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궤격하다 (詭激하다) [궤:겨카다]
한자: 詭(속일 궤:), 激(격할 격)
말과 행동이 사리에 맞지 않고 지나치게 과격하거나 격렬하다.
용례:
그는 곱상한 얼굴과는 달리 언행은 매우 궤격하였다.
2. 궤계 (詭計) [궤:계]
한자: 詭(속일 궤:), 計(셀 계:)
간사하게 남을 속이는 꾀.
용례:
- 그들은 딸이 희빈으로 중종을 모시고 있는 홍경주와 함께 왕에게 날이면 날마다 궤계를 부려 참소하였다.≪최명희, 혼불≫
- 그에게 무엇을 설득하려면 궤계를 써야 한다.≪최인훈, 가면고≫
3. 궤괴하다 (詭怪하다) [궤:괴하다]
한자: 詭(속일 궤:), 怪(괴이할 괴(:))
정상적이지 않고 별나며 괴상하다.
4. 궤기 (詭寄) [궤:기]
한자: 詭(속일 궤:), 寄(부칠 기)
중국 당나라·청나라 때에, 자기의 논밭을 소작인이나 가난한 사람의 이름으로 바꾸어 탈세하던 일.
5. 궤도 (詭道) [궤:도]
한자: 詭(속일 궤:), 道(길 도:)
남을 속이는 수단.
6. 궤망하다 (詭妄하다) [궤:망하다]
한자: 詭(속일 궤:), 妄(망령될 망:)
「1」거짓되고 망령되다.
「2」어이없고 허무하다.
7. 궤명 (詭名) [궤:명]
한자: 詭(속일 궤:), 名(이름 명)
이름을 속임.
8. 궤모 (詭謀) [궤:모]
한자: 詭(속일 궤:), 謀(꾀 모)
간사하게 남을 속이는 꾀.
9. 궤변 (詭辯) [궤:변]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상대편을 이론으로 이기기 위하여 상대편의 사고(思考)를 혼란시키거나 감정을 격앙시켜 거짓을 참인 것처럼 꾸며 대는 논법.
용례:
- 궤변을 늘어놓다.
- 그것은 구차스러운 변명이요, 약자의 궤변일 뿐이다.
- 얼른 들으면 공주의 말씀이 그럴듯하나 실상은 억설이고 궤변이란 말이야.≪박종화, 다정불심≫
- 알쏭달쏭, 그 궤변이야말로 서의돈의 특기지.≪박경리, 토지≫
10. 궤변가 (詭辯家) [궤:변가]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家(집 가)
궤변을 잘하는 사람.
11. 궤변론 (詭辯論) [궤:변논]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論(논할 론)
철학을 개념의 유희로 전환하고 철학적 논의나 논쟁에서 궤변을 주된 수법으로 삼는 철학. 기원전 5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프로타고라스나 고르기아스의 철학과 기원전 4세기에서 기원전 3세기까지 중국의 공손룡(公孫龍)의 철학이 대표적이다.
12. 궤변론자 (詭辯論者) [궤:변논자]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論(논할 론), 者(놈 자)
궤변을 잘하는 사람.
13. 궤변술 (詭辯術) [궤:변술]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術(재주 술)
궤변을 부리는 재주나 화술.
용례:
- 궤변술을 부리다.
- 어찌나 궤변술에 능한지 말로는 당할 수가 없어.
14. 궤변적 (詭辯的) [궤:변적]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的(과녁 적)
[Ⅰ]궤변에 속하거나 궤변과 같은 것.
[Ⅱ]궤변에 속하거나 궤변과 같은.
용례:
- [Ⅰ]그의 궤변적인 말에 속지 않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 [Ⅱ]궤변적 논리.
15. 궤변파 (詭辯派) [궤:변파]
한자: 詭(속일 궤:), 辯(말씀 변:), 派(갈래 파)
기원전 5세기 무렵 주로 아테네의 자유민으로서 교양이나 학예, 특히 변론술을 가르치는 일을 직업으로 삼던 사람들을 이르는 말.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등이 대표자였는데, 후기에는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변론술을 악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궤변가를 뜻하게 되었다.(궤변학파)
16. 궤사 (詭詐) [궤:사]
한자: 詭(속일 궤:), 詐(속일 사)
간사스러운 거짓으로 남을 교묘하게 속임.
17. 궤사 (詭辭) [궤:사]
한자: 詭(속일 궤:), 辭(말씀 사)
간사하게 속여 꾸미는 말.(궤언)
18. 궤설 (詭說) [궤:설]
한자: 詭(속일 궤:), 說(말씀 설)
거짓으로 하는 말.
19. 궤술 (詭術) [궤:술]
한자: 詭(속일 궤:), 術(재주 술)
간사하게 남을 속이는 꾀.
20. 궤우 (詭遇) [궤:우]
한자: 詭(속일 궤:), 遇(만날 우:)
사냥할 때 예법을 지키지 않고 짐승을 쏘아 맞히는 것으로,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명리(名利)나 지위를 얻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맹자≫<등문공하(滕文公下)>에서 유래한 말이다.
21. 궤위 (詭僞) [궤:위]
한자: 詭(속일 궤:), 僞(거짓 위)
거짓으로 속임.
22. 궤책 (詭策) [궤:책]
한자: 詭(속일 궤:), 策(꾀 책)
간사하게 남을 속이는 꾀.
용례:
궤책을 쓰다.
23. 궤탄하다 (詭誕하다) [궤:탄하다]
한자: 詭(속일 궤:), 誕(낳을/거짓 탄:)
「1」거짓되고 망령되다.
「2」어이없고 허무하다.
24. 궤형 (詭形) [궤:형]
한자: 詭(속일 궤:), 形(모양 형)
이상야릇한 모양.
25. 궤휼하다 (詭譎하다) [궤:휼하다]
한자: 詭(속일 궤:), 譎(속일 휼)
간사스럽고 교묘하다.
용례:
- 그의 흉악하고 교활하고 궤휼함은 세상을 속이는 데 공교하고 하늘을 기만하는 데 과감하여….≪번역 순조실록≫
- 속으로는 궤휼한 마음을 품고 겉으로는 우직함을 가탁하고 있으니, 무거운 견책을 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번역 영조실록≫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