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고 (眷顧) [권:고]
한자: 眷(돌볼 권:), 顧(돌아볼 고)
관심을 가지고 보살핌.
용례:
선생님의 특별하신 권고를 힘입고자 하옵던 터이오니, 아직 강보를 미면한 어린것을 길러 줍시사 하옵기는….≪염상섭, 이심≫
2. 권구 (眷口) [권:구]
한자: 眷(돌볼 권:), 口(입 구(:))
한집에 사는 식구.
용례:
- 권구가 많다.
- 서씨 가문에 권구가 하나 붙은 겁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3. 권권 (眷眷) [권:권]
한자: 眷(돌볼 권:), 眷(돌볼 권:)
「1」가엾게 여겨 늘 돌보아 주는 모양.
「2」연모하는 모양.
4. 권념 (眷念) [권:념]
한자: 眷(돌볼 권:), 念(생각 념:)
돌보며 생각함.
용례:
딸의 덕을 볼 욕심으로 이번 서울로 올라가거든 초봉이한테 그런 전갈과 권념을 해 달라는 속이거니 싶어, 못생긴 얼굴이 다시금 물끄러미 건너다보였다.≪채만식, 탁류≫
5. 권당 (眷黨) [권:당]
한자: 眷(돌볼 권:), 黨(무리 당)
친족과 외척을 아울러 이르는 말.
6. 권련 (眷戀) [궐:련]
한자: 眷(돌볼 권:), 戀(그리워할/그릴 련:)
간절히 생각하며 그리워함.
7. 권비 (眷庇) [권:비]
한자: 眷(돌볼 권:), 庇(덮을 비:)
돌보아 보호함.
8. 권속 (眷屬) [권:속]
한자: 眷(돌볼 권:), 屬(붙일 속)
「1」한집에 거느리고 사는 식구.
「2」‘아내’(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의 낮춤말.
용례:
- 「1」권속을 거느리다.
- 「1」전쟁으로 처자와 권속을 잃고 혼자만 남았다.
- 「1」그들 역시 처자 권속이 딸린 자들로서 일반 시민들 못지않게 속으로 다급해하고 있음이 분명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9. 권솔 (眷率) [권:솔]
한자: 眷(돌볼 권:), 率(거느릴 솔)
한집에 거느리고 사는 식구.
용례:
- 권솔이 많아 살림이 빠듯하다.
- 창피하고 남부끄러우니 앞으로는 최 참판 댁 누구를 막론하고 권솔은 그 문전에 출입을 말라는 엄한 분부였다 합니다.≪박경리, 토지≫
10. 권식 (眷食) [권:식]
한자: 眷(돌볼 권:), 食(밥/먹을 식)
한집에 사는 식구.
11. 권애하다 (眷愛하다) [궈:내하다]
한자: 眷(돌볼 권:), 愛(사랑 애(:))
돌보거나 보살펴 사랑하다.
용례:
자식을 권애하다.
12. 권연 (眷然) [궈:년]
한자: 眷(돌볼 권:), 然(그럴 연)
사모하여 뒤돌아봄.
13. 권우 (眷遇) [궈:누]
한자: 眷(돌볼 권:), 遇(만날 우:)
임금이 신하를 특별히 사랑하여 후하게 대우함. 또는 그런 대우.
14. 권우 (眷佑) [궈:누]
한자: 眷(돌볼 권:), 佑(도울 우:)
친절히 보살펴 도와줌.
15. 권하생 (眷下生) [권:하생]
한자: 眷(돌볼 권:), 下(아래 하:), 生(날 생)
존귀한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