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志 뜻 지

1. 강지 (剛志) [강지]

한자: 剛(굳셀 강), 志(뜻 지)

굳센 의지.

2. 결지 (決志) [결찌]

한자: 決(결단할 결), 志(뜻 지)

뜻을 정하여 굳게 마음을 먹음. 또는 그런 마음.

3. 계지 (繼志) [계:지]

한자: 繼(이을 계:), 志(뜻 지)

앞사람의 뜻을 이어받음.

4. 고지 (高志) [고지]

한자: 高(높을 고), 志(뜻 지)

「1」고상한 뜻.
「2」남의 의견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2」사장님의 고지를 신중히 생각해 보겠습니다.

5. 구지 (求志) [구지]

한자: 求(구할[索] 구), 志(뜻 지)

평소에 자기가 품은 뜻을 지켜 나가기를 원함.

6. 능소지 (凌霄志) [능소지]

한자: 凌(업신여길 릉), 霄(하늘 소), 志(뜻 지)

하늘보다도 더 높은 큰 뜻.

7. 대지 (大志) [대:지]

한자: 大(큰 대(:)), 志(뜻 지)

마음에 품은 큰 뜻.

용례:

대공께서 돈오하여 지선교를 펴신 것도 백성을 도탄에서 구하고 어지러운 나라를 바로 세워 보겠다는 대지를 가지셨기 때문이다.≪유현종, 들불≫

8. 독지 (篤志) [독찌]

한자: 篤(도타울 독), 志(뜻 지)

도탑고 친절한 마음.

용례:

독지를 베풀다.

9. 동지 (同志) [동지]

한자: 同(한가지 동), 志(뜻 지)

목적이나 뜻이 서로 같음. 또는 그런 사람.

용례:

  • 동지가 되다.
  • 동지를 만나다.
  • 자네의 동지가 몇 사람이나 되는가?
  • 과거에는 적이었던 포로들이 지금은 자기편을 등지고 우리의 동지로 변해 버렸다.≪홍성원, 육이오≫

10. 득지 (得志) [득찌]

한자: 得(얻을 득), 志(뜻 지)

뜻대로 일이 이루어짐. 또는 뜻한 바를 이룸.

11. 맹지 (猛志) [맹:지]

한자: 猛(사나울 맹:), 志(뜻 지)

굳게 먹은 뜻.

12. 무의지 (無意志) [무이지]

한자: 無(없을 무), 意(뜻 의:), 志(뜻 지)

「1」의지가 없음.
「2」사고나 행위를 시발하는 능력이 감소되어 뜻을 굳히지 못하고 행위를 할 수 없게 되는 멍한 상태. 정신병이나 신경증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용례:

「1」삶에 대한 무의지는 공통된 질병처럼 이 집에 사는 사람들에게 스며들어 뿌리를 내린 것이다.≪박경리, 토지≫

13. 민지 (民志) [민지]

한자: 民(백성 민), 志(뜻 지)

국민의 뜻.

14. 박지 (薄志) [박찌]

한자: 薄(엷을 박), 志(뜻 지)

「1」의지가 여리고 나약함. 또는 그런 의지.
「2」속으로 품은 작은 뜻.

15. 본지 (本志) [본지]

한자: 本(근본 본), 志(뜻 지)

본디 뜻하는 바.

용례:

은사님의 본지를 잘 헤아려서 처신을 하여라.

16. 부득지 (不得志) [부득찌]

한자: 不(아닐 불), 得(얻을 득), 志(뜻 지)

때를 만나지 못하여 품은 뜻을 이루지 못함.

17. 생활의지 (生活意志) [생활의:지]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意(뜻 의:), 志(뜻 지)

생활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나 의지.

용례:

그는 자신의 문학과 생활 의지가 팽팽하게 반발하는 긴장 속에서, 그 긴장을 견디는….≪이청준, 조율사≫

18. 소지 (小志) [소:지]

한자: 小(작을 소:), 志(뜻 지)

작은 뜻.

19. 소지 (所志) [소:지]

한자: 所(바 소:), 志(뜻 지)

예전에, 청원이 있을 때에 관아에 내던 서면.

용례:

신이 관에 소지를 올려서 막둥이가 주인을 능욕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했더니….≪번역 명종실록≫

20. 소지 (素志) [소지]

한자: 素(본디/흴[白] 소(:)), 志(뜻 지)

평소에 늘 지니고 있는 생각.

용례:

사람의 성질이란 한번 빗나가기만 하면 소지를 잊어버리기 쉬운 이상한 일면이 있는 것이라.≪김용준, 근원 수필≫

21. 속심지 (속心志) [속:씸지]

한자: 心(마음 심), 志(뜻 지)

마음속에 품은 뜻.

22. 숙지 (宿志) [숙찌]

한자: 宿(잘 숙), 志(뜻 지)

오랫동안 마음에 품어온 뜻.

용례:

숙지를 발휘하다.

23. 숙지 (肅志) [숙찌]

한자: 肅(엄숙할 숙), 志(뜻 지)

뜻을 삼감.

24. 신지 (伸志) [신지]

한자: 伸(펼 신), 志(뜻 지)

뜻을 폄.

25. 심지 (心志) [심지]

한자: 心(마음 심), 志(뜻 지)

마음에 품은 의지.

용례:

  • 심지가 강하다.
  • 이조 참판 이항복은 심지가 굳고 머리가 밝고 맑아서 국가가 창황한 이때 크게 발탁해 쓸 만한 인물이다.≪박종화, 임진왜란≫

26. 양지 (養志) [양:지]

한자: 養(기를 양:), 志(뜻 지)

「1」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2」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용례:

「2」여생이 얼마 안 남은 부친이니 그야말로 양지는 못할망정 자식 된 자기로서 제 속마음으로라도 향의만은 정성껏 하리라고 생각하다가도….≪염상섭, 삼대≫

27. 언지 (言志) [언지]

한자: 言(말씀 언), 志(뜻 지)

자기의 뜻을 말한다는 뜻으로, ‘시’(詩)를 이르는 말.

28. 영지 (英志) [영지]

한자: 英(꽃부리 영), 志(뜻 지)

훌륭한 뜻.

29. 웅지 (雄志) [웅지]

한자: 雄(수컷 웅), 志(뜻 지)

웅대한 뜻.

용례:

  • 웅지를 품다.
  • 아이들의 웅지를 북돋아 주지는 못할망정 그 무슨 좀된 소리요.≪손창섭, 미해결의 장≫
  • 사회에 나갔으니 웅지를 한번 펴 보시오.≪김승옥, 60년대식≫

30. 원지 (遠志) [원:지]

한자: 遠(멀 원:), 志(뜻 지)

원대한 뜻.

31. 유지 (有志) [유:지]

한자: 有(있을 유:), 志(뜻 지)

「1」마을이나 지역에서 명망 있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
「2」어떤 일에 뜻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

용례:

  • 「1」지역 유지.
  • 「1」그 어른은 이곳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유지이다.
  • 「1」그 동아리는 유지 대접을 받는 집 아이들로 이루어졌다.

32. 유지 (遺志) [유지]

한자: 遺(남길 유), 志(뜻 지)

죽은 사람이 살아서 이루지 못하고 남긴 뜻.

용례:

  • 유지를 따르다.
  • 유지를 받들다.
  • 유지를 저버리다.
  • 자기 남편의 유지를 이을 만한 젊은이란 그리 흔치 않았다.≪염상섭, 삼대≫

33. 의지 (意志) [의:지]

한자: 意(뜻 의:), 志(뜻 지)

「1」어떠한 일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
「2」선택이나 행위의 결정에 대한 내적이고 개인적인 역량.
「3」어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의식적인 행동을 하게 하는 내적 욕구. 도덕적인 가치 평가의 원인도 된다.

용례:

  • 「1」굳은 의지.
  • 「1」의지가 강하다.
  • 「1」그는 이번 일을 성사시키려는 의지를 보였다.
  • 「1」머리는 보기 좋은 반백이었지만 눈엔 눈물 자국 대신 확고한 목적이 있는 젊은이 같은 어떤 의지를 담고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34. 입지 (立志) [입찌]

한자: 立(설 립), 志(뜻 지)

뜻을 세움.

35. 장지 (壯志) [장:지]

한자: 壯(장할 장:), 志(뜻 지)

마음에 품은 장하고 큰 뜻.

용례:

  • 청년은 대붕(大鵬)의 장지를 품고 살아야 한다.
  • 미국으로 가서 고학을 하겠다던 두 청년의 장지는 그길로 좌절되었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36. 적지 (適志) [적찌]

한자: 適(맞을 적), 志(뜻 지)

뜻에 맞음.

37. 적지 (積志) [적찌]

한자: 積(쌓을 적), 志(뜻 지)

여러 해 동안 품어 온 뜻.

용례:

오랜 적지를 마침내 이루다.

38. 전지 (前志) [전지]

한자: 前(앞 전), 志(뜻 지)

「1」전에 품었던 뜻.
「2」이전의 기록이나 서적.

39. 초지 (初志) [초지]

한자: 初(처음 초), 志(뜻 지)

처음에 품은 뜻.

용례:

  • 초지가 꺾이다.
  • 초지를 관철하다.
  • 여순은 초지대로만 나갔다. 물론 안락한 생활에 대한 동경도 있었지만….≪한설야, 황혼≫

40. 촌지 (寸志) [촌:지]

한자: 寸(마디 촌:), 志(뜻 지)

「1」속으로 품은 작은 뜻.
「2」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3」어떤 사람에게 잘 보아달라는 뜻으로 건네는, 약간의 돈.

용례:

  • 「3」내 호주머니에 촌지를 밀어 넣던 어느 학부형같이 그는 수줍게 그 말만 건네고는 언덕을 내려갔다.≪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 「3」박은 그 기자들에게 소위 촌지란 명목으로 만 원짜리 수표를 한 장씩 주었다더란 소문도 파다했었는데, 그래서 그랬는지 신문엔 명함만이나 한 사진까지 곁들여져 있었다.≪이문구, 해벽≫

41. 충지 (忠志) [충지]

한자: 忠(충성 충), 志(뜻 지)

충성스러운 뜻.

용례:

시대와 나라가 다르나, 이 땅엔들 어찌 곽자의, 사가법 같은 충지의 사(士)가 없으며….≪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42. 탕지 (蕩志) [탕:지]

한자: 蕩(방탕할 탕:), 志(뜻 지)

「1」크고 넓은 뜻.
「2」방탕한 마음.

43. 투지 (鬪志) [투지]

한자: 鬪(싸움 투), 志(뜻 지)

싸우고자 하는 굳센 마음.

용례:

  • 불굴의 투지.
  • 그는 실패에 낙담하지 않고 더더욱 강한 각오와 투지를 다졌다.
  • 그들은 투지와 지구력으로 끝까지 싸웠다.
  • 용맹스러운 투쟁을 위해, 불굴의 투지를 가진 혁명 전사가 되기 위해서는 그런 마음 약하게 하고 정신 혼란스럽게 만드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조정래, 태백산맥≫

44. 특지 (特志) [특찌]

한자: 特(특별할 특), 志(뜻 지)

「1」좋은 일을 위한 특별한 뜻.
「2」뜻있는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

45. 하지 (何志) [하지]

한자: 何(어찌 하), 志(뜻 지)

어떠한 의향(意向). 또는 무슨 뜻.

46. 홍지 (鴻志) [홍지]

한자: 鴻(기러기 홍), 志(뜻 지)

마음에 품은 큰 뜻.

47. 효지 (孝志) [효:지]

한자: 孝(효도 효:), 志(뜻 지)

효성을 다하려는 마음.

용례:

갸륵한 효지.

48. 후지 (厚志) [후:지]

한자: 厚(두터울 후:), 志(뜻 지)

남을 위하는 두터운 마음과 뜻.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