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貴 귀할 귀: - 1

1. 귀 (貴) [귀:]

한자: 貴(귀할 귀:)

상대편이나 그 소속체를 높이는 뜻을 나타내는 말.

용례:

귀 신문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귀 (貴) [귀:]

한자: 貴(귀할 귀:)

‘존귀한’이나 ‘희귀한’ 또는 ‘값비싼’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용례:

  • 귀공자.
  • 귀금속.
  • 귀부인.

3. 귀가 (貴價) [귀:까]

한자: 貴(귀할 귀:), 價(값 가)

높은 가격.

4. 귀가 (貴家) [귀:가]

한자: 貴(귀할 귀:), 家(집 가)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집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끝으로 귀가의 안녕을 기원합니다.

5. 귀간 (貴簡) [귀:간]

한자: 貴(귀할 귀:), 簡(대쪽/간략할 간(:))

상대편의 편지를 높여 이르는 말.(귀서)

6. 귀객 (貴客) [귀:객]

한자: 貴(귀할 귀:), 客(손 객)

귀한 손님.

용례:

  • 귀객으로 모시다.
  • 필순이는 당황하였으나, 이런 귀객을 어찌하는 수도 없었다.≪염상섭, 삼대≫

7. 귀격 (貴格) [귀:껵]

한자: 貴(귀할 귀:), 格(격식 격)

「1」귀하게 될 사람의 골격.
「2」흔하지 않은 체격.

용례:

「1」상쟁이가 이봉학이를 보고 얼굴에 귀격이 있다고 말하고 박유복이를 보고 겁운 한 번만 잘 지내면 상수를 누리겠다고 말하고….≪홍명희, 임꺽정≫

8. 귀견 (貴見) [귀:견]

한자: 貴(귀할 귀:), 見(볼 견:)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의견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귀견을 따르겠습니다.

9. 귀경 (貴庚) [귀:경]

한자: 貴(귀할 귀:), 庚(별 경)

청장년에게 나이를 물을 때 나이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저는 마흔셋입니다만, 선생님의 귀경은 어떻게 되십니까?

10. 귀고 (貴稿) [귀:고]

한자: 貴(귀할 귀:), 稿(원고/볏짚 고)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원고(原稿)를 높여 이르는 말.

11. 귀골 (貴骨) [귀:골]

한자: 貴(귀할 귀:), 骨(뼈 골)

「1」귀하게 될 사람의 골격.
「2」귀하게 자란 사람.

용례:

  • 「1」아까 얼굴을 이편으로 돌리는 순간에 느낀 일이지만 볼수록 노인은 귀골이었다.≪최인훈, 회색인≫
  • 「1」자넨 워낙 귀골로 생겼으니 그렇게만 하면 얼마나 잘나 보이겠나.≪박완서, 미망≫
  • 「2」내 새끼들은 죽는 날까지 비단 이불 아니면 잠이 안 올 귀골 인종으로 키울 자신까지 생겼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2」자네 같은 귀골이 노동을 하려고 집을 떠나간다니 자네 어른이 이 꼴을 보시면 가슴이 막히실 일이지.≪나도향, 뽕≫

12. 귀공 (貴公) [귀:공]

한자: 貴(귀할 귀:), 公(공평할 공)

듣는 이를 문어적으로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용례:

  • 이번 일은 모두 귀공의 덕분입니다.
  • 내가 귀공에게 충고할 것이 있어 이렇게 왔네.

13. 귀공녀 (貴公女) [귀:공녀]

한자: 貴(귀할 귀:), 公(공평할 공), 女(계집 녀)

귀한 집 딸. 또는 귀한 집 젊은 여자를 이르는 말.

14. 귀공자 (貴公子) [귀:공자]

한자: 貴(귀할 귀:), 公(공평할 공), 子(아들 자)

「1」귀한 집 아들. 또는 귀한 집 젊은 남자를 이르는 말.
「2」생김새나 몸가짐이 의젓하고 고상한 남자.

용례:

  • 「1」얼굴이 준수하고 색깔이 희었다. 어디로 보든지 양반의 집 귀공자다.≪박종화, 전야≫
  • 「1」누다락에 올라 멀리 남쪽 하늘을 바라보던 당년 삼십육 세의 귀공자 김춘추 장군은 푸른 하늘을 바라다보면서 크게 탄식한다.≪홍효민, 신라 통일≫
  • 「2」지금 눈앞에는 그 옛날 하인이었던 사내의 자식이 어느 귀공자 못지않게 슬기를 가득 채운 눈망울을 빛내며 앉아 있는 것이다.≪박경리, 토지≫
  • 「2」그는 영준이와 같은 귀공자가 찾아온 것을 누구보다도 은근히 반겨하는 모양이다. ≪이기영, 봄≫

15. 귀관 (貴官) [귀:관]

한자: 貴(귀할 귀:), 官(벼슬 관)

「1」상급자가 하급자를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2」듣는 이가 관직에 있을 때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용례:

  • 「1」귀관의 임무는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것이다.
  • 「1」이번 사고는 귀관에게 책임을 묻겠다.
  • 「1」귀관의 임무가 막중하니 철저히 준비하도록 하게.
  • 「2」이번 정부 조치에 대하여 법조계에 계시는 귀관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16. 귀관 (貴館) [귀:관]

한자: 貴(귀할 귀:), 館(집 관)

주로 편지글에서, ‘-관’(館) 자가 붙은 ‘도서관’, ‘박물관’, ‘대사관’’ 따위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귀관에서 서예 작품 전시회를 열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

17. 귀교 (貴校) [귀:교]

한자: 貴(귀할 귀:), 校(학교 교:)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학교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귀교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18. 귀국 (貴國) [귀:국]

한자: 貴(귀할 귀:), 國(나라 국)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나라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 우리 정부는 계속되는 귀국 관리들의 역사 왜곡 발언에 심히 우려를 표명하는 바입니다.
  • 일본의 기승을 저대로 내버려뒀다가는 우리 청국뿐만 아니라 귀국도 큰 두통거리가 될 것은 뻔한 일이외다.≪유주현, 대한 제국≫

19. 귀군 (貴君) [귀:군]

한자: 貴(귀할 귀:), 君(임금 군)

듣는 이가 손아랫사람일 때, 그 사람을 친근하게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20. 귀금속 (貴金屬) [귀:금속]

한자: 貴(귀할 귀:), 金(쇠 금), 屬(붙일 속)

산출량이 적어 값이 비싼 금속. 금·은·백금 따위를 이르며, 화학 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고 아름다운 광택을 지닌다.

용례:

  • 귀금속으로 만든 장신구.
  • 정신의 깨끗함은 귀금속보다 더욱 귀하고 값진 것이다.

21. 귀남자 (貴男子) [귀:남자]

한자: 貴(귀할 귀:), 男(사내 남), 子(아들 자)

「1」용모나 풍채가 뛰어나고 잘생긴 남자.
「2」지체가 높고 귀한 집의 아들.

22. 귀녀 (貴女) [귀:녀]

한자: 貴(귀할 귀:), 女(계집 녀)

[Ⅰ]「1」특별히 귀염을 받는 딸을 이르는 말.
[Ⅰ]「2」귀한 집 딸. 또는 귀한 집 젊은 여자를 이르는 말.
[Ⅱ]듣는 이가 여자일 때,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용례:

[Ⅰ]「2」노비 중에도 그 성깔이나 범절이 반가의 효열보다 더 매운 종이 있는가 하면, 양반의 집안에 귀녀로 난 따님도 선머슴 못지않게 건성인 사람 또한 있어서.≪최명희, 혼불≫

23. 귀댁 (貴宅) [귀:댁]

한자: 貴(귀할 귀:), 宅(집 택)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집안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귀댁에 평화가 가득하시길 빕니다.

24. 귀동녀 (貴童女) [귀:동녀]

한자: 貴(귀할 귀:), 童(아이 동(:)), 女(계집 녀)

특별히 귀염을 받으며 귀하게 자라는 계집아이.

용례:

그녀는 명문거족 귀한 집의 귀동녀로 자랐다.

25. 귀동자 (貴童子) [귀:동자]

한자: 貴(귀할 귀:), 童(아이 동(:)), 子(아들 자)

특별히 귀염을 받거나 귀하게 자란 사내아이.

용례:

  • 당신은 꼭 옥 같은 귀동자를 낳을 겁니다.
  • 그는 귀동자로 자라서인지 버릇이 없었다.
  • 그는 지체 높고 문벌 좋은 가문에서 금이야 옥이야 길러 낸 귀동자였다.

26. 귀둥이 (貴둥이) [귀:둥이]

한자: 貴(귀할 귀:)

특별히 귀염을 받는 아이.(귀동)

용례:

반백 년을 혈혈단신으로 견뎌 온 처지에 얻은 혈육이니 세상에 둘도 없는 귀둥이일 수밖에.≪이문구, 해벽≫

27. 귀려 (貴慮) [귀:려]

한자: 貴(귀할 귀:), 慮(생각할 려:)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생각을 높여 이르는 말.

28. 귀명 (貴名) [귀:명]

한자: 貴(귀할 귀:), 名(이름 명)

「1」존귀한 이름.
「2」듣는 이의 이름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 「1」어찌 그처럼 훌륭한 분의 귀명을 함부로 부를 수 있겠습니까?
  • 「2」선생님의 귀명을 여쭈어도 되겠습니까?

29. 귀명 (貴命) [귀:명]

한자: 貴(귀할 귀:), 命(목숨 명:)

「1」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명령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하게 될 운명.

용례:

  • 「1」어르신 귀명대로 행하겠습니다.
  • 「2」귀댁의 자제분은 귀명을 타고났으니 잘 가르치십시오.

30. 귀목 (貴木) [귀:목]

한자: 貴(귀할 귀:), 木(나무 목)

귀한 나무 또는 목재.

31. 귀문 (貴門) [귀:문]

한자: 貴(귀할 귀:), 門(문 문)

「1」지체가 높거나 부유한 집안.
「2」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집안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1」흠도 티도 묻지 않은 귀문의 아리따운 작은아씨가 그녀의 상상 속에서는 얼마든지 처량하고 가련한 처지가 되어….≪최명희, 혼불≫

32. 귀물 (貴物) [귀:물]

한자: 貴(귀할 귀:), 物(물건 물)

「1」귀중한 물건.
「2」드물어서 얻기 어려운 물건.

용례:

  • 「1」금고에 귀물을 보관하다.
  • 「1」호피는 당상관도 깔기 어려운 귀물이었으므로, 사치스럽다 하여 지방 수령들에는 일찍이 사용이 금지돼 있던 터이었다.≪이문구, 오자룡≫
  • 「2」그제 어제로 고기나 생선은 서울 바닥에서 구경도 못 할 귀물이건마는, 냉장고가 있는 덕에 이 집에서는 아직도 풍성풍성히 맛을 보는 것이었다.≪염상섭, 취우≫
  • 「2」머리 기르는 중이야 요새 와서 이미 귀물도 아니게 되었지마는….≪최남선, 심춘순례≫

33. 귀물스럽다 (貴物스럽다) [귀:물스럽따]

한자: 貴(귀할 귀:), 物(물건 물)

「1」귀중한 물건인 듯하다.
「2」드물어서 얻기 어렵다.

용례:

  • 「1」물 밑에 깔린 자갈들이 손에 잡힐 듯 귀물스럽게 떠올라 보이는 맑은 시내였다.≪하근찬, 흰 종이 수염≫
  • 「2」그의 집은 재벌 회장의 집답게 여러 가지 귀물스럽고 호화로운 것으로 치장되어 있었다.

34. 귀방 (貴邦) [귀:방]

한자: 貴(귀할 귀:), 邦(나라 방)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나라를 높여 이르는 말.(귀의)

35. 귀보 (貴報) [귀:보]

한자: 貴(귀할 귀:), 報(갚을/알릴 보:)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이 보낸 보도나 서신 따위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당신이 시험에 합격했다는 귀보를 받고 모두들 기뻐했습니다.

36. 귀보 (貴寶) [귀:보]

한자: 貴(귀할 귀:), 寶(보배 보:)

귀중한 보물.

37. 귀부 (貴府) [귀:부]

한자: 貴(귀할 귀:), 府(마을[官廳] 부(:))

예전에, 높은 관리의 집을 이르던 말.

38. 귀부 (貴富) [귀:부]

한자: 貴(귀할 귀:), 富(부자 부:)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음.

용례:

  • 귀부를 누리다.
  • 귀부와 영화가 한바탕의 꿈과 같으니 무엇에 집착할 것인가?

39. 귀부인 (貴夫人) [귀:부인]

한자: 貴(귀할 귀:), 夫(지아비 부), 人(사람 인)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40. 귀부인 (貴婦人) [귀:부인]

한자: 貴(귀할 귀:), 婦(며느리 부), 人(사람 인)

신분이 높거나 재산이 많은 집안의 부인.

용례:

  • 아름다운 자태와 화려한 의상을 바라보자 나라의 공주가 아니면 재상가의 젊은 귀부인으로 생각했다.≪박종화, 임진왜란≫
  • 그 거동이 마치 서양식으로 귀부인을 부축하여 일으켜 주겠다는 듯이 친절하고 정중하였다.≪염상섭, 이심≫

41. 귀부하다 (貴富하다) [귀:부하다]

한자: 貴(귀할 귀:), 富(부자 부:)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다.

용례:

귀부한 사람이나 빈천한 사람이나 법 앞에서는 모두 평등하다.

42. 귀비 (貴妃) [귀:비]

한자: 貴(귀할 귀:), 妃(왕비 비)

「1」고려 시대에, 비빈에게 내리던 정일품 내명부의 품계 가운데 하나.
「2」조선 초기에, 후궁에게 내리던 가장 높은 지위.
「3」중국 당나라 때에, 후궁에게 주던 칭호.

43. 귀빈 (貴賓) [귀:빈]

한자: 貴(귀할 귀:), 賓(손 빈)

귀한 손님.

용례:

  • 귀빈을 모시다.
  • 귀빈 대접을 받다.
  •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 식장에 초대된 귀빈들은 아무도 그의 즉위를 의심하거나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다.≪홍성원, 육이오≫

44. 귀빈관 (貴賓館) [귀:빈관]

한자: 貴(귀할 귀:), 賓(손 빈), 館(집 관)

귀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하여 특별히 마련한 집이나 방.

용례:

귀빈관으로 안내하다.

45. 귀빈석 (貴賓席) [귀:빈석]

한자: 貴(귀할 귀:), 賓(손 빈), 席(자리 석)

귀빈을 위하여 특별히 마련하여 놓은 자리.

용례:

  • 무대 앞 귀빈석에는 각계각층의 저명인사들이 자리하고 있었다.
  • 귀빈석 복판에 앉아 있던 신임 이사장이 이윽고 천막을 나와 마이크가 설치된 높은 교단으로 올라간다.≪홍성원, 육이오≫

46. 귀빈실 (貴賓室) [귀:빈실]

한자: 貴(귀할 귀:), 賓(손 빈), 室(집 실)

귀빈을 위하여 특별히 마련한 방.

용례:

그는 공항 귀빈실에서 기자 회견을 가졌다.

47. 귀사 (貴社) [귀:사]

한자: 貴(귀할 귀:), 社(모일 사)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회사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 귀사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 귀사에서도 이번 저희 작전에 취재 기자를 한 분 파견하신 줄 알고 있습니다만.≪이청준, 이어도≫

48. 귀상 (貴相) [귀:상]

한자: 貴(귀할 귀:), 相(서로 상)

귀한 사람이 될 얼굴 생김새.

용례:

비록 옷차림은 남루했지만 용모를 보아 하니 보기 드문 귀상이었다.

49. 귀석 (貴石) [귀:석]

한자: 貴(귀할 귀:), 石(돌 석)

보석 다음으로 귀하게 여기는 돌. 수정, 마노 따위가 있다.

50. 귀성 (貴姓) [귀:성]

한자: 貴(귀할 귀:), 姓(성 성:)

희성(稀姓)보다는 사람 수가 많지만 좀 드문 성(姓). 공(孔), 변(卞), 현(玄) 등이 있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貴 귀할 귀: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