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3

71. 인가촌 (人家村) [인가촌]

한자: 人(사람 인), 家(집 가), 村(마을 촌:)

인가가 있는 마을.

72. 인촌 (鄰村) [인촌]

한자: 鄰(이웃 린), 村(마을 촌:)

이웃 마을.

73. 일촌 (一村) [일촌]

한자: 一(한 일), 村(마을 촌:)

한 마을 전체.

용례:

집성촌으로 자작(自作) 일촌을 이루고 살아오던 이씨 문중의 마을 매안에도 서원이 헐리면서….≪최명희, 혼불≫

74. 임지촌 (林地村) [임지촌]

한자: 林(수풀 림), 地(따 지), 村(마을 촌:)

임지를 개척하여 만든 촌락.

75. 입촌 (入村) [입촌]

한자: 入(들 입), 村(마을 촌:)

선수촌 따위의 ‘-촌’(村)이라는 이름이 붙은, 집단으로 숙식할 수 있는 건물이나 시설에 들어감.

용례:

선수들의 선수촌 입촌이 늦어지다.

76. 자연촌 (自然村) [자연촌]

한자: 自(스스로 자), 然(그럴 연), 村(마을 촌:)

취락(聚落)으로서 한 무리를 이루고, 사회생활의 기초 단위가 되는 촌락.

77. 적성촌 (敵性村) [적썽촌]

한자: 敵(대적할 적), 性(성품 성:), 村(마을 촌:)

내란기에 반정부 게릴라들에게 동조적 입장을 취하는 촌락.

용례:

적성촌에 정부군을 투입해 반정부군을 소탕했다.

78. 전촌 (全村) [전촌]

한자: 全(온전 전), 村(마을 촌:)

온 마을.

용례:

그 책임을 현범의 촌읍에 돌려 주륙을 가하고 또는 전촌을 소이(燒夷)하는 등의 조치를 실행하여….≪문순태, 타오르는 강≫

79. 점상촌 (點狀村) [점상촌]

한자: 點(점 점(:)), 狀(형상 상), 村(마을 촌:)

기하학적 평면 형태에서 점 모양으로 된 취락.

80. 지구촌 (地球村) [지구촌]

한자: 地(따 지), 球(공 구), 村(마을 촌:)

지구 전체를 한 마을처럼 여겨 이르는 말.

용례:

  • 우리나라 기업들이 지구촌 곳곳에 진출하여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 빠른 통신 수단의 발달은 전 세계를 하나의 지구촌으로 연결해 놓았다.

81. 지촌 (支村) [지촌]

한자: 支(지탱할 지), 村(마을 촌:)

어떤 마을에서 떨어져 나와 새로 이루어진 마을.

82. 지하촌 (地下村) [지하촌]

한자: 地(따 지), 下(아래 하:), 村(마을 촌:)

움집이나 반움집, 또는 어떤 구조물의 지하에 모여 붙어 들어앉은 오막살이집 따위가 많이 있는 곳.

83. 집단촌 (集團村) [집딴촌]

한자: 集(모을 집), 團(둥글 단), 村(마을 촌:)

집단으로 모여 사는 마을.

용례:

집단촌을 형성하다.

84. 집성촌 (集姓村) [집썽촌]

한자: 集(모을 집), 姓(성 성:), 村(마을 촌:)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이 모여 사는 촌락.

용례:

시골에는 아직도 집성촌을 이루며 사는 곳이 있다.

85. 집촌 (集村) [집촌]

한자: 集(모을 집), 村(마을 촌:)

집들이 한곳에 모여 이룬 마을.

86. 차촌 (此村) [차촌]

한자: 此(이 차), 村(마을 촌:)

이 마을.

87. 천막촌 (天幕村) [천막촌]

한자: 天(하늘 천), 幕(장막 막), 村(마을 촌:)

천막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지역이나 마을.

용례:

1960년대 초까지만 하여도 서울 변두리에는 천막촌이 적지 않았다.

88. 촌촌 (村村) [촌:촌]

한자: 村(마을 촌:), 村(마을 촌:)

여러 마을. 또는 각각의 마을.

용례:

  • 아지랑이 틈으로 보이는 촌촌마다 그 초가지붕 위로는 복숭아꽃이 제빛을 자랑하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 눈 아래 평야의 촌촌을 내려다보며…세상 티끌을 씻던 것도 이곳이다.≪한설야, 탑≫

89. 타촌 (他村) [타촌]

한자: 他(다를 타), 村(마을 촌:)

다른 마을.

용례:

타촌 사람.

90. 탄광촌 (炭鑛村) [탄:광촌]

한자: 炭(숯 탄:), 鑛(쇳돌 광:), 村(마을 촌:)

탄광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모여 사는 마을.

용례:

탄광촌의 주민들은 멀리 나들이를 나갈 경우 석탄을 실어 나르는 트럭을 이용하는 일이 많았다.≪윤흥길, 비늘≫

91. 퇴촌 (退村) [퇴:촌]

한자: 退(물러날 퇴:), 村(마을 촌:)

읍내에서 촌으로 물러가서 삶.

92. 판자촌 (板子村) [판자촌]

한자: 板(널 판), 子(아들 자), 村(마을 촌:)

판잣집이 모여 있는 매우 가난한 동네.

용례:

  • 판자촌 주민.
  • 무허가 판자촌을 헐다.
  • 청계천 둑에 있는 판자촌에 방 한 칸을 얻어 놓고 자취를 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93. 패촌 (敗村) [패:촌]

한자: 敗(패할 패:), 村(마을 촌:)

세력 따위가 줄고 약해져서 황폐해진 마을.

용례:

  • 탄광이 문을 닫자 마을은 어느새 패촌이 되었다.
  • 한때 번창했던 마을이 전염병으로 거의 패촌이 되었다.

94. 포촌 (浦村) [포촌]

한자: 浦(개[水邊] 포), 村(마을 촌:)

갯가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

용례:

평생을 포촌 나룻목에서 뒹굴어 보았자 이만한 거금을 만져 볼 수는 없었다.≪김주영, 객주≫

95. 하숙촌 (下宿村) [하:숙촌]

한자: 下(아래 하:), 宿(잘 숙), 村(마을 촌:)

하숙집이 많이 몰려 있는 동네.

용례:

작자에게는 딸꾹질 외에도 처음부터 어딘가 이 대학가 하숙촌과는 어울리지 않는 구석이 많은 위인이었다.≪이청준, 빈 방≫

96. 한촌 (寒村) [한촌]

한자: 寒(찰 한), 村(마을 촌:)

가난하고 쓸쓸한 마을.

용례:

  • 궁벽한 곳에 자리 잡은 한촌.
  • 도로가 확장되자 한촌에 불과했던 읍이 번화해졌다.

97. 한촌 (閑村) [한촌]

한자: 閑(한가할 한), 村(마을 촌:)

한적한 마을.

98. 행화촌 (杏花村) [행:화촌]

한자: 杏(살구 행:), 花(꽃 화), 村(마을 촌:)

살구꽃이 많이 피는 마을.

99. 향촌 (鄕村) [향촌]

한자: 鄕(시골 향), 村(마을 촌:)

시골의 마을.

용례:

  • 향촌 주민.
  • 향촌 사회.
  • 여기까지 말을 타고 내려오는데 향촌의 선비들이 소생을 보기를 짐승 보듯 하더이다.≪박경리, 토지≫

100. 협촌 (峽村) [협촌]

한자: 峽(골짜기 협), 村(마을 촌:)

두메 마을.

101. 호촌 (湖村) [호촌]

한자: 湖(호수 호), 村(마을 촌:)

호수 부근에 있는 마을.

102. 화전촌 (火田村) [화:전촌]

한자: 火(불 화(:)), 田(밭 전), 村(마을 촌:)

화전을 일구어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103. 황촌 (荒村) [황촌]

한자: 荒(거칠 황), 村(마을 촌:)

버려두어 거칠고 쓸쓸한 마을.

104. 휴양촌 (休養村) [휴양촌]

한자: 休(쉴 휴), 養(기를 양:), 村(마을 촌:)

「1」편안히 쉬면서 몸과 마음을 보양하기에 알맞은 마을.
「2」휴양소가 자리 잡은 마을.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