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귀소 (貴所) [귀소]
한자: 貴(귀할 귀:), 所(바 소:)
주로 편지글에서, ‘-소’(所) 자가 붙은 상대편의 사업체를 높여 이르는 말.
52. 귀승 (貴僧) [귀:승]
한자: 貴(귀할 귀:), 僧(중 승)
[Ⅰ]신분이 높고 훌륭한 승려.
[Ⅱ]신분이 높고 훌륭한 승려라는 뜻으로, 듣는 이가 승려일 때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53. 귀식 (貴息) [귀:식]
한자: 貴(귀할 귀:), 息(쉴 식)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자식을 높여 이르는 말.
54. 귀신 (貴臣) [귀:신]
한자: 貴(귀할 귀:), 臣(신하 신)
「1」지위가 높은 신하.
「2」상대편의 신하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2」동지사로 온 귀신의 학문이 매우 높아 본국의 이름 있는 학자들도 쩔쩔맬 정도였습니다.
55. 귀신 (貴紳) [귀:신]
한자: 貴(귀할 귀:), 紳(띠[帶] 신:)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
56. 귀애하다 (貴愛하다) [귀:애하다]
한자: 貴(귀할 귀:), 愛(사랑 애(:))
귀엽게 여겨 사랑하다.
용례:
- 마도섭은 마도섭대로 마음씨 좋은 친척 아저씨처럼 아이들을 귀애하고 집안 대소사에 참견도 했지만….≪박완서, 미망≫
- 노 영감은 손자는 귀애하여도 아들은 못마땅하였다.≪염상섭, 삼대≫
57. 귀업 (貴業) [귀:업]
한자: 貴(귀할 귀:), 業(업 업)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사업을 높여 이르는 말.
58. 귀인 (貴人) [귀:인]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1」사회적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
「2」조선 시대에, 후궁에게 내리던 종일품 내명부의 품계. 빈의 아래이다.
용례:
- 「1」귀인을 만나다.
- 「1」시골뜨기 석수장이 따위에게 어느 귀인 댁 따님이 미쳤다고 거들떠나 볼 것인가?≪현진건, 무영탑≫
- 「1」마도섭은 승재와 인연이 닿게 된 걸 사람마다 일생에 한 번 만날까 말까 한 귀인을 만난 것처럼 여기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59. 귀인방 (貴人房) [귀:인방]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房(방 방)
빈이 되지 못한 궁녀들의 집.
60. 귀인상 (貴人相) [귀:인상]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相(서로 상)
신분이나 지위가 높고 귀하게 될 얼굴 생김새. 또는 그렇게 보이는 얼굴.
용례:
그의 훤칠한 이마와 큰 귀는 누가 봐도 귀인상이었다.
61. 귀인상스럽다 (貴人相스럽다) [귀:인상스럽따]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相(서로 상)
신분이나 지위가 높고 귀하게 될 얼굴 생김새가 있다.
용례:
나그네는 누추한 차림새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귀인상스러웠다.
62. 귀인상스레 (貴人相스레) [귀:인상스레]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相(서로 상)
신분이나 지위가 높고 귀하게 될 얼굴 생김새가 있게.
용례:
그녀의 반듯한 이마와 오뚝한 코가 귀인상스레 보였다.
63. 귀인성 (貴人性) [귀:인썽]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性(성품 성:)
신분이나 지위가 높고 귀하게 될 타고난 바탕이나 성질.
용례:
하여간 여자로서 본다면 어느 여자든지 연애하고 싶은 마음을 낼 수가 없을 만한 귀인성 없는 남자였다.≪한용운, 흑풍≫
64. 귀인성스럽다 (貴人性스럽다) [귀:인썽스럽따]
한자: 貴(귀할 귀:), 人(사람 인), 性(성품 성:)
신분이나 지위가 높고 귀하게 될 타고난 바탕이나 성질이 있다.
용례:
누가 보든지 칭찬할 만하다. 귀인성스럽고 명민하고 미인 될 바탕이었다.≪염상섭, 무화과≫
65. 귀자 (貴子) [귀:자]
한자: 貴(귀할 귀:), 子(아들 자)
「1」특별히 귀염을 받는 아들을 이르는 말.
「2」귀한 집 아들. 또는 귀한 집 젊은 남자를 이르는 말.
66. 귀자창 (貴字窓) [귀:짜창]
한자: 貴(귀할 귀:), 字(글자 자), 窓(창 창)
가로 살과 세로 살을 이용하여 ‘貴’ 자 모양으로 살을 짠 창문.
67. 귀저 (貴著) [귀:저]
한자: 貴(귀할 귀:), 著(나타날 저:)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저서를 높여 이르는 말.
68. 귀제 (貴弟) [귀:제]
한자: 貴(귀할 귀:), 弟(아우 제:)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동생을 높여 이르는 말.
69. 귀족 (貴族) [귀:족]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가족이나 겨레를 높여 이르는 말.
70. 귀족 (貴族) [귀:족]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가문이나 신분 따위가 좋아 정치적·사회적 특권을 가진 계층. 또는 그런 사람.
용례:
- 그는 왕실로부터 후작의 작위를 받은 귀족이다.
- 몇 사람의 귀족이나 군주들만이 자유를 독점한 시대와 사회가 있었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71. 귀족식 (貴族式) [귀:족씩]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式(법 식)
귀족적인 방식이나 양식.
72. 귀족어 (貴族語) [귀:조거]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語(말씀 어:)
주로 귀족 계층에서 사용하는 언어.
73. 귀족적 (貴族的) [귀:족쩍]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的(과녁 적)
[Ⅰ]귀족의 자질이나 특성이 있는 것.
[Ⅱ]귀족의 자질이나 특성이 있는.
용례:
- [Ⅰ]그는 귀족적으로 살고 싶어 하지만 행동이 너무 경박하다.
- [Ⅰ]귀족적인 느낌이 나는 빨간 드레스가 마음에 든다.
- [Ⅰ]몸이 가냘프나, 그 가냘픈 것이 도리어 건영에게는 귀족적으로 보였다.≪이광수, 흙≫
- [Ⅱ]우리나라 고대 국가는 귀족적 성격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 [Ⅱ]나는 하루에도 몇 번씩 나 자신의 행동과 언어에서 그러한 귀족적 냄새를 맡는다. 그것은 내가 맡는다는 것보다도 맡아진다.≪최서해, 갈등≫
74. 귀족제 (貴族制) [귀:족쩨]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制(절제할 제:)
특권을 가진 소수의 귀족이 권력을 잡고 다스리는 통치 방식.
75. 귀족주의 (貴族主義) [귀:족쭈이]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主(임금/주인 주), 義(옳을 의:)
「1」소수의 특권 계층을 지지하거나 그들만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따위의 지배자나 참여자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
「2」귀족적인 의식이나 행동.
용례:
「1」귀족주의에서 비롯된 시대착오적인 발상.
76. 귀족화하다 (貴族化하다) [귀:조콰하다]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化(될 화(:))
귀족의 신분이 되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용례:
나라에 큰 공을 세운 평민 출신의 주인공을 귀족화한 소설이 선풍을 일으키고 있다.
77. 귀중 (貴中) [귀:중]
한자: 貴(귀할 귀:), 中(가운데 중)
편지나 물품 따위를 받을 단체나 기관의 이름 아래에 쓰는 높임말.
용례:
국립 국어원 귀중.
78. 귀중본 (貴重本) [귀:중본]
한자: 貴(귀할 귀:), 重(무거울 중:), 本(근본 본)
귀중하게 다루어야 할 책.
용례:
한철은 몇 권 안 되지만 귀중본이 들어 있는 책장을 열어 그 속의 책들을 점검한 다음 자물쇠를 잠갔다.≪전광용, 태백산맥≫
79. 귀중품 (貴重品) [귀:중품]
한자: 貴(귀할 귀:), 重(무거울 중:), 品(물건 품:)
귀중한 물건.
용례:
- 카운터에 귀중품을 맡기다.
- 어머니는 값나가는 귀중품들은 항상 장롱 깊숙한 곳에 감춰 두곤 하셨다.
80. 귀중하다 (貴重하다) [귀:중하다]
한자: 貴(귀할 귀:), 重(무거울 중:)
귀하고 중요하다.
용례:
- 일을 하는 데는 무엇보다 인화(人和)가 귀중하다.
- 그들 부부에게 아이는 둘도 없이 귀중한 존재였다.
- 인간에게 믿음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만큼 귀중합니다.
81. 귀중히 (貴重히) [귀:중히]
한자: 貴(귀할 귀:), 重(무거울 중:)
귀하고 중요하게.
용례:
- 가보로 귀중히 여기다.
- 아버님의 유품을 귀중히 간수하다.
82. 귀지 (貴紙) [귀:지]
한자: 貴(귀할 귀:), 紙(종이 지)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이 소속된 기관에서 발간하는 신문을 높여 이르는 말.
83. 귀지 (貴誌) [귀:지]
한자: 貴(귀할 귀:), 誌(기록할 지)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이 소속된 기관에서 발행하는 잡지를 높여 이르는 말.
84. 귀진 (貴珍) [귀:진]
한자: 貴(귀할 귀:), 珍(보배 진)
‘귀진하다’
(보배롭고 보기 드물게 귀하다.)의 어근.
85. 귀찰 (貴札) [귀:찰]
한자: 貴(귀할 귀:), 札(편지 찰)
상대편의 편지를 높여 이르는 말.(귀한, 귀함)
86. 귀처 (貴處) [귀:처]
한자: 貴(귀할 귀:), 處(곳 처:)
상대편이 사는 곳을 높여 이르는 말.(귀지)
87. 귀척 (貴戚) [귀:척]
한자: 貴(귀할 귀:), 戚(친척 척)
「1」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인척을 높여 이르는 말.
「2」임금의 인척을 이르던 말.
88. 귀천 (貴賤) [귀:천]
한자: 貴(귀할 귀:), 賤(천할 천:)
「1」부귀(富貴)와 빈천(貧賤)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신분이나 일 따위의 귀함과 천함.
용례:
- 「2」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 「2」백성을 건지고 기울어 가는 나라를 구하시려는 장군님의 높으신 뜻에 감동하는 마음이야 어찌 신분의 귀천이 있겠사옵니까?≪송기숙, 녹두 장군≫
89. 귀체 (貴體) [귀:체]
한자: 貴(귀할 귀:), 體(몸 체)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안부를 물을 때 그 사람의 몸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 귀체 평안하옵신지요.
- 그간 다망하신 가운데 귀체 강녕하신지요.
90. 귀측 (貴側) [귀:측]
한자: 貴(귀할 귀:), 側(곁 측)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이 속한 단체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귀측의 제의를 환영하며 그에 동의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바입니다.
91. 귀태 (貴態) [귀:태]
한자: 貴(귀할 귀:), 態(모습 태:)
「1」고귀한 태도나 모습.
「2」귀여운 태도.
용례:
- 「1」귀태가 나다.
- 「1」그녀의 얼굴에는 귀태가 흐른다.
92. 귀티 (貴티) [귀:티]
한자: 貴(귀할 귀:)
귀하게 보이는 모습이나 태도.
용례:
- 귀티가 흐르다.
- 귀티가 나다.
- 보통학교를 나왔대서가 아니라 어느 모로 보나 몸가짐이 조신스러웠고 몸매나 용모에도 귀티가 있었다.≪박경리, 토지≫
93. 귀편 (貴便) [귀:편]
한자: 貴(귀할 귀:), 便(편할 편(:))
「1」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인편을 높여 이르는 말.
「2」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이 속한 단체를 높여 이르는 말.
94. 귀품 (貴品) [귀:품]
한자: 貴(귀할 귀:), 品(물건 품:)
「1」귀중한 물건.
「2」상대편의 물품을 높여 이르는 말.
95. 귀하 (貴下) [귀:하]
한자: 貴(귀할 귀:), 下(아래 하:)
[Ⅰ]편지글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름 다음에 붙여 쓰는 말.
[Ⅱ]듣는 이를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용례:
- [Ⅰ]○○○ 귀하.
- [Ⅱ]귀하의 작품.
- [Ⅱ]귀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96. 귀하다 (貴하다) [귀:하다]
한자: 貴(귀할 귀:)
「1」신분, 지위 따위가 높다.
「2」존중할 만하다.
「3」아주 보배롭고 소중하다.
「4」구하거나 얻기가 아주 힘들 만큼 드물다.
용례:
- 「1」정승 여섯 분이 배출된 귀한 집안.
- 「1」몇 해 전까지만 해도 자주 만나 대폿잔을 기울이고 하였지만, 그가 귀하신 몸이 되고부터는 통 만나지 못했다.
- 「1」동궁이라면 장래의 이 나라의 주인이 될 귀한 몸임에도 불구하고 너무도 약하고 부족한 점이 많았다.≪김동인, 대수양≫
- 「2」귀한 손님.
- 「2」귀한 걸음을 하다.
- 「2」귀하게 자라다.
- 「2」보내 주신 귀한 글은 잘 받았습니다.
- 「2」그래 남의 집 귀한 자식을 데려다 놓고 그거 무슨 못 할 노릇이냐? ≪이무영, 농민≫
- 「3」사람의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이 또 있을까?
- 「4」대대로 손이 귀한 집안.
- 「4」이것이 말로만 듣던 그 귀하다는 산삼이냐?
- 「4」자동차가 귀하던 그 시절 미군 트럭을 하나 구할 수만 있다면 금방 버스로 개「4」조하여 떼돈을 벌던 때였다. ≪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97. 귀현 (貴顯) [귀:현]
한자: 貴(귀할 귀:), 顯(나타날 현:)
존귀하고 벼슬이나 명성, 덕망 따위가 높음. 또는 그런 사람.
98. 귀형 (貴兄) [귀:형]
한자: 貴(귀할 귀:), 兄(형 형)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을 친근하게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99. 귀회 (貴會) [귀:회]
한자: 貴(귀할 귀:), 會(모일 회:)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모임을 높여 이르는 말.
100. 귀히 (貴히) [귀:히]
한자: 貴(귀할 귀:)
「1」신분, 지위 따위가 높게.
「2」아주 보배롭고 소중하게.
「3」구하거나 얻기가 아주 힘들 만큼 드물게.
용례:
- 「1」그 사람 겉모습은 귀히 보이지만 사실은 보잘것없는 집안 태생이다.
- 「2」무남독녀인 기영은 너무 귀히 자라서 버릇이 없다.
- 「3」구하기 힘든 산삼이니 귀히 여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요.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貴 귀할 귀: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