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한자어(漢字語) - 장음(長音)] 捲 거둘/말 권

1. 권귀 (捲歸) [권:귀]

한자: 捲(거둘/말 권), 歸(돌아갈 귀:)

군사나 시설 따위를 거두어 가지고 돌아가거나 돌아옴.

2. 권당 (捲堂) [권:당]

한자: 捲(거둘/말 권), 堂(집 당)

조선 시대에, 성균관의 유생들이 제 주장이 관철되지 아니하였을 때에 시위하느라고 일제히 관을 물러나던 일.

3. 권렴 (捲簾) [궐:렴]

한자: 捲(거둘/말 권), 簾(발 렴)

드리운 발을 걷어 올림.

4. 권모 (捲毛) [권:모]

한자: 捲(거둘/말 권), 毛(터럭 모)

말린 털.

5. 권봉 (捲奉) [권:봉]

한자: 捲(거둘/말 권), 奉(받들 봉:)

영정을 말아서 모셔 둠.

6. 권사기 (捲絲機) [권:사기]

한자: 捲(거둘/말 권), 絲(실 사), 機(틀 기)

실을 감는 기계.

7. 권상기 (捲上機) [권:상기]

한자: 捲(거둘/말 권), 上(윗 상:), 機(틀 기)

수평으로 된 원통상의 동체(胴體)를 손잡이로 돌리면서, 동체에 감긴 밧줄이나 쇠사슬의 한끝에 무거운 물건을 매달아 올렸다 내렸다 하거나 잡아당기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8. 권상법 (捲上法) [권:상뻡]

한자: 捲(거둘/말 권), 上(윗 상:), 法(법 법)

토기를 빚는 방법의 하나. 엿가락처럼 만든 흙테를 나사처럼 감아올려서 빚는다.

9. 권선 (捲線) [권:선]

한자: 捲(거둘/말 권), 線(줄 선)

「1」전류를 흘려 자속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결합하도록 설계된 코일.
「2」데이터 전동에서 자성체의 중심부나 셀 부분에 유전성을 갖고 결합한 와이어의 전도 경로.

10. 권선공 (捲線工) [권:선공]

한자: 捲(거둘/말 권), 線(줄 선), 工(장인 공)

전동기 따위에 전선 감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11. 권선기 (捲線機) [권:선기]

한자: 捲(거둘/말 권), 線(줄 선), 機(틀 기)

철사나 밧줄, 현악기의 줄 따위를 감거나 푸는 기구.

12. 권설 (捲舌) [권:설]

한자: 捲(거둘/말 권), 舌(혀 설)

혀를 만다는 뜻으로, 감탄하거나 경탄함을 이르는 말.

용례:

너무도 놀라워서 권설만 할 따름이다.

13. 권설음 (捲舌音) [권:서름]

한자: 捲(거둘/말 권), 舌(혀 설), 音(소리 음)

혀끝을 윗잇몸 또는 경구개 쪽으로 말아 올리면서 내는 소리.

14. 권쇄파 (捲碎波) [권:쇄파]

한자: 捲(거둘/말 권), 碎(부술 쇄:), 波(물결 파)

파도의 봉우리가 갑자기 높아져서 공기를 감싸안으면서 큰 파도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해안파.

15. 권수비 (捲數比) [권:수비]

한자: 捲(거둘/말 권), 數(셈 수:), 比(견줄 비:)

변압기에서 고압 측 권선과 저압 측 권선에 감겨 있는 코일 수의 비. 일반적으로 일차 권선의 코일 수를 이차 권선의 코일 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전압비를 바꾸기 위한 탭을 가진 정전압 변압기나 정전류 변압기의 경우에는, 권선의 정격 전압에 해당하는 탭에서의 권수비를 사용한다.

16. 권양 (捲揚) [궈:냥]

한자: 捲(거둘/말 권), 揚(날릴 양)

「1」줄 따위를 감아서 올림.
「2」강철판이나 띠 모양의 압연(壓延)된 철강 제품을 커다란 둥근 테 같은 것에 감는 일.

17. 권양기 (捲揚機) [궈:냥기]

한자: 捲(거둘/말 권), 揚(날릴 양), 機(틀 기)

밧줄이나 쇠사슬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기계. 기중기, 케이블카, 엘리베이터, 토목 사업, 건축 사업 따위에 널리 쓴다.(권양기계)

18. 권양력 (捲揚力) [궈:냥녁]

한자: 捲(거둘/말 권), 揚(날릴 양), 力(힘 력)

기중기가 들어 올릴 수 있는 짐의 정량(定量).

19. 권용 (捲勇) [궈:뇽]

한자: 捲(거둘/말 권), 勇(날랠 용:)

완력이 셈. 또는 큰 용기.

20. 권음 (捲音) [궈:늠]

한자: 捲(거둘/말 권), 音(소리 음)

혀끝을 윗잇몸 또는 경구개 쪽으로 말아 올리면서 내는 소리.

21. 권전병 (捲煎餠) [권:전병]

한자: 捲(거둘/말 권), 煎(달일 전(:)), 餠(떡 병:)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조각에 돼지고기나 닭고기, 파, 죽순 따위로 만든 소를 넣고 접어서 맞닿는 자리에는 밀풀을 발라 붙인 뒤에 기름에 튀기거나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지져 만든 떡.

22. 권초관 (捲草官) [권:초관]

한자: 捲(거둘/말 권), 草(풀 초), 官(벼슬 관)

조선 시대에, 비빈(妃嬪)의 산실(産室)에서 권초례를 행하던 임시 벼슬. 아들이 많고 다복한 조신(朝臣) 가운데서 뽑았는데, 해산할 때에 깔았던 거적자리를 걷어 보관하고 명을 비는 일을 맡아보았다.

23. 권초례 (捲草禮) [권:초례]

한자: 捲(거둘/말 권), 草(풀 초), 禮(예도 례:)

「1」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비빈(妃嬪)의 해산이 끝나고 나서 행하던 의식. 해산할 때 깔았던 거적자리를 붉은 끈으로 문 앞에 매달아 두었다가 산후 7일 만에 권초관이 그 앞에 은, 쌀, 비단, 실 따위를 늘어놓고 분향하여 명을 빈 뒤에 그 고석(藁席)을 칠궤(漆櫃)에 넣고 홍보(紅褓)에 싸서 남자면 내자시(內資寺), 여자면 내섬시(內贍寺)의 창고에 보관하게 했다.
「2」궁중의 해산에 따른 예제(禮制)를 통틀어 이르는 말.

24. 권축 (捲縮) [권:축]

한자: 捲(거둘/말 권), 縮(줄일 축)

옷감 따위를 양털처럼 곱슬곱슬하게 하는 일. 또는 그런 가공법.

25. 권축성 (捲縮性) [권:축썽]

한자: 捲(거둘/말 권), 縮(줄일 축), 性(성품 성:)

섬유가 고불고불하게 오그라드는 성질.

26. 권취기 (捲取機) [권:취기]

한자: 捲(거둘/말 권), 取(가질 취:), 機(틀 기)

필름을 감는 기계.

용례:

자동 권취기.

27. 권포 (捲布) [권:포]

한자: 捲(거둘/말 권), 布(베/펼 포(:))

천을 감음.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