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계수표 (家計手票) [가계수표]
한자: 家(집 가), 計(셀 계:), 手(손 수(:)), 票(표 표)
은행에 가계 종합 예금 계좌를 가진 사람이 그 은행 앞으로 발행하는 소액 수표.
용례:
- 사업이 망하면서 아버지 인감이 찍힌 가계 수표는 모두 부도가 났다.
- 최근 들어 가계 수표 발행 한도액이 늘어났다.
2. 가투표 (假投票) [가:투표]
한자: 假(거짓 가:), 投(던질 투), 票(표 표)
투표자의 적법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일단 투표권을 부여한 후 그 효력을 나중에 결정하는 투표. 우리나라에는 없는 제도이다.
3. 가표 (可票) [가:표]
한자: 可(옳을 가:), 票(표 표)
찬성을 나타내는 표.
용례:
- 가표를 던지다.
- 그 의견은 많은 가표를 얻어 통과되었다.
4. 감표 (監票) [감표]
한자: 監(볼 감), 票(표 표)
투표나 개표를 감시하고 감독함.
5. 감표 (鑑票) [감표]
한자: 鑑(거울 감), 票(표 표)
표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가리어 알아냄.
6. 개표 (改票) [개:표]
한자: 改(고칠 개(:)), 票(표 표)
차표 또는 입장권 따위를 들어가는 입구에서 검사함.
용례:
개표 업무의 자동화로 역무원들의 부담이 줄어들었다.
7. 개표 (開票) [개표]
한자: 開(열 개), 票(표 표)
투표함을 열고 투표의 결과를 검사함.
용례:
- 개표 결과.
- 개표 상황.
- 개표 장소.
- 개표에서 우세를 보이다.
- 개표소에서 개표에 들어가기 전에 투표지를 점검하고 있다.
8. 거수투표 (擧手投票) [거:수투표]
한자: 擧(들 거:), 手(손 수(:)), 投(던질 투), 票(표 표)
표결 방법의 하나. 손을 들어 각자의 의사를 표시한다.
용례:
노조원들은 인원이 워낙 많아 거수투표보다는 용지 투표를 하기로 했다.
9. 검표 (檢票) [검:표]
한자: 檢(검사할 검:), 票(표 표)
담당 사무원이 차표, 배표, 비행기표, 입장권 따위를 검사함. 또는 그렇게 검사하게 함.
용례:
기차가 서면 얼른 내려 이미 검표가 끝난 쪽의 칸으로 옮겨 타고 무사히 여행을 계속할 수가 있었다.≪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10. 결선투표 (決選投票) [결썬투표]
한자: 決(결단할 결), 選(가릴 선:), 投(던질 투), 票(표 표)
재투표의 하나. 처음의 투표로 당선자를 뽑지 못했을 때 상위 득표자 두 사람 이상을 대상으로 당선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다.
용례:
후보자 가운데 아무도 과반수를 넘지 못했기 때문에 결선 투표로 회장을 뽑았다.
11. 결표 (缺票) [결표]
한자: 缺(이지러질 결), 票(표 표)
차표나 통지표 따위에서 번호가 빠진 것.
12. 계표 (計票) [계:표]
한자: 計(셀 계:), 票(표 표)
표의 수를 헤아림.
용례:
- 컴퓨터 계표 방식의 등장.
- 선거 결과가 번복된 이번 사건은 단순히 계표를 잘못해서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13. 고본표 (股本票) [고본표]
한자: 股(넓적다리 고), 本(근본 본), 票(표 표)
고본의 소유를 증명하는 표.
용례:
그는 임치한 돈을 조금도 범용치 아니하고 회사 고본표와 기타 공증권으로 보존하였다.
14. 고정표 (固定票) [고정표]
한자: 固(굳을 고(:)), 定(정할 정:), 票(표 표)
선거 때에 일정한 정당이나 후보자를 지지하는 태도가 분명한 표.
용례:
- 그는 고정표가 많아서 당선 가능성이 높다.
- 이번 선거 운동에서 얼마만큼 고정표를 확보하는가가 관건이다.
15. 공수표 (空手票) [공수표]
한자: 空(빌 공), 手(손 수(:)), 票(표 표)
「1」은행에 거래가 없거나 거래가 정지된 사람이 발행한 수표.
「2」당좌 거래를 하는 사람이 발행한 수표로서, 은행에 지급을 받기 위하여 제시한 경우 잔액이 없어 거절당한 수표.
「3」실행이
없는 약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3」공수표를 날리다.
- 「3」공수표를 띄우다.
- 「3」좋습니다. 나중에 술 산다는 말, 공수표 떼지 마세요.
- 「3」술을 안 마시겠다는 공약이 완전히 공수표가 되어 버렸다.
- 「3」어느 것 하나 해결할 수 없는 입장에서 공수표만 남발해서는 안 된다.
16. 공차표 (空車票) [공차표]
한자: 空(빌 공), 車(수레 차), 票(표 표)
차비를 내지 아니하고도 차를 탈 수 있는 표.
17. 공표 (空票) [공표]
한자: 空(빌 공), 票(표 표)
「1」값을 치르지 않고 거저 얻은 입장권이나 차표.
「2」추첨 따위에서 아무런 배당이 없는 표.
용례:
「1」안 초시도 딸의 사진과 이야기가 신문마다 나는 바람에 어깨가 으쓱해서 공표를 얻을 수 있는 대로 얻어 가지고 서 참의뿐 아니라 여러 친구를 돌려 줬던 것이다.≪이태준, 복덕방≫
18. 국민투표 (國民投票) [궁민투표]
한자: 國(나라 국), 民(백성 민), 投(던질 투), 票(표 표)
선거 이외에, 국정(國政)의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국민이 행하는 투표.
용례:
- 국민 투표를 실시하다.
- 대통령은 개헌 여부를 국민 투표에 부치겠다는 담화를 오늘 오전에 발표하였다.
19. 군용표 (軍用票) [구뇽표]
한자: 軍(군사 군), 用(쓸 용:), 票(표 표)
전지(戰地)나 점령지에서 군대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때 사용하는 긴급 통화(通貨).(군표)
20. 극장표 (劇場票) [극짱표]
한자: 劇(심할 극), 場(마당 장), 票(표 표)
연극이나 영화, 무용 따위를 관람하기 위하여 극장 측에 돈을 지급하고 구입하는 표.
용례:
희끗희끗 센 수염발을 너덜거리며 꼬깃꼬깃 접은 극장표를 내밀자, 노파도 온 상판을 즐거운 웃음으로 찌그러뜨렸다.≪이호철, 소시민≫
21. 기념우표 (紀念郵票) [기녀무표]
한자: 紀(벼리 기), 念(생각 념:), 郵(우편 우), 票(표 표)
국가적으로 뜻깊은 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우표.
용례:
- 88올림픽 기념우표.
- 아시안 게임 기념우표를 발행하다.
22. 기차표 (汽車票) [기차표]
한자: 汽(물끓는김 기), 車(수레 차), 票(표 표)
기차를 타기 위하여 돈을 주고 사는 표.
용례:
- 기차표를 사다.
- 서울 부산 간 기차표를 끊었다.
- 내일부터 추석 귀향 기차표 예매가 시작된다.
23. 기표 (記票) [기표]
한자: 記(기록할 기), 票(표 표)
투표용지에 써넣거나 표시를 함.
용례:
기표가 끝난 후 바로 개표가 시작되었다.
24. 기호표 (記號票) [기호표]
한자: 記(기록할 기), 號(이름 호(:)), 票(표 표)
선거 때 사용되는 선전용 소형 인쇄물. 후보자의 이름, 기호, 선거구만 기재할 수 있다.
25. 꼬리표 (꼬리票) [꼬리표]
한자: 票(표 표)
「1」화물을 운송 수단이나 우편으로 부칠 때, 보내는 사람과 받을 사람의 주소·이름 따위를 적어 그 물건에 달아매는 표.
「2」어떤 사람에게 늘 따라다니는 떳떳하지 않은 평판이나 좋지 않은 평가.
용례:
- 「1」화물에 꼬리표를 붙이다.
- 「1」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우리 이름이 적힌 꼬리표를 단 가방을 찾았다.
- 「1」발치에는 화물처럼 군번과 계급과 이름을 적은 꼬리표가 달린 시체 자루들이 차곡차곡 실렸다.≪안정효, 하얀 전쟁≫
- 「2」그에게는 늘 바람둥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 「2」이번 담력 시험을 통해 그는 겁쟁이라는 꼬리표를 떼어 버렸다.
- 「2」자기한테 강제로 붙여진 깡패라는 꼬리표에 오히려 충실하려는 사람 같았다.≪윤흥길, 비늘≫
26. 늑표 (勒票) [늑표]
한자: 勒(굴레 륵), 票(표 표)
힘이나 권세로 위협하여 억지로 받아 낸 증서.
27. 다수표 (多數票) [다수표]
한자: 多(많을 다), 數(셈 수:), 票(표 표)
투표에서, 많은 수를 차지하는 표.
용례:
부결 쪽이 다수표이므로 이 안건은 부결되었음을 공포합니다.
28. 단기투표 (單記投票) [단기투표]
한자: 單(홑 단), 記(기록할 기), 投(던질 투), 票(표 표)
투표 방법의 하나. 한 선거인이 한 장의 투표용지에 한 사람의 피선거인 이름만 적어서 하는 투표 방식이다.
용례:
단기 투표를 하다.
29. 대기표 (待期票) [대:기표]
한자: 待(기다릴 대:), 期(기약할 기), 票(표 표)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미리 주어 행사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는 표.
용례:
수백 명의 사람이 대기표를 받아 든 채 입장 순서만을 기다리고 있다.
30. 돈표 (돈票) [돈:표]
한자: 票(표 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표. 수표, 어음 따위가 있다.
용례:
- 돈표를 받다.
- 전보환을 부치라 했더니 이른 말은 까먹고 아무거나 돈표면 되는 줄 알고 받아서 그거나마 영수증 쪽을 찢어서 봉투에다가 부친 거로구나.≪염상섭, 삼대≫
31. 동정표 (同情票) [동정표]
한자: 同(한가지 동), 情(뜻 정), 票(표 표)
선거에서, 유권자가 후보를 동정하여 주는 표.
용례:
- 동정표를 얻다.
- 동정표를 끌어모으다.
- 동정표를 호소하다.
32. 득표 (得票) [득표]
한자: 得(얻을 득), 票(표 표)
투표에서 찬성표를 얻음. 또는 그 얻은 표.
용례:
- 과반수 득표.
- 그는 85%라는 압도적인 득표로 당선되었다.
33. 뜨내기표 (뜨내기票) [뜨내기표]
한자: 票(표 표)
선거 때에 지지하는 후보나 정당이 확실하지 아니하고 그때그때의 정세나 분위기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많은 표.
용례:
이번 선거의 결과는 뜨내기표의 향방에 달려 있다.
34. 매표 (買票) [매:표]
한자: 買(살 매:), 票(표 표)
「1」차표나 입장권 따위의 표를 삼.
「2」투표할 사람에게 돈을 주고 표를 얻는 일.
35. 매표 (賣票) [매:표]
한자: 賣(팔 매(:)), 票(표 표)
차표나 입장권 따위의 표를 팖.
용례:
매표가 시작된 지 5분도 안 돼 매진되었다.
36. 몰표 (몰票) [몰표]
한자: 票(표 표)
한 출마자에게 무더기로 쏠리는 표.
용례:
당선 후보의 출생 지역에서 몰표가 나왔다.
37. 무기명투표 (無記名投票) [무기명투표]
한자: 無(없을 무), 記(기록할 기), 名(이름 명), 投(던질 투), 票(표 표)
투표용지에 투표인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 비밀 투표.
용례:
암만 비밀, 무기명 투표라고 하여도, 누가 누구에게 투표를 한 것이 나중 가서 죄다 드러나게 마련이 되었느니라고….≪채만식, 돼지≫
38. 무투표 (無投票) [무투표]
한자: 無(없을 무), 投(던질 투), 票(표 표)
투표를 하지 아니함.
용례:
시장에 무투표로 당선되다.
39. 무효표 (無效票) [무효표]
한자: 無(없을 무), 效(본받을 효:), 票(표 표)
효력을 잃은 표.
용례:
선거에 반대하는 마음이 있으면 무효표를 만들어 버릴 수 있었을 것인데, 무효표가 극히 적었다고 하니….≪이병주, 지리산≫
40. 물표 (物票) [물표]
한자: 物(물건 물), 票(표 표)
물건을 보내거나 맡긴 것에 대하여 증거로 삼는 표지.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票 표 표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票 표 표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