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均 고를 균: - 2

41. 균일화하다 (均一化하다) [규닐화하다]

한자: 均(고를 균), 一(한 일), 化(될 화(:))

한결같이 고르게 되다. 또는 고르게 하다.

용례:

  • 즉석식품 때문에 대다수 사람들의 입맛이 균일화하는 추세에 있다.
  •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하다.

42. 균자장 (均字匠) [균짜장]

한자: 均(고를 균), 字(글자 자), 匠(장인 장)

조선 시대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나무판 위에 주자(鑄字)를 배열할 때 흔들리지 않게 하는 일을 맡아보던 장인.

43. 균적 (均適) [균적]

한자: 均(고를 균), 適(맞을 적)

‘균적하다’
(고루 알맞다.)의 어근.

44. 균전 (均田) [균전]

한자: 均(고를 균), 田(밭 전)

「1」토지를 백성들에게 고르게 나누어 주던 제도.
「2」토지의 규모에 맞추어 세금을 고르게 하던 제도.

45. 균전론 (均田論) [균전논]

한자: 均(고를 균), 田(밭 전), 論(논할 론)

조선 후기에, 실학자들을 비롯한 지식인들이 제기하였던 토지 개혁론. 관리들의 토지 겸병과 농장 확대의 폐해를 없애고 토지를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제기한 개혁론이다. 한 집에 필요한 기준량을 정하여 그에 상당한 논밭을 한정하고, 1호(戶)에 영업전을 줄 것, 제한된 영업전 이외의 논밭은 자유 매매를 허가할 것, 영업전의 매매 행위가 있을 때에는 처벌할 것 따위를 내세웠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46. 균전법 (均田法) [균전뻡]

한자: 均(고를 균), 田(밭 전), 法(법 법)

중국 수나라·당나라 때에 시행한 토지 분배 및 조세 징수 제도. 5세기 후반 북위의 효문제가 처음 시작하여 수나라와 당나라에 이르러 발달한 것으로, 구분전 80묘와 영업전 20묘를 나누어 주어 구분전은 본인이 사망하면 국가에 반납하게 하였으나 영업전은 자손에게 세습하게 하였다. 조용조의 조세 제도에 기초를 둔 부병제와 같이 존속하였으나 8세기 중엽에 안녹산의 난으로 무너졌다.(균전제)

47. 균전사 (均田使) [균전사]

한자: 均(고를 균), 田(밭 전), 使(하여금/부릴 사:)

조선 시대에, 농지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방에 파견한 벼슬아치. 전답 측량, 품등 결정, 양안 기재 따위의 양전(量田) 사무를 총괄하고 진황지의 개간을 독려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48. 균점 (均霑) [균점]

한자: 均(고를 균), 霑(젖을 점)

「1」고르게 이익이나 혜택을 받음.
「2」국제법에서, 다른 나라와 똑같은 혜택을 받는 일.

용례:

「1」이익의 균점.

49. 균정 (均整) [균정]

한자: 均(고를 균), 整(가지런할 정:)

‘균정하다’
(고르고 가지런하다.)의 어근.

50. 균정하다 (均正하다) [균정하다]

한자: 均(고를 균), 正(바를 정(:))

균형이 잡혀 바르다.

용례:

이 탑은 전체적으로 균정하고 단아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51. 균제 (均齊) [균제]

한자: 均(고를 균), 齊(가지런할 제)

「1」고르고 가지런함.
「2」균형을 위하여 중심선의 상하 또는 좌우를 같게 배치한 화면 구성.

용례:

「1」아무래도 영숙이는 영양이 좋지 못하고 운동이 고르지가 않아서 그렇겠지마는 체격의 균제나 살결이 이 여자에는 비교가 안 되는 것을 생각하면….≪염상섭, 화관≫

52. 균제미 (均齊美) [균제미]

한자: 均(고를 균), 齊(가지런할 제), 美(아름다울 미(:))

균형이 잡히고 잘 다듬어진 아름다움.

53. 균조 (均照) [균조]

한자: 均(고를 균), 照(비칠 조:)

고루 비춤.

54. 균조 (均調) [균조]

한자: 均(고를 균), 調(고를 조)

‘균조하다’
(똑같이 고르다.)의 어근.

55. 균질 (均質) [균질]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1」성분이나 특성이 고루 같음.
「2」하나의 물질에서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성분이나 특성이 일정함.

56. 균질권 (均質圈) [균질꿘]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圈(우리[牢] 권)

대기 주성분의 조성 비율이 거의 일정한, 지표로부터 80~100km 높이의 대기권.

57. 균질기 (均質器) [균질기]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器(그릇 기)

동식물 조직이나 세균, 균체 따위의 생체 세포를 기계적으로 잘게 부수어 유상(乳狀)으로 만드는 장치.

58. 균질로 (均質爐) [균질로]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爐(화로 로)

감속재가 핵연료 속에 고루 섞여 있는 원자로.

59. 균질성 (均質性) [균질썽]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性(성품 성:)

성분이나 특성이 고루 같은 성질.

60. 균질유 (均質乳) [균질류]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乳(젖 유)

저장·운반 중인 우유 속의 지방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온 상태에서 지방립을 잘게 부순 우유.

61. 균질체 (均質體) [균질체]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體(몸 체)

일정한 상태에서는 모든 부분이 물리적·화학적으로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물체.

62. 균질하다 (均質하다) [균질하다]

한자: 均(고를 균), 質(바탕 질)

「1」성분이나 특성이 고루 같다.
「2」하나의 물질에서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성분이나 특성이 일정하다.

용례:

  • 「1」시청자들의 높아진 눈높이를 맞추려면 균질한 화질, 다양한 영상 기법, 섬세한 조명 등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 「1」대중 매체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의식주 생활이 전국적으로 균질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63. 균첨 (均沾) [균첨]

한자: 均(고를 균), 沾(젖을 첨)

고르게 이익이나 혜택을 받음.

64. 균치 (均徵) [균치]

한자: 均(고를 균), 徵(부를 징)

조선 시대에, 장악원에 속하여 궁중 음악을 맡아보던 정구품의 벼슬. 연산군 11년(1505)에 전성을 고친 것이다.

65. 균태 (均泰) [균태]

한자: 均(고를 균), 泰(클 태)

‘균태하다’
(두루 편안하다.)의 어근.

66. 균편 (均徧) [균편]

한자: 均(고를 균), 徧(두루 편)

골고루 두루 미침.

67. 균평하다 (均平하다) [균평하다]

한자: 均(고를 균), 平(평평할 평)

「1」고루 공평하다.
「2」한쪽으로 기울거나 우툴두툴하지 아니하고 고르게 평평하다.

용례:

「1」균평한 이익.

68. 균할 (均割) [균할]

한자: 均(고를 균), 割(벨 할)

똑같이 고르게 나눔.

69. 균합 (均合) [균합]

한자: 均(고를 균), 合(합할 합)

고루 합함.

70. 균형 (均衡) [균형]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상태.

용례:

  • 균형 있는 발전.
  • 균형 잡힌 몸매.
  • 균형을 깨뜨리다.
  • 균형을 유지하다.
  • 균형을 이루다.
  • 균형을 잃다.

71. 균형감 (均衡感) [균형감]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感(느낄 감:)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한 고른 감각.

용례:

일을 하는 데에도 균형감이 있어야 한다.

72. 균형론 (均衡論) [균형논]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論(논할 론)

서로 다른 동기들이 같은 가치를 지니면서 균형 상태에 있을 때, 의지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도 제약받지 아니하고 어느 하나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는 이론.(균형설)

73. 균형미 (均衡美) [균형미]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美(아름다울 미(:))

균형이 알맞게 잘 잡힌 데서 우러나오는 아름다움.

용례:

  • 석굴암은 놀라운 정교함과 심오한 균형미를 자랑한다.
  • 그녀는 수영과 미용 체조로 단련해서인지 균형미가 돋보였다.

74. 균형성 (均衡性) [균형썽]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性(성품 성:)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한 성질.

용례:

여론을 수집할 때에는 이편과 저편의 의견을 모두 들어 균형성을 확보해야 한다.

75. 균형적 (均衡的) [균형적]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的(과녁 적)

[Ⅰ]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것.
[Ⅱ]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용례:

  • [Ⅰ]균형적인 발전.
  • [Ⅰ]수요와 공급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다.
  • [Ⅱ]균형적 조화.

76. 균형추 (均衡錘) [균형추]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錘(저울추 추)

균형을 잡기 위한 추. 불균형한 힘을 막기 위하여 기계나 장치물에 설치한다.

77. 균형키 (均衡키) [균형키]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배의 균형을 잡아 주는 키.(균형타)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均 고를 균: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