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월 (六▽月) [유월]
한자: 六(여섯 륙), 月(달 월)
한 해 열두 달 가운데 여섯째 달.
용례:
유월의 햇볕이 따갑게 느껴질 때였는데 그는 두꺼운 겨울옷을 입고 있었다.≪조세희, 우주여행≫
2. 유월도 (六▽月桃) [유월또]
한자: 六(여섯 륙), 月(달 월), 桃(복숭아 도)
음력 유월에 익는 복숭아. 빛이 검붉고 털이 많으며 맛이 달다.
용례:
유월도가 익다.
3. 육 (六) [육]
한자: 六(여섯 륙)
[Ⅰ]오에 일을 더한 수. 아라비아 숫자로는 ‘6’, 로마 숫자로는 ‘Ⅵ’으로 쓴다.
[Ⅱ]「1」그 수량이 여섯임을 나타내는 말.
[Ⅱ]「2」그 순서가 여섯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용례:
- [Ⅰ]육 곱하기 사는 이십사.
- [Ⅰ]사에 이를 더하면 육이 된다.
- [Ⅱ]「1」육 개월.
- [Ⅱ]「1」육 주년.
- [Ⅱ]「1」육 리터.
- [Ⅱ]「1」육 미터.
- [Ⅱ]「2」육 장.
- [Ⅱ]「2」육 호.
4. 육각 (六角) [육깍]
한자: 六(여섯 륙), 角(뿔 각)
「1」여섯 개의 각.
「2」여섯 개의 각이 있는 모양.
「3」여섯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
「4」북, 장구, 해금, 피리, 태평소 둘로 이루어진 악기 편성.
5. 육각등 (六角燈) [육깍뜽]
한자: 六(여섯 륙), 角(뿔 각), 燈(등 등)
육각의 기둥 모양을 한 등.
용례:
김 훈장은 분통이 터져서 발을 굴렀으나 눈앞에 사람은 없고 대문 기둥에 걸어 둔 육각등만 땅바닥을 비춰 주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6. 육각정 (六角亭) [육깍쩡]
한자: 六(여섯 륙), 角(뿔 각), 亭(정자 정)
여섯 개의 기둥으로 여섯모가 나게 지은 정자.
용례:
여기가 한국군 휴양소야. 조기 저기 팔각정인가 육각정인가 있었다는데 놈들의 공세로 날아갔다지, 아마?≪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7. 육각형 (六角形) [육까켱]
한자: 六(여섯 륙), 角(뿔 각), 形(모양 형)
「1」여섯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
「2」여섯 개의 각이 있는 모양.
용례:
- 「1」육각형 형태.
- 「1」육각형을 이루다.
- 「1」벌집은 수많은 육각형이 모여 있는 모양이다.
8. 육간대청 (六間大廳) [육깐대청]
한자: 六(여섯 륙), 間(사이 간(:)), 大(큰 대(:)), 廳(관청 청)
여섯 칸이 되는 넓은 마루.
용례:
안마당으로 들어서면 서편으로 안방이 앉았고 육간대청이 남쪽을 향하였으며….≪안회남, 황금과 장미≫
9. 육감 (六感) [육깜]
한자: 六(여섯 륙), 感(느낄 감:)
오관 이외의 감각. 일반적으로 도무지 알 수 없는 사물의 본질을 직감적으로 포착하는 심리 작용이다.
용례:
- 육감이 좋지 않다.
- 육감으로 알다.
- 육감이 맞아떨어지다.
- 왜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단순히 여자의 본능적인 육감으로 그렇게 느꼈던 것이에요.≪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 제 육감입니다만 이번 일은 보통으로 끝날 것 같지 않습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0. 육감적 (六感的) [육깜적]
한자: 六(여섯 륙), 感(느낄 감:), 的(과녁 적)
[Ⅰ]어떤 상황이나 일에 대한 정보 없이 그것에 대하여 예측되는 본능적 느낌이 드는 것.
[Ⅱ]어떤 상황이나 일에 대한 정보 없이 그것에 대하여 예측되는 본능적 느낌이 드는.
용례:
- [Ⅰ]나는 육감적으로 배가 곧 떠나리라는 것을 감지할 수 있었다.≪박해준, 밀항기≫
- [Ⅰ]그때 소년은 어른들이 자기들에게 무엇을 하려 하는가를 육감적으로 알아차렸다.≪최인호, 미개인≫
- [Ⅱ]육감적 판단.
11. 육갑 (六甲) [육깝]
한자: 六(여섯 륙), 甲(갑옷 갑)
「1」천간(天干)의 갑(甲)ㆍ을(乙)ㆍ병(丙)ㆍ정(丁)ㆍ무(戊)ㆍ기(己)ㆍ경(庚)ㆍ신(辛)ㆍ임(壬)ㆍ계(癸)와 지지(地支)의
자(子)ㆍ축(丑)ㆍ인(寅)ㆍ묘(卯)ㆍ진(辰)ㆍ사(巳)ㆍ오(午)ㆍ미(未)ㆍ신(申)ㆍ유(酉)ㆍ술(戌)ㆍ해(亥)를 순차로 배합하여 예순 가지로 늘어놓은 것.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이다.
「2」남이
하는 언동을 비속하게 이르는 말.
용례:
「2」육갑 떨고 자빠졌네.
12. 육경 (六經) [육꼉]
한자: 六(여섯 륙), 經(지날/글 경)
중국 춘추 시대의 여섯 가지 경서(經書). ≪역경≫, ≪서경≫, ≪시경≫, ≪춘추≫, ≪예기≫, ≪악기≫를 이르는데 ≪악기≫ 대신 ≪주례≫를 넣기도 한다.
13. 육궁 (六宮) [육꿍]
한자: 六(여섯 륙), 宮(집 궁)
「1」옛 중국의 궁중에 있었던 황후의 궁전과 부인 이하의 다섯 궁실.
「2」바둑에서, 빈 집이 여섯 집인 형세. 정육궁과 매화육궁이 있다.
용례:
「1」눈동자 살며시 내리뜨며 한번 웃음 머금어 지으면, 백 가지 아름다움 아양스레 피어나서, 육궁의 후궁들이 무안ㆍ무색하던 양 귀비를 모르시오.≪최명희, 혼불≫
14. 육극 (六極) [육끅]
한자: 六(여섯 륙), 極(다할/극진할 극)
「1」매우 불길하게 여기는 여섯 가지 일. 변사(變死)와 요사(夭死), 질(疾), 우(憂), 빈(貧), 악(惡), 약(弱)을 이른다.
「2」인체에서 중요한 여섯 곳. 기극(氣極), 혈극(血極),
근극(筋極), 골극(骨極), 기극(肌極), 정극(精極)을 이른다.
「3」천지(天地)와 사방(四方)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1」하늘의 뜻을 받들어 선을 행하는 사람은 오복을 받지만 하늘의 뜻을 어기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육극을 받는다고 한다.
15. 육대주 (六大洲) [육때주]
한자: 六(여섯 륙), 大(큰 대(:)), 洲(물가 주)
지구 위의 여섯 대륙.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를 이른다.
용례:
기상대에서는 오대양 육대주 여기저기의 기상 이변과 가까운 연안해의 피해 상황을 보도하곤 했고….≪한승원, 새끼 무당≫
16. 육두품 (六頭品) [육뚜품]
한자: 六(여섯 륙), 頭(머리 두), 品(물건 품:)
신라 때의 신분 제도인 두품제에서 첫째 등급. 왕족 다음가는 신분의 등급으로 아찬까지의 벼슬을 할 수 있었다.
용례:
- 육두품 신분.
- 육두품 출신.
- 박(朴)ㆍ석(昔)ㆍ김(金) 신라의 3성에, 이(李)ㆍ최(崔)ㆍ정(鄭)ㆍ손(孫)ㆍ배(裵)ㆍ설(薛)을 비롯한 진골 육두품 계층이 일반 백성들과는 다르게 비로소 확실한 성을 가진 것이 이때였다.≪최명희, 혼불≫
17. 육례 (六禮) [융녜]
한자: 六(여섯 륙), 禮(예도 례:)
「1」유교 사회에서 행하는 여섯 가지 큰 의식.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향례(鄕禮), 상견례(相見禮)를 이른다.
「2」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혼인의 여섯
가지 예법. 납채, 문명(問名), 납길, 납폐, 청기(請期), 친영을 이른다.
용례:
- 「1」
- 「2」육례를 갖추다.
- 「2」그들은 육례를 치르고 어엿한 부부가 되었다.
18. 육룡 (六龍) [융뇽]
한자: 六(여섯 륙), 龍(용 룡)
「1」여섯 마리의 용.
「2」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용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수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건괘(乾卦)의 육효.
19. 육면체 (六面體) [융면체]
한자: 六(여섯 륙), 面(낯 면:), 體(몸 체)
여섯 개의 평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용례:
중간에 육면체의 큰 바위들이 마치 장롱을 한 바리 부려 놓은 것처럼 제멋대로 모여 있는 데가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20. 육모 (六모) [융모]
한자: 六(여섯 륙)
「1」여섯 개의 모.
「2」여섯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
용례:
「1」육모가 지다.
21. 육모정 (六모亭) [융모정]
한자: 六(여섯 륙), 亭(정자 정)
여섯 개의 기둥으로 여섯모가 나게 지은 정자.
용례:
그는 제정신이 아니었다. 그는 당산 꼭대기 육모정 주변에다 마을 사람들을 잔뜩 불러 모았다.≪윤흥길, 완장≫
22. 육미 (六味) [융미]
한자: 六(여섯 륙), 味(맛 미:)
「1」쓰고, 달고, 짜고, 싱겁고, 시고, 매운 여섯 가지 맛. 온갖 맛을 이른다.
「2」숙지황, 구기자, 산수유 따위의 여섯 가지 약재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폐결핵에 좋다.
23. 육법 (六法) [육뻡]
한자: 六(여섯 륙), 法(법 법)
「1」동양화를 그릴 때의 여섯 가지 화법. 중국 남제의 사혁이 지은 <고화품록>에 나오는 말로, 기운생동ㆍ골법용필(骨法用筆)ㆍ응물상형(應物象形)ㆍ수류부채ㆍ경영위치ㆍ전이모사(轉移模寫)를
이른다.
「2」여섯 가지의 기본이 되는 법률. 헌법, 형법, 민법, 상법, 형사 소송법, 민사 소송법을 이른다.
「3」상한(傷寒)을 치료하는 여섯 가지 방법. 한법(汗法),
토법(吐法), 하법(下法), 온법(溫法), 청법(淸法), 보법(補法)을 이른다.
24. 육법전서 (六法全書) [육뻡쩐서]
한자: 六(여섯 륙), 法(법 법), 全(온전 전), 書(글 서)
온갖 법령을 다 모아서 수록한 종합 법전.
용례:
그가 화필을 놀리는 대신 육법전서를 외어 가지고 저기에 저렇게 앉아 있다면 꼭 저 검사와 같으리라 싶었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25. 육부 (六腑) [육뿌]
한자: 六(여섯 륙), 腑(육부(六腑) 부)
배 속에 있는 여섯 가지 기관. 위, 큰창자, 작은창자, 쓸개, 방광, 삼초를 이른다. 음식물을 받아들여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며 찌꺼기를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26. 육사 (六邪) [육싸]
한자: 六(여섯 륙), 邪(간사할 사)
나라에 해로운 여섯 유형의 신하. 구신(具臣), 유신(諛臣), 간신(奸臣), 참신(讒臣), 적신(賊臣), 망국신(亡國臣)을 이른다.
27. 육서 (六書) [육써]
한자: 六(여섯 륙), 書(글 서)
「1」한자의 구조 및 사용에 관한 여섯 가지의 명칭.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를 이른다.
「2」한자의 여섯 가지 서체(書體).
대전(大篆)ㆍ소전(小篆)ㆍ예서(隸書)ㆍ팔분(八分)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 또는 고문(古文)ㆍ기자(奇字)ㆍ전서(篆書)ㆍ예서(隸書)ㆍ무전(繆篆)ㆍ충서(蟲書)를 이른다.
28. 육손이 (六손이) [육쏘니]
한자: 六(여섯 륙)
손가락이 여섯 개 달린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아이들이 육손이를 놀리느라고 산벼랑에 있는 새알을 꺼내 오라고 해도 그는 쉽사리 그 청을 들어주었다.≪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29. 육십 (六十) [육씹]
한자: 六(여섯 륙), 十(열 십)
[Ⅰ]십의 여섯 배가 되는 수.
[Ⅱ]「1」그 수량이 예순임을 나타내는 말.
[Ⅱ]「2」그 순서가 예순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용례:
- [Ⅱ]「1」육십 년.
- [Ⅱ]「1」육십 세.
- [Ⅱ]「1」육십 미터.
- [Ⅱ]「2」육십 등.
- [Ⅱ]「2」육십 층.
30. 육십갑자 (六十甲子) [육씹깝짜]
한자: 六(여섯 륙), 十(열 십), 甲(갑옷 갑), 子(아들 자)
천간(天干)의 갑(甲)ㆍ을(乙)ㆍ병(丙)ㆍ정(丁)ㆍ무(戊)ㆍ기(己)ㆍ경(庚)ㆍ신(辛)ㆍ임(壬)ㆍ계(癸)와 지지(地支)의 자(子)ㆍ축(丑)ㆍ인(寅)ㆍ묘(卯)ㆍ진(辰)ㆍ사(巳)ㆍ오(午)ㆍ미(未)ㆍ신(申)ㆍ유(酉)ㆍ술(戌)ㆍ해(亥)를 순차로 배합하여 예순 가지로 늘어놓은 것.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이다.
31. 육십객 (六十客) [육씹깩]
한자: 六(여섯 륙), 十(열 십), 客(손 객)
나이가 육십 전후인 사람.
용례:
반백의 머리털에, 잔주름이 많이 잡혀 박 노인은 역시 육십객의 노인이었다.≪홍성원, 육이오≫
32. 육예 (六藝) [유계]
한자: 六(여섯 륙), 藝(재주 예:)
고대 중국 교육의 여섯 가지 과목.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를 이른다.
용례:
- 육예를 겸하다.
- 원래의 유자(儒者)란 그 이론뿐만 아니라 육예에 통달해야만 한다고 말하고 있다.≪유현종, 들불≫
33. 육의전 (六矣廛) [유기전]
한자: 六(여섯 륙), 矣(어조사 의), 廛(가게 전:)
조선 시대에, 전매 특권과 국역(國役) 부담의 의무를 진 서울의 여섯 시전(市廛). 선전(縇廛), 면포전(綿布廛), 면주전(綿紬廛), 지전(紙廛), 저포전(紵布廛), 내외어물전(內外魚物廛)을 이른다.
용례:
형장께서 환로에 나가심에 뜻을 두었다면 미거한 시생이 주선할 것이요, 장차 육의전의 행수 자리를 겨냥하고 있다 하면 그 또한 시생이 주선하리다.≪김주영, 객주≫
34. 육이오 (六二五) [유기오]
한자: 六(여섯 륙), 二(두 이:), 五(다섯 오:)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용례:
- 육이오가 터지다.
- 육이오를 치르다.
- 그 여자는 스물 직전, 음악 학교에 적을 두고 있던 때에 육이오를 겪었으며….≪김원일, 어둠의 축제≫
35. 육이오사변 (六二五事變) [유기오사:변]
한자: 六(여섯 륙), 二(두 이:), 五(다섯 오:), 事(일 사:), 變(변할 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용례:
- 육이오 사변이 터지다.
- 육이오 사변 때 내가 소달구지를 끌고 피난길에 나섰소.≪김원우, 짐승의 시간≫
36. 육이오전쟁 (六二五戰爭) [유기오전:쟁]
한자: 六(여섯 륙), 二(두 이:), 五(다섯 오:),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37. 육자배기 (六字배기) [육짜배기]
한자: 六(여섯 륙), 字(글자 자)
남도 지방에서 부르는 잡가(雜歌)의 하나. 가락의 굴곡이 많고 활발하며 진양조장단이다.
용례:
- 육자배기를 부르다.
- 육자배기를 뽑다.
38. 육장 (六場) [육짱]
한자: 六(여섯 륙), 場(마당 장)
[Ⅰ]한 달에 여섯 번을 서는 장.
[Ⅱ]한 번도 빼지 않고 늘.
용례:
- [Ⅰ]생각할 겨를도 없이 그 자신은 육장을 돌면서 곡식을 받아 파는 뜨내기장사를 하게 되었던 것이다.≪박경리, 토지≫
- [Ⅱ]불암산 등 뒤에는 범굴이 있다는데, 거기는 해마다 범이 새끼를 쳐서 육장 떠나지 않는다는 것이다.≪이기영, 봄≫
- [Ⅱ]주부의 말을 들으면 경애는 요새 이 집에 전같이 육장 붙어 있지도 않고 놀러 다니는 눈치다.≪염상섭, 삼대≫
- [Ⅱ]그래 한 달 육장 사냥질을 다닌다고 나돌아 다니는 자네가 호랑이를 잡을 만한 사냥꾼 하나 아는 사람이
39. 육젓 (六젓) [육쩓]
한자: 六(여섯 륙)
유월에 잡은 새우로 담근 젓. 이 무렵의 새우가 제일 맛있다고 한다.
용례:
장 담글 때가 되면 소금을 그렇게 하고, 육젓이 나올 여름이면 김장용 황석어젓과 멸치젓을 독점했다.≪이문구, 으악새 우는 사연≫
40. 육정 (六情) [육쩡]
한자: 六(여섯 륙), 情(뜻 정)
사람의 여섯 가지 감정. 희(喜), 노(怒), 애(哀), 낙(樂), 애(愛), 오(惡)를 이른다.
41. 육정 (六正) [육쩡]
한자: 六(여섯 륙), 正(바를 정(:))
나라에 이로운 여섯 유형의 신하. 성신(聖臣), 양신(良臣), 충신(忠臣), 지신(智臣), 정신(貞臣), 직신(直臣)을 이른다.
42. 육척 (六戚) [육척]
한자: 六(여섯 륙), 戚(친척 척)
「1」부모, 형제, 처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모든 혈족.
43. 육촌 (六寸) [육촌]
한자: 六(여섯 륙), 寸(마디 촌:)
사촌의 자녀끼리의 촌수.
용례:
- 육촌 누이.
- 육촌 오빠.
- 가깝대야 육촌, 칠촌이지. 가까운 일가도 없이 불쌍한 아이외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44. 육축 (六畜) [육축]
한자: 六(여섯 륙), 畜(짐승 축)
집에서 기르는 대표적인 여섯 가지 가축. 소, 말, 양, 돼지, 개, 닭을 이른다.
45. 육친 (六親) [육친]
한자: 六(여섯 륙), 親(친할 친)
「1」부모, 형제, 처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점괘를 볼 때의 부모, 형제, 처재(妻財), 자손, 관귀(官鬼), 세응(世應)의 여섯 가지.
용례:
「1」그 의형제는 육친처럼 서로를 의지하고 살기로 약속했다.
46. 육칠 (六七) [육칠]
한자: 六(여섯 륙), 七(일곱 칠)
그 수량이 여섯이나 일곱임을 나타내는 말.
용례:
- 육칠 년 전.
- 이 마을에서도 서울 기타에 유학하는 학생이 벌써 육칠 명이었고….≪한설야, 탑≫
47. 육칠일 (六七日) [육치릴]
한자: 六(여섯 륙), 七(일곱 칠), 日(날 일)
엿새나 이레.
용례:
병으로 최근 육칠일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한 아저씨는 많이 수척해 있었다.
48. 육판서 (六判書) [육판서]
한자: 六(여섯 륙), 判(판단할 판), 書(글 서)
육조(六曹)의 판서.
용례:
청나라 놈들 행티로 봐서 삼정승 육판서를 말짱 종 부리듯 할 판인데….≪송기숙, 녹두 장군≫
49. 육품 (六品) [육품]
한자: 六(여섯 륙), 品(물건 품:)
고려ㆍ조선 시대에 둔, 문무관 품계의 여섯째. 정육품과 종육품이 있었다.
용례:
육품의 벼슬에 오르다.
50. 육하원칙 (六何原則) [유카원칙]
한자: 六(여섯 륙), 何(어찌 하), 原(언덕 원), 則(법칙 칙)
역사 기사, 보도 기사 따위의 문장을 쓸 때에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원칙.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의 여섯 가지를 이른다.
용례:
글을 간결하고 명확히 쓰기 위해서는 육하원칙에 따라야 한다.
51. 육혈포 (六穴砲) [유켤포]
한자: 六(여섯 륙), 穴(굴 혈), 砲(대포 포:)
탄알을 재는 구멍이 여섯 개 있는 권총.
용례:
- 육혈포 한 자루.
- 육혈포에 맞다.
- 허리에 육혈포를 차다.
52. 육화 (六花) [유콰]
한자: 六(여섯 륙), 花(꽃 화)
「1」‘눈’(대기 중의 수증기가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의 결정체.)을 달리 이르는 말. 눈송이가 여섯모의 결정을 이루는 데서 유래한다.
「2」중국 당나라의 이정(李靖)이
제갈량의 팔진(八陣)을 본떠서 만든 진법(陣法).
53. 육환장 (六環杖) [유콴장]
한자: 六(여섯 륙), 環(고리 환(:)), 杖(지팡이 장(:))
승려가 짚는, 고리가 여섯 개 달린 지팡이.
용례:
- 육환장을 짚다.
- 소리를 꽝 지르며 스님은 육환장으로 방학주 배를 꾹 찔렀다.≪송기숙, 녹두 장군≫
54. 육효 (六爻) [유쿄]
한자: 六(여섯 륙), 爻(사귈/가로그을 효)
역(易)에서, 점괘(占卦)의 여섯 가지 획수.
용례:
무자라도 불러 육효나 뽑아 보고 답답한 심기를 달래 보자 하였던 것입니다.≪김주영, 객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