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궤배하다 (跪拜하다) [궤:배하다]
한자: 跪(꿇어앉을 궤:), 拜(절 배:)
무릎을 꿇고 절하다.
용례:
- 우리는 너무나 오랫동안 진실 진실 하면서 그 앞에 궤배하는 데에 영일이 없었기 때문에 사실이 그동안 얼마나 성장했는지 돌보지 않고 있었다.≪장용학, 역성 서설≫
- 중전 책례 때에 백관이 먼저 사배(四拜)를 한 뒤에 이속 이하만 궤배하는 절차가 있는데….≪번역 광해군일기≫
2. 궤복하다 (跪伏하다) [궤:보카다]
한자: 跪(꿇어앉을 궤:), 伏(엎드릴 복)
무릎을 꿇고 엎드리다.
용례:
- 땅바닥에 궤복하다.
- 임금이 연화문 밖에 나아가 향을 지영(祗迎)하는 예를 행하고, 이어서 건명문에 나아가 궤복하니….≪번역 영조실록≫
3. 궤부복 (跪俯伏) [궤:부복]
한자: 跪(꿇어앉을 궤:), 俯(구부릴 부:), 伏(엎드릴 복)
향악에 딸린 궁중 무용의 시작과 끝에 하는 인사 방법의 하나.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여 엎드린다.
4. 궤사 (跪謝) [궤:사]
한자: 跪(꿇어앉을 궤:), 謝(사례할 사:)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빎.
5. 궤상 (跪像) [궤:상]
한자: 跪(꿇어앉을 궤:), 像(모양 상)
무릎을 꿇은 모양의 상.
6. 궤좌하다 (跪坐하다) [궤:좌하다]
한자: 跪(꿇어앉을 궤:), 坐(앉을 좌:)
무릎을 꿇고 앉다.
용례:
언제나 불안 공포에 노출되어 있고, 자기가 조작해 낸 우상 앞에 궤좌하여 법열의 눈물을 짜내고 있다는 점에서 원시인이나 현대인이나 일반이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7. 궤청 (跪請) [궤:청]
한자: 跪(꿇어앉을 궤:), 請(청할 청)
지체가 높고 귀한 사람을 무릎을 꿇고 앉아 뵙기를 청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