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316. 최적지 (最適地) [최:적찌]

한자: 最(가장 최:), 適(맞을 적), 地(따 지)

무엇을 하기에 가장 조건이 알맞은 곳.

용례:

  • 공장터로는 이곳이 최적지이다.
  • 아무리 삼포 자리를 보러 다녀 봐도 샛골 삼포만치 삼포로서의 최적지를 발견할 수 없는 거였다.≪박완서, 미망≫

317. 축지 (縮地) [축찌]

한자: 縮(줄일 축), 地(따 지)

도술(道術)로 지맥(地脈)을 축소하여 먼 거리를 가깝게 하는 일.

318. 출발지 (出發地) [출발찌]

한자: 出(날[生] 출), 發(필 발), 地(따 지)

어디를 향하여 떠나는 곳.

용례:

우리가 찾아가는 장소는 출발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다.

319. 출생지 (出生地) [출쌩지]

한자: 出(날[生] 출), 生(날 생), 地(따 지)

사람이 태어난 곳.

용례:

  • 그의 출생지는 전주이다.
  • 출생지는 시골이었지만 유년 시절은 대부분 서울에서 보냈다.

320. 출장지 (出張地) [출짱지]

한자: 出(날[生] 출), 張(베풀 장), 地(따 지)

출장 가는 곳. 또는 출장 임무를 수행하는 곳.

용례:

  • 출장지가 멀다.
  • 출장지로 떠나다.

321. 출항지 (出港地) [출항지]

한자: 出(날[生] 출), 港(항구 항:), 地(따 지)

배가 출발하는 항구.

용례:

출항지와 입항지.

322. 타지 (他地) [타지]

한자: 他(다를 타), 地(따 지)

다른 지방이나 지역.

용례:

  • 그는 학교 때문에 부모와 떨어져 타지에 살고 있다.
  • 일 년이나 이 년에 한 번씩 집에 들를 뿐 바람처럼 타지로만 흘러 다녔다.≪김원일, 노을≫

323. 태생지 (胎生地) [태생지]

한자: 胎(아이밸 태), 生(날 생), 地(따 지)

태어난 곳.

용례:

  • 태생지가 어딥니까?
  • 태생지가 외국이라 그런지 말투가 독특하다.

324. 택지 (宅地) [택찌]

한자: 宅(집 택), 地(따 지)

집을 지을 땅.

용례:

  • 택지 개발.
  • 택지를 조성하다.

325. 텃도지 (텃賭地) [터또지]

한자: 賭(내기 도), 地(따 지)

터를 빌린 값으로 내는 세.

용례:

  • 남의 논을 부치는 사람들은 해마다 추수가 끝나면 텃도지로 쌀 두 말을 물었다.
  • 세상 별별 짓을 다 해도 갚을 도리가 있어야죠. 그저 텃도지를 못 물고 있는 사람이 반이나 되는데요.≪심훈, 상록수≫

326. 토지 (土地) [토지]

한자: 土(흙 토), 地(따 지)

「1」경지나 주거지 따위의 사람의 생활과 활동에 이용하는 땅.
「2」사람에 의한 이용이나 소유의 대상으로서 받아들여지는 경우의 땅. 못이나 늪·하천 따위를 포함해서 이르기도 하며, 소유권은 지상과 지하에까지 미친다.

용례:

  • 「1」토지가 비옥하다.
  • 「1」농민이 토지에 대한 집착이 강한 거야 당연한 것 아닙니까?

327. 파견지 (派遣地) [파견지]

한자: 派(갈래 파), 遣(보낼 견:), 地(따 지)

일정한 임무를 주어 사람을 보내는 곳.

용례:

하기야 1년씩 교대하는 병력인 데다가 한 번 나가면 귀국 명령을 받은 뒤에나 돌아오는 파견지였으니 그럴 만도 했다.≪이상문, 황색인≫

328. 평지 (平地) [평지]

한자: 平(평평할 평), 地(따 지)

바닥이 펀펀한 땅.

용례:

  • 넓은 평지.
  • 차는 험한 산골길을 평지 달리듯 마구 달린다.≪홍성원, 육이오≫
  • 20여 호는 족히 될 촌락이 평지에 자리 잡고 한쪽 구릉 자락에 과수원이 있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329. 평탄지 (平坦地) [평탄지]

한자: 平(평평할 평), 坦(평탄할 탄:), 地(따 지)

평평한 지대.

용례:

이 지역은 평탄지가 발달하여 농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330. 포진지 (砲陣地) [포진지]

한자: 砲(대포 포:), 陣(진칠 진), 地(따 지)

포를 사격하기 위하여 만든 진지.

용례:

  • 포진지를 구축하다.
  • 후방에 있는 아군의 포진지에서도 연방 적을 후려 때리고, 말로는 다 설명 못 해.≪최일남, 골방≫

331. 표준지 (標準地) [표준지]

한자: 標(표할 표), 準(준할 준:), 地(따 지)

사물의 정도나 성격 따위를 알기 위한 근거나 기준이 되는 지역.

용례:

땅값을 정하기 위하여 표준지의 공시 지가를 조사하였다.

332. 피난지 (避難地) [피:난지]

한자: 避(피할 피:), 難(어려울 난(:)), 地(따 지)

재난을 피하여 간 지역.

용례:

어쩌면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피난지에 영원히 삶의 뿌리를 내릴지도 알 수 없다.≪홍성원, 육이오≫

333. 피란지 (避亂地) [피:란지]

한자: 避(피할 피:), 亂(어지러울 란:), 地(따 지)

난리를 피하여 간 지역.

용례:

피란지는 온통 사람들로 꽉 차 있었다.

334. 피서지 (避暑地) [피:서지]

한자: 避(피할 피:), 暑(더울 서:), 地(따 지)

더위를 피하기에 알맞은 곳.

용례:

여행 가방을 손에 들고 피서지로 갈 수 있는 때의 우리의 마음은 무어라 하여도 경쾌하다 아니 할 수 없다.≪김진섭, 인생 예찬≫

335. 피한지 (避寒地) [피:한지]

한자: 避(피할 피:), 寒(찰 한), 地(따 지)

추위를 피하기에 알맞은 곳.

용례:

  • 올겨울 피한지를 정하다.
  • 이 지방은 피서지뿐만 아니라 피한지로도 유명하다.

336. 필지 (筆地) [필찌]

한자: 筆(붓 필), 地(따 지)

구획된 논이나 밭, 임야, 대지 따위를 세는 단위.

용례:

  • 한 필지의 땅.
  • 그녀는 그들이 살고 있는 두 채의 아파트 외에도 다섯 필지나 되는 대지를 갖고 있었고….≪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좌수는 농토가 몇 필지요?” “여든 필지…조금 못 되옵니다.”≪유현종, 들불≫

337. 한복지 (韓服地) [한:복찌]

한자: 韓(한국/나라 한(:)), 服(옷 복), 地(따 지)

한복을 지을 옷감.

용례:

종로통 근처에서 간판이 오랜 한복지 가게 한 곳을 찾아 들어가 거기서 우선 필요한 정보를 모두 얻어 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338. 한지 (寒地) [한지]

한자: 寒(찰 한), 地(따 지)

추운 지방이나 장소.

339. 행선지 (行先地) [행선지]

한자: 行(다닐 행(:)), 先(먼저 선), 地(따 지)

떠나가는 목적지.

용례:

  • 행선지를 알리다.
  • 행선지를 바꾸다.
  • 그는 부산에서 처음 배를 탔을 때 이들의 행선지가 인천이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었다.≪홍성원, 육이오≫

340. 허지 (虛地) [허지]

한자: 虛(빌 허), 地(따 지)

「1」쓰지 아니하고 버려둔 땅. 또는 아무것도 없는 빈 땅.
「2」해면보다 낮아서 물에 잠겨 있거나 물이 드나드는 땅.
「3」한데(사방, 상하를 덮거나 가리지 아니한 곳.)의 비표준어.

341. 험지 (險地) [험:지]

한자: 險(험할 험:), 地(따 지)

험난한 땅.

용례:

  • 험지에 다다르다.
  • 일행 가운데에는 어린아이들과 노인이 많아 이런 험지로 여행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342. 현주지 (現住地) [현:주지]

한자: 現(나타날 현:), 住(살 주:), 地(따 지)

현재 살고 있는 곳.

용례:

미국에 있는 청국 혁명당의 각 파 계통, 당원의 원적지, 현주지, 수령급의 성명과 성격….≪한용운, 흑풍≫

343. 현지 (現地) [현:지]

한자: 現(나타날 현:), 地(따 지)

「1」사물이 현재 있는 곳.
「2」일이 생긴 그 자리.
「3」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용례:

  • 「1」현지를 답사하다.
  • 「1」소수 민족의 생활을 알아보기 위해 취재 팀이 현지로 떠났다.
  • 「1」낯선 거리 모퉁이의 구멍가게에서 엽연초가 아닌 무슨 풀로 만든 현지 담배를 사 한 대 피워 물었을 때, 깡마르고 눈이 퀭한 사내가 다가와 말했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 「2」사고 현지.
  • 「2」사건 현지.
  • 「2」화재가 일어난 현지는 마치 지옥과 같았다.
  • 「2」야마구치 감찰관이 목포에 온 것은 지방 순시라는 명목이었으나 사실은 여기 사태가 심각하니까 현지 사정을 파악하러 왔을 것이라는 추측들이었다. ≪송기숙, 암태도≫
  • 「3」자갈과 모래뿐만 아니라 잔품팔이 일꾼들까지도 현지에서 조달되고 있었으니, 공사는 땅 짚고 헤엄치기나 마찬가지였다. ≪황석영, 영등포 타령≫

344. 호지 (胡地) [호지]

한자: 胡(되[狄] 호), 地(따 지)

오랑캐가 사는 땅. 흔히 중국 동북 지방을 이른다.

용례:

조상의 뼈가 묻힌 선산을 뺏기고…영하 30도의 추위에 떨어야 하는 이 삭막한 호지로 쫓겨 와서….≪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345. 환지 (換地) [환:지]

한자: 換(바꿀 환:), 地(따 지)

토지를 바꾸거나, 토지를 팔고 대토(代土)를 얻음. 또는 그렇게 바꾼 땅.

용례:

정부는 주택 허가가 안 되는 군부대 주변의 토지 중 일부를 환지 조처해 주기로 했다.

346. 황무지 (荒蕪地) [황무지]

한자: 荒(거칠 황), 蕪(거칠 무), 地(따 지)

손을 대어 거두지 않고 내버려두어 거친 땅.

용례:

  • 황무지로 내버려두다.
  • 황무지를 개간하다.
  • 전쟁으로 수많은 마을이 폐허가 되고 농토는 황무지로 변하였다.
  • 척가장 사람들이 황무지로만 여겨 온 늪지대는 그들에게는 바로 그만한 넓이의 논처럼 보였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347. 황폐지 (荒廢地) [황폐지]

한자: 荒(거칠 황), 廢(폐할/버릴 폐:), 地(따 지)

거칠어 쓸모가 없는 땅.

용례:

  • 황폐지를 복구하다.
  • 그는 자신의 소유로 된 거친 황폐지를 숲으로 가꾸기 위하여 먼저 토질부터 검사하기로 하였다.

348. 후보지 (候補地) [후보지]

한자: 候(기후 후:), 補(기울 보:), 地(따 지)

장차 어떤 목적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곳.

용례:

  • 쓰레기 소각장 후보지.
  • 후보지를 선정하다.
  • 이곳은 다음 올림픽 개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349. 휴경지 (休耕地) [휴경지]

한자: 休(쉴 휴), 耕(밭갈[犁田] 경), 地(따 지)

부치다가 갈지 아니하고 내버려둔 땅.

용례:

휴경지를 개간하다.

350. 휴양지 (休養地) [휴양지]

한자: 休(쉴 휴), 養(기를 양:), 地(따 지)

편안히 쉬면서 몸과 마음을 보양하기에 알맞은 곳.

용례:

이 도시는 산과 바다가 모두 인접해 있어 최고의 휴양지로 꼽힌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