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여태 (女態) [여태]
한자: 女(계집 녀), 態(모습 태:)
여자다운 태도.
72. 연풍태 (燕風態) [연:풍태]
한자: 燕(제비 연(:)), 風(바람 풍), 態(모습 태:)
춘앵무(春鶯舞)나 승무와 같이 가장 활발한 리듬의 기생 춤을 이르는 말.
73. 염태 (艷態) [염:태]
한자: 艷(고울 염[艶]:), 態(모습 태:)
아리따운 모양이나 태도.
74. 옆태 (옆態) [엽태]
한자: 態(모습 태:)
옆에서 본 몸매나 모양.
용례:
옆태를 보나 뒤태를 보나 그저 모두 고울 뿐이다.
75. 완료태 (完了態) [왈료태]
한자: 完(완전할 완), 了(마칠 료:), 態(모습 태:)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동작상(動作相). ‘-아[어] 있다’로 표시하며 각 시제마다 있다.
76. 요태 (妖態) [요태]
한자: 妖(요사할 요), 態(모습 태:)
요망하고 간사스러운 태도.
77. 용태 (容態) [용태]
한자: 容(얼굴 용), 態(모습 태:)
「1」얼굴 모양과 몸맵시.
「2」병의 상태나 모양.
용례:
- 「2」와병 중이던 혜장의 용태가 심상치 않다는 전갈을 받고….≪한무숙, 만남≫
- 「2」우리가 시술을 했다고 각서를 써 놓고 용태도 적어 놓겠습니다.≪황석영, 한 씨 연대기≫
78. 우태 (雨態) [우:태]
한자: 雨(비 우:), 態(모습 태:)
비가 올 듯한 기운.
79. 원태 (原態) [원태]
한자: 原(언덕 원), 態(모습 태:)
본디의 형편이나 상태.
80. 월태 (月態) [월태]
한자: 月(달 월), 態(모습 태:)
달처럼 아름답고 고요한 태도나 모습.
81. 유태 (柳態) [유:태]
한자: 柳(버들 류(:)), 態(모습 태:)
버드나무 가지와 같은 고운 맵시.
82. 윤태 (潤態) [윤:태]
한자: 潤(불을 윤:), 態(모습 태:)
광택에 윤기가 있음.
용례:
봄은 봄이라 해도 아직도 좀 철이 일러서 창으로 내다보이는 연선 풍경은 까칠하여 윤태가 없었다.≪유진오, 화상보≫
83. 의태 (意態) [의:태]
한자: 意(뜻 의:), 態(모습 태:)
마음의 상태.
84. 의태 (擬態) [의태]
한자: 擬(비길 의:), 態(모습 태:)
「1」어떤 모양이나 동작을 본떠서 흉내 냄.
「2」동물이 자신의 몸을 보호하거나 사냥하기 위해서 모양이나 색깔이 주위와 비슷하게 되는 현상. 말벌과 흡사한 나방, 나뭇가지와 비슷한 대벌레, 해조와
비슷한 해마가 그 예이다.
85. 이형태 (異形態) [이:형태]
한자: 異(다를 이:), 形(모양 형), 態(모습 태:)
한 형태소가 주위 환경에 따라 음상(音相)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달라진 한 형태소의 여러 모양을 이르는 말. 각각 자음과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나타나는 주격 조사 ‘이’와 ‘가’, 목적격 조사 ‘을’과 ‘를’ 따위가 있다.
86. 인태 (人態) [인태]
한자: 人(사람 인), 態(모습 태:)
사람의 모습.
87. 자태 (字態) [자태]
한자: 字(글자 자), 態(모습 태:)
글자의 모양.
88. 자태 (姿態) [자태]
한자: 姿(모양 자:), 態(모습 태:)
어떤 모습이나 모양. 주로 사람의 맵시나 태도에 대하여 이르며, 식물, 건축물, 강, 산 따위를 사람에 비유하여 이르기도 한다.
용례:
- 자태가 아름다운 여인.
- 지리산의 웅장한 자태.
- 자태가 뛰어나다.
- 자태를 뽐내다.
- 그녀는 중년의 나이인데도 여전히 고운 자태를 지니고 있었다.
- 그는 머리를 감아 빗고, 옷도 비단으로 갈아입어 깡마른 대로나마 우아한 자태였었다.≪박상륭, 열명길≫
89. 작태 (作態) [작태]
한자: 作(지을 작), 態(모습 태:)
「1」의도적으로 어떠한 태도나 표정을 지음. 또는 그 태도나 표정.
「2」하는 짓거리.
용례:
- 「1」아양스러운 작태.
- 「1」가게 주인은 손님에게 친절한 작태를 해 보였다.
- 「2」비교육적 작태.
- 「2」몰지각한 작태를 보이다.
- 「2」비열한 작태를 되풀이하다.
- 「2」한참 말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를 끊어 버리는 몰상식한 작태를 보이는 사람과는 더 이상 상대할 수 없다.
- 「2」다수의 농군들은 자기네가 막 벌인 이 농성에 별 실감을 느끼지 못했고, 우우 떼거리를 지어 몰려가는 작태를 겸연쩍게 생각하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90. 작태 (綽態) [작태]
한자: 綽(너그러울 작), 態(모습 태:)
「1」많은 모양.
「2」침착하고 여유 있는 모습. 또는 얌전한 태도.
91. 정태 (情態) [정태]
한자: 情(뜻 정), 態(모습 태:)
「1」어떤 일의 사정과 상태.
「2」아첨하는 사람의 마음씨와 그 태도.
용례:
「1」환자의 정태를 살피다.
92. 정태 (靜態) [정태]
한자: 靜(고요할 정), 態(모습 태:)
움직이지 아니하고 가만히 있는 상태.
93. 중태 (重態) [중:태]
한자: 重(무거울 중:), 態(모습 태:)
병이 심하여 위험한 상태.
용례:
중태에 빠지다.
94. 추태 (醜態) [추태]
한자: 醜(추할 추), 態(모습 태:)
더럽고 지저분한 태도나 짓.
용례:
- 추태를 부리다.
- 추태를 보이다.
- 그날 밤 난생처음 모주망태가 되어 나는 별의별 추태를 다 벌였다.≪윤흥길, 황혼의 집≫
95. 취태 (醉態) [취:태]
한자: 醉(취할 취:), 態(모습 태:)
술에 취한 모양.
용례:
취태를 보이다.
96. 치태 (癡態) [치태]
한자: 癡(어리석을 치), 態(모습 태:)
어리석고 못생긴 모양이나 태도.
용례:
치태를 부리다.
97. 탈태 (脫態) [탈태]
한자: 脫(벗을 탈), 態(모습 태:)
형태나 형식을 바꿈.
98. 통시태 (通時態) [통시태]
한자: 通(통할 통), 時(때 시), 態(모습 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언어의 모습.
99. 피동태 (被動態) [피:동태]
한자: 被(입을 피:), 動(움직일 동:), 態(모습 태:)
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그 작용을 받을 때에,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100. 행태 (行態) [행태]
한자: 行(다닐 행(:)), 態(모습 태:)
행동하는 양상.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쓴다.
용례:
- 음주 행태.
- 사재기 행태.
- 그 강력범은 수사관 앞에서 파렴치한 행태를 보였다.
- 일부 정치인들의 비도덕적인 행태에 국민들은 분노를 느꼈다.
- 퇴락해 가는 집안 꼴이 이 둘째 아들의 행태와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하자, 설명할 수 없는 부아가 치밀어 올랐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01. 현태 (現態) [현:태]
한자: 現(나타날 현:), 態(모습 태:)
현재의 상태.
102. 형태 (形態) [형태]
한자: 形(모양 형), 態(모습 태:)
「1」사물의 생김새나 모양.
「2」어떠한 구조나 전체를 이루고 있는 구성체가 일정하게 갖추고 있는 모양.
「3」부분이 모여서 된 전체가 아니라, 완전한 구조와 전체성을 지닌 통합된 전체로서의
형상과 상태.
용례:
- 「1」산의 형태.
- 「1」가구의 형태.
- 「1」건물의 배치 형태.
- 「1」일자 형태의 부엌.
- 「1」의복의 형태가 특이하다.
- 「1」이 옷은 소매가 나비 날개 형태로 되어 있다.
- 「1」옷감을 탈수하는 방법은 그 섬유의 종류, 조직,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다.
- 「2」시조의 형태.
- 「2」이 나라 가족의 형태는 대부분이 대가족 형태이다.
- 「2」이들은 식사 때마다 특이한 형태의 기도를 한다.
- 「2」쇼 프로그램의 형태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 「2」그와 그의 참모들은 우리에게 쓰는 여러 형태의 억압을 감추기 위해 불황이라는 말을 이용하고는 했다. ≪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103. 혼수상태 (昏睡狀態) [혼수상태]
한자: 昏(어두울 혼), 睡(졸음 수), 狀(형상 상), 態(모습 태:)
의식을 잃고 인사불성이 되는 일. 의식 장애 가운데 가장 심한 것으로, 부르거나 뒤흔들어 깨워도 정신을 차릴 수 없고 외계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나 반사 작용도 거의 없다.
용례:
- 혼수상태에서 깨어나다.
- 혼수상태에 빠지다.
- 어머니는 심한 출혈로 사흘이나 혼수상태에 있었다.
- 환자가 혼수상태로 들어가더니 깨어나질 않는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