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밀집촌 (密集村) [밀찝촌]
한자: 密(빽빽할 밀), 集(모을 집), 村(마을 촌:)
집 따위가 빽빽하게 모여 있는 곳.
37. 반촌 (泮村) [반:촌]
한자: 泮(얼음풀릴/학교 반), 村(마을 촌:)
예전에, 성균관을 중심으로 한 근처의 동네를 이르던 말.
용례:
반촌에 살고 있는 반인들은 주로 성균관에 소속된 하례들로….≪최명희, 혼불≫
38. 반촌 (班村) [반촌]
한자: 班(나눌 반), 村(마을 촌:)
예전에, 양반들이 모여 사는 동네를 이르던 말.
용례:
- 평민들은 무슨 봉변을 당할지 몰라 길 건너 반촌에 들어가기를 두려워했다.
- 큰 개천에 면한 곳에는 그럴싸한 기와집이 늘어서 있지만 반촌은 아니다.≪한무숙, 만남≫
39. 방촌 (坊村) [방촌]
한자: 坊(동네 방), 村(마을 촌:)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40. 벽촌 (僻村) [벽촌]
한자: 僻(궁벽할 벽), 村(마을 촌:)
외따로 떨어져 있는 궁벽한 마을.
용례:
- 내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은 전깃불도 없는 벽촌이었다.
- 우리는 옷차림만 보고도 그 애의 집이 면인지 읍내인지 벽촌인지를 알아볼 수가 있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아직도 가끔 호랑이 새끼가 나온다는 산악 지대의 벽촌에서 영양 불량으로 누렇게 뜬 어린것들을 데리고 산에서 솔가지를 따고 있었죠.≪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41. 변촌 (邊村) [변촌]
한자: 邊(가[側] 변), 村(마을 촌:)
도시에서 떨어진 외딴 마을.
42. 본촌 (本村) [본촌]
한자: 本(근본 본), 村(마을 촌:)
주가 되는 마을을 갈라져 나간 마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아직까지 부모님들은 본촌에 머물러 계신다.
43. 부자촌 (富者村) [부:자촌]
한자: 富(부자 부:), 者(놈 자), 村(마을 촌:)
부자들이 모여 사는 동네.
용례:
부자촌인 동문 밖 최가네 근처에 살고 있는 애 안 딸린 과부와 대충 성사가 됐다는 마누라의 보고였다.≪서기원, 마록 열전≫
44. 부촌 (富村) [부:촌]
한자: 富(부자 부:), 村(마을 촌:)
부자가 많이 사는 마을.
용례:
- 춘궁기라서 얼마간의 양식을 얻으려면 부촌을 털어야만 하는데 부촌은 대개 원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그만큼 작전에 위험이 따랐다.≪이병주, 지리산≫
- 음력 섣달그믐이 내일모레라서 그런지 그래도 이 동네는 부촌이라 이 집 저 집에서 떡 치는 소리가 들리고 거리가 질번질번한 것 같다.≪염상섭, 삼대≫
45. 북촌 (北村) [북촌]
한자: 北(북녘 북), 村(마을 촌:)
「1」북쪽에 있는 마을.
「2」조선 시대에, 서울 안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있는 마을들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용례:
- 「2」내가 내일 아침 서울로 올라가서 북촌 대가의 재상들을 찾을 테니 돈 십만 냥쯤 좋이 마련해 놓으시오.≪박종화, 임진왜란≫
- 「2」서울 북촌의 대갓집들처럼 담 치고 기와 올린 품이 으리으리하지는 못하나 행랑채와 몸채의 구분이 분명하고….≪김주영, 객주≫
46. 빈민촌 (貧民村) [빈민촌]
한자: 貧(가난할 빈), 民(백성 민), 村(마을 촌:)
주로 도시에서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용례:
- 나도 택시를 보낸 후 슬슬 그의 뒤를 따라 빈민촌의 무허가 건물이 꽉 들어찬 언덕을 오르기 시작했다.≪김성일, 무차원 근처≫
- 말이 선비의 마을이지, 게딱지 같은 초가집이 삼사십 호 가파른 언덕 아래 모여 있는 빈민촌이었다.≪서기원, 마록 열전≫
47. 빈촌 (貧村) [빈촌]
한자: 貧(가난할 빈), 村(마을 촌:)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마을.
용례:
- 그 전까지만 해도 벌교는 낙안 고을을 떠받치고 있는 낙안벌의 끝에 꼬리처럼 매달려 있는 갯가 빈촌에 불과했다.≪조정래, 태백산맥≫
- 그는 꽤 잘생기고 결코 어리석지는 않았으나 빈촌인 이 마을에서도 가장 가난하게 사는 사나이였다.≪박경수, 동토≫
48. 산록촌 (山麓村) [살록촌]
한자: 山(메 산), 麓(산기슭 록), 村(마을 촌:)
산기슭에 위치한 마을.
49. 산지촌 (山地村) [산지촌]
한자: 山(메 산), 地(따 지), 村(마을 촌:)
주로 임업과 목축업 따위를 행하는, 산지에 이루어진 마을.
50. 산촌 (山村) [산촌]
한자: 山(메 산), 村(마을 촌:)
산속에 있는 마을.
용례:
- 산촌 마을.
- 저희들도 같이 따라가고 싶지만 여럿이 다니면 필시 의심받을 터이니, 저희들은 따로 산촌으로 들어가 숨을까 합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내일 틈나는 대로 부근의 산촌을 둘러보고 또 하계동 때처럼 우리 식구 숨어 살 만한 곳을 찾아봐요.≪이문열, 영웅시대≫
51. 산촌 (散村) [산:촌]
한자: 散(흩을 산:), 村(마을 촌:)
인가가 흩어져서 이루어진 마을. 태백산맥 동북부, 충청남도 서해안 간척지와 과수원 지대, 대도시 주변의 근교 농업 지대가 대표적이다.
52. 서촌 (西村) [서촌]
한자: 西(서녘 서), 村(마을 촌:)
「1」서쪽 마을.
「2」예전에, 서울 안에서 서쪽에 있는 동네를 이르던 말.
53. 선수촌 (選手村) [선:수촌]
한자: 選(가릴 선:), 手(손 수(:)), 村(마을 촌:)
선수들이 집단으로 숙식할 수 있게 건물이나 시설을 갖추어 놓은 일정한 지역.
54. 성촌 (成村) [성촌]
한자: 成(이룰 성), 村(마을 촌:)
마을을 이룸.
55. 성촌 (城村) [성촌]
한자: 城(재 성), 村(마을 촌:)
성곽과 촌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
56. 소촌 (小村) [소:촌]
한자: 小(작을 소:), 村(마을 촌:)
작은 마을.
57. 소촌 (疏村) [소촌]
한자: 疏(소통할 소), 村(마을 촌:)
두 집 또는 세 집, 네 집씩 분산되어 있는 마을.
58. 수촌 (水村) [수촌]
한자: 水(물 수), 村(마을 촌:)
물가에 있는 마을.
59. 어촌 (漁村) [어촌]
한자: 漁(고기잡을 어), 村(마을 촌:)
어민(漁民)들이 모여 사는 바닷가 마을.
용례:
- 내가 자란 곳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바닷가 외딴 어촌이다.
- 어촌에서 태어나서 어촌에서 잔뼈가 굵은 탓으로 그는 바다를 떠나서는 살 수가 없었다.≪박태준, 이산 별곡≫
60. 역촌 (驛村) [역촌]
한자: 驛(역 역), 村(마을 촌:)
역이 있는 마을.
61. 연촌 (煙村) [연촌]
한자: 煙(연기 연), 村(마을 촌:)
안개나 비에 가려 희미하게 보이는 마을.
62. 열촌 (列村) [열촌]
한자: 列(벌릴 렬), 村(마을 촌:)
집이 줄지어 서 있는 모양으로 모여 있는 마을.
용례:
강 하류로 내려오자 강줄기를 따라 형성된 열촌이 나타났다.
63. 영화촌 (映畫村) [영화촌]
한자: 映(비칠 영(:)), 畫(그림 화:), 村(마을 촌:)
영화 촬영을 비롯하여 영화 제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준비를 하기 위해 기관들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일정한 구역.
64. 외촌 (外村) [외:촌]
한자: 外(바깥 외:), 村(마을 촌:)
「1」고을 밖에 있는 마을.
「2」자기가 살고 있는 마을이 아닌 마을.
용례:
「1」관속들이 개 쏘대듯 하는 읍내 바닥에서 일행이 오래 지체하는 것은 부질없기 짝 없는 일이라 외촌에 나가서 어물 장수 행세하고 돌아다니며 일을 꾸미자고 의논들 하고….≪홍명희, 임꺽정≫
65. 우촌 (雨村) [우:촌]
한자: 雨(비 우:), 村(마을 촌:)
비에 잠긴 마을. 또는 비 때문에 부옇게 흐려 보이는 마을.
66. 원촌 (圓村) [원촌]
한자: 圓(둥글 원), 村(마을 촌:)
중앙에 광장 또는 목초지가 있고 그 주위에 가옥이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촌락. 주로 중부 유럽에 분포하며, 특히 엘베강 동쪽에서부터 폴란드에 이르는 지역에 발달하여 있다.(환촌)
67. 원촌 (遠村) [원:촌]
한자: 遠(멀 원:), 村(마을 촌:)
멀리 떨어져 있는 마을.
용례:
동창을 열고 보니 불그레하게 산허리에 해는 올라오고 원촌에 개가 짖으며 사면에서 사람의 소리가 나더니….≪이해조, 고목화≫
68. 읍촌 (邑村) [읍촌]
한자: 邑(고을 읍), 村(마을 촌:)
「1」읍에 속한 마을.
「2」읍과 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각 읍촌에 전령을 돌리다.
- 「1」봉산 군수는 호환 난 것을 알고 읍촌의 사냥꾼들을 관가로 불러들여서 호랑이를 잡도록 하라고 분부하였다.≪홍명희, 임꺽정≫
69. 이민촌 (移民村) [이민촌]
한자: 移(옮길 이), 民(백성 민), 村(마을 촌:)
이민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70. 이상촌 (理想村) [이:상촌]
한자: 理(다스릴 리:), 想(생각 상:), 村(마을 촌:)
이상적이며 완전한 마을.
용례:
밤낮 이상촌 건설이 소원이었다. 산수 좋은 곳에 큰 동네 하나를 사 가지고 마음에 맞는 사람끼리만 모여 살되….≪이태준, 화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