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한자어(漢字語) - 장음(長音)] 倦 게으를 권:

1. 권객 (倦客) [권:객]

한자: 倦(게으를 권:), 客(손 객)

피로하고 고달픈 나그네.

2. 권게 (倦憩) [권:게]

한자: 倦(게으를 권:), 憩(쉴 게:)

피로하여 쉼.

3. 권곤하다 (倦困하다) [권:곤하다]

한자: 倦(게으를 권:), 困(곤할 곤:)

싫증이 나서 하기 싫을뿐더러 어렵고 괴롭다.

용례:

나는 한자리에서 같은 일을 십수 년 계속했지만 일이 권곤한 줄 몰랐다.

4. 권근 (倦勤) [권:근]

한자: 倦(게으를 권:), 勤(부지런할 근(:))

일에 싫증이 남.

5. 권로하다 (倦勞하다) [궐:로하다]

한자: 倦(게으를 권:), 勞(일할 로)

일 따위에 싫증이 나고 피로하다.

6. 권비하다 (倦憊하다) [권:비하다]

한자: 倦(게으를 권:), 憊(고단할 비:)

어떤 일에 싫증이 나서 시들하고 피곤하다.

7. 권염 (倦厭) [궈:념]

한자: 倦(게으를 권:), 厭(싫어할 염:)

권태로워 싫증이 남.

용례:

  • 권염을 느끼다.
  • 자꾸 반복되는 이야기에 권염이 나서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

8. 권유 (倦游) [궈:뉴]

한자: 倦(게으를 권:), 游(헤엄칠 유)

관리 생활에 싫증이 남.

9. 권타 (倦惰) [권:타]

한자: 倦(게으를 권:), 惰(게으를 타:)

싫증이 나서 태만함.

10. 권태 (倦怠) [권:태]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어떤 일이나 상태에 시들해져서 생기는 게으름이나 싫증.

용례:

  • 단조로운 생활에서 오는 권태.
  • 권태를 느끼다.
  • 한낮의 피로와 권태로 맥이 풀린다.

11. 권태감 (倦怠感) [권:태감]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感(느낄 감:)

어떤 일이나 상태에 시들해져서 싫증이나 게으름이 나는 느낌. 또는 몸이 나른한 느낌.

용례:

더위와 피로, 권태감에 짓눌려서 몇몇의 면회자는 꾸벅꾸벅 졸기까지 한다.≪홍성원, 육이오≫

12. 권태기 (倦怠期) [권:태기]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期(기약할 기)

부부가 결혼한 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권태를 느끼는 시기.

용례:

결혼한 지 삼 년째나 돼서 그 소위 권태기에 들어간 지도 오랜데….≪염상섭, 법 없어도 사는 사람≫

13. 권태로이 (倦怠로이) [권:태로이]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어떤 일에 싫증이 나거나 심신이 나른해져서 게으른 태도로.

용례:

별 하는 일 없이 권태로이 하루를 보내다.

14. 권태롭다 (倦怠롭다) [권:태롭따]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어떤 일에 싫증이 나거나 심신이 나른해져서 게으른 데가 있다.

용례:

  • 권태로운 생활.
  • 그녀는 따분한 일상이 권태롭기만 했다.
  • 전쟁에 지긋지긋한 혐오감을 느낀 그는, 계급 따위야 어찌 되었건 오로지 피로하고 권태로울 뿐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5. 권태증 (倦怠症) [권:태쯩]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症(증세 증(:))

권태를 느끼는 증세.

용례:

  • 권태증을 느끼다.
  • 권태증에 걸렸는지 모든 일이 시들하다.

16. 권피하다 (倦疲하다) [권:피하다]

한자: 倦(게으를 권:), 疲(피곤할 피)

어떤 일에 싫증이 나서 시들하고 피곤하다.(권파하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