣(모양 양), 態(모습 태:)
「1」사물이 존재하는 모양이나 형편.
「2」발화 내용과 현실의 관계에 대하여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내는 범주. 예를 들면, ‘눈이 온다.’는 단정적인 양태성이며, ‘눈이 오겠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양태성이다.
용례:
- 「1」우리가 마음에 움직이는 바 그것을 충실히 정직하게 그려 내면 이 세상의 인간 생활의 양태를 조금일지라도 포착하고자 하는….≪김진섭, 인생 예찬≫
- 「1」원강 거리에서 비교적 드러내 놓고 회오리치던 그 바람은 현주동에 와 닿을 때는 훨씬 깊숙하고 은밀한 양태로 바뀌고 있었고….≪이호철, 문≫
69. 어태 (語態) [어:태]
한자: 語(말씀 어:), 態(모습 태:)
말을 하는 버릇이나 본새.
용례:
- 아첨하는 듯한 어태.
- 이렇게 말하는 재영이의 어태에는 많은 불평이 섞여 있었다.≪김동인, 젊은 그들≫
70. 업태 (業態) [업태]
한자: 業(업 업), 態(모습 태:)
영업이나 사업의 실태.
용례:
편의점은 우리나라 소매 산업을 대표하는 업태로 성장했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