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하륙 (下陸) [하:륙]
한자: 下(아래 하:), 陸(뭍 륙)
「1」배, 화물차, 비행기 따위에 실었던 짐을 땅에 내려놓음.
「2」배에서 뭍으로 내림.
용례:
- 「1」안주로 보내라는 팔백 석 곡식은 배에서 하륙을 시키지 말고 강변에서 대기하고 있도록 해라!≪박종화, 임진왜란≫
- 「2」경군이 파견된다는 소리만 듣고도 난군들이 두려워서 흩어지고 있다면 굳이 하륙을 할 것이 없지 않겠소?≪송기숙, 녹두 장군≫
42. 하리 (下吏) [하:리]
한자: 下(아래 하:), 吏(벼슬아치/관리 리:)
관아에 속하여 말단 행정 실무에 종사하던 구실아치. 고려 시대에는 중앙의 각 관아에 속한 말단 행정 요원만을 가리켰으나, 조선 시대에는 경향(京鄕)의 모든 이직(吏職) 관리를 뜻하였다.
용례:
사월 초이렛날은 경상도 개령에서 민요가 또 일어나서 이방과 수교와 하리를 박살하고 결전 문서를 태워 버렸다.≪박종화, 전야≫
43. 하마 (下馬) [하:마]
한자: 下(아래 하:), 馬(말 마:)
말에서 내림.
용례:
견마를 잡은 하인이 목사한테 하마를 하라고 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44. 하마비 (下馬碑) [하:마비]
한자: 下(아래 하:), 馬(말 마:), 碑(비석 비)
조선 시대에, 누구든지 그 앞을 지날 때는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기어 궁가, 종묘, 문묘 따위의 앞에 세웠던 비석.
용례:
임금의 사친에 대한 예로서 운현궁 밖에는 하마비를 세울 것.≪김동인, 운현궁의 봄≫
45. 하마석 (下馬石) [하:마석]
한자: 下(아래 하:), 馬(말 마:), 石(돌 석)
말에 오르거나 내릴 때에 발돋움하기 위하여 대문 앞에 놓은 큰 돌.
용례:
점잖은 중노인이 팔십 노모를 등에 업어 모시고 드샐 곳을 생각하느라고, 읍내 삼문 앞 하마석 돌에 늙은 어머니를 내려놓고 우두커니 서산에 떨어지는 낙조를 바라보고 앉아 있었다.≪박종화, 임진왜란≫
46. 하마평 (下馬評) [하:마평]
한자: 下(아래 하:), 馬(말 마:), 評(평할 평:)
관직의 인사이동이나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소문이나 평판.
용례:
새 정부 구성을 앞두고 하마평이 무성하다.
47. 하명 (下命) [하:명]
한자: 下(아래 하:), 命(목숨 명:)
「1」‘명령’(命令)을 높여 이르는 말.
「2」명령을 내림.
「3」법규에 규정된 작위, 부작위, 급부 또는 수인(受忍)의 의무를 국민에게 부과하는 행정 처분.
용례:
- 「1」하명을 내리다.
- 「1」하명을 받다.
- 「1」대공님의 하명도 있고 해서 좀 철저하게 산채 밖을 지키려고 진솔백이에 순찰을 나왔습지요.≪유현종, 들불≫
48. 하문 (下文) [하:문]
한자: 下(아래 하:), 文(글월 문)
아래의 글이나 문장.
용례:
하문 참조.
49. 하문 (下問) [하:문]
한자: 下(아래 하:), 問(물을 문:)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음. 또는 윗사람의 물음.
용례:
- 흥선의 둘째 아들인 명복에게 대한 대비의 관심은 자못 깊으신 듯 또다시 흥선을 향해서 이렇게 하문이 계셨다.≪박종화, 전야≫
- 왕은…소원한 신하까지 와내에 불러들이어서 정사(政事)의 하문까지도 하여서 왕실 지친은 물론이요, 외신들까지도 적지 않게 기뻐하고….≪김동인, 대수양≫
50. 하바리 (下바리) [하:바리]
한자: 下(아래 하:)
품위나 지위가 낮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그 녀석은 아주 하바리라 상대할 가치도 없다.
51. 하반기 (下半期) [하:반기]
한자: 下(아래 하:), 半(반(半) 반:), 期(기약할 기)
한 해나 어떤 일정한 기간을 둘로 나누었을 때 나중 되는 기간.
용례:
- 하반기 결산 보고.
- 하반기 들어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 새로 짓는 건물은 올 하반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52. 하반부 (下半部) [하:반부]
한자: 下(아래 하:), 半(반(半) 반:), 部(떼 부)
어떤 것을 둘로 나누었을 때에 아래쪽이 되는 부분.
용례:
하반부가 전부 대리석으로 되어 있습니다.
53. 하반신 (下半身) [하:반신]
한자: 下(아래 하:), 半(반(半) 반:), 身(몸 신)
몸의 아래쪽 절반이 되는 부분. 허리 아래의 부분을 이른다.
용례:
- 하반신 마비.
- 교통사고로 하반신을 못 쓰게 되었다.
- 적들은 호 속에 하반신을 숨긴 채 머리와 어깨만을 호 밖으로 내놓고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 이 바위에 걸터앉으면 하반신만이 물에 잠겼다.≪박용구, 한강 유역≫
54. 하반체 (下半體) [하:반체]
한자: 下(아래 하:), 半(반(半) 반:), 體(몸 체)
몸의 아래쪽 절반이 되는 부분. 허리 아래의 부분을 이른다.
용례:
정순은 차츰 굳어 오는 하반체가 이제는 완전히 감각을 잃을 만큼 되자….≪김말봉, 찔레꽃≫
55. 하방 (下方) [하:방]
한자: 下(아래 하:), 方(모[棱] 방)
아래쪽의 방향.
용례:
그러니까 새로 발견된 능묘의 묘실은 서하총의 서쪽 하방으로, 능의 현실 역시 서하총보다는 조금 남쪽에 마련되어 있었던 셈이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56. 하배 (下輩) [하:배]
한자: 下(아래 하:), 輩(무리 배:)
「1」하인의 무리.
「2」삼배(三輩)의 하나. 지혜가 얕고 공덕이 적은 범부를 이른다.
용례:
「1」아무리 나이가 적고 자신의 신분이 서(庶)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손아래인 질부에게까지 하배들 대접을 받게 되자 더 참을 수 없었던 모양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57. 하복 (下腹) [하:복]
한자: 下(아래 하:), 腹(배 복)
배꼽 아랫부분의 배.
용례:
까닭 없는 호기가 하복으로서 솟아올라서….≪최남선, 백두산 근참기≫
58. 하복부 (下腹部) [하:복뿌]
한자: 下(아래 하:), 腹(배 복), 部(떼 부)
배꼽 아래쪽의 배 부분.
용례:
나는 젖 먹던 힘까지 내어 사지를 뒤틀다가 무릎 치기로 서 씨의 하복부 근방을 힘껏 걷어찼습니다.≪최일남, 춘자의 사계≫
59. 하부 (下付) [하:부]
한자: 下(아래 하:), 付(부칠 부:)
「1」예전에, 관청에서 백성에게 증명ㆍ허가ㆍ인가ㆍ면허 따위를 내주던 일.
「2」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건을 보냄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1」그동안의 경위를 저저이 적어 제실 소유 및 국유 재산 조사국 위원회에 토지 증명 하부를 청원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60. 하부 (下部) [하:부]
한자: 下(아래 하:), 部(떼 부)
「1」아래쪽 부분.
「2」하급 기관이나 부서. 또는 그곳의 사람.
「3」백제의 오부(五部)의 하나.
용례:
- 「1」낙동강 하부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다.
- 「2」하부 조직.
- 「2」명령이 하부로 전달되다.
- 「2」박태영이 근신 처분을 받기 전 당이 하부에 전달한 미국에 대한 공식적 판단은 다음과 같았다.≪이병주, 지리산≫
61. 하부구조 (下部構造) [하:부구조]
한자: 下(아래 하:), 部(떼 부), 構(얽을 구), 造(지을 조:)
「1」일정한 건축물의 아랫부분의 조직.
「2」유물 사관에서, 정치ㆍ법률ㆍ사상 따위의 상부 구조를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물질적 생산관계의 총체를 이르는 말. 마르크스주의의 용어이다.
62. 하불실 (下不失) [하:불씰]
한자: 下(아래 하:), 不(아닐 불), 失(잃을 실)
아무리 적어도, 적은 만큼의 희망이 있음을 이르는 말.
용례:
만약 교장으로 눌러앉기가 못 될 경우에는 하불실 자식들의 공부시키기나 좀 편리할 도회지 가까이 전근이나 되어야 할 것이라고….≪김정한, 낙일홍≫
63. 하불하 (下不下) [하:불하]
한자: 下(아래 하:), 不(아닐 불), 下(아래 하:)
적게 잡아도.
용례:
적어도 오륙십 원은 드려야 해 줄 터인데 집의 것하고 합하면 하불하 백 원이로군!≪염상섭, 전화≫
64. 하비 (下婢) [하:비]
한자: 下(아래 하:), 婢(계집종 비:)
사삿집이나 여관 따위에 고용되어 부엌일이나 허드렛일을 맡아서 하는 여자 하인.
용례:
중국인의 하비를 하나 두었다. 이 집 식구를 닮았던지 주책없는 낙천가여서….≪강신재, 그들의 행진≫
65. 하사 (下賜) [하:사]
한자: 下(아래 하:), 賜(줄 사:)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내림.
66. 하사 (下士) [하:사]
한자: 下(아래 하:), 士(선비 사:)
「1」부사관 계급의 하나. 중사의 아래, 병장의 위로 부사관 계급에서 가장 낮은 계급이다.
「2」대한 제국 때에, 특무정교ㆍ정교ㆍ부교ㆍ참교에 해당하던 무관(武官).
67. 하사관 (下士官) [하:사관]
한자: 下(아래 하:), 士(선비 사:), 官(벼슬 관)
‘부사관’(하사, 중사, 상사, 원사 계급을 통틀어 이르는 말.)의 전 용어.
68. 하사금 (下賜金) [하:사금]
한자: 下(아래 하:), 賜(줄 사:), 金(쇠 금)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린 돈.
용례:
왕이 하사금을 내리다.
69. 하사품 (下賜品) [하:사품]
한자: 下(아래 하:), 賜(줄 사:), 品(물건 품:)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린 물품.
용례:
대통령 하사품.
70. 하산 (下山) [하:산]
한자: 下(아래 하:), 山(메 산)
「1」산에서 내려오거나 내려감.
「2」깨달음을 얻거나 생활할 수 없어 산에서의 생활을 그만둠.
「3」땔나무, 숯, 재목 따위를 산에서 날라 내려가거나 내려옴.
용례:
- 「1」하산을 너무 늦게 하는 바람에 어두워져서 길을 잃고 말았다.
- 「1」우리 일행은 그릇과 계기를 양동이에 담고 삽과 곡괭이는 한데 모으며 하산을 서둘렀다.≪김원일, 노을≫
71. 하삼도 (下三道) [하:삼도]
한자: 下(아래 하:), 三(석 삼), 道(길 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세 지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상감님 수라상은 하삼도에서 올라가는 봉물로도 산해진미 구색을 갖춰 차릴 텐데….≪이문구, 오자룡≫
72. 하서 (下書) [하:서]
한자: 下(아래 하:), 書(글 서)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이 주신 글월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일전에는 천만뜻밖에 하서 받자옵고 황공, 감읍하였나이다.≪한무숙, 이사종의 아내≫
73. 하선 (下船) [하:선]
한자: 下(아래 하:), 船(배 선)
「1」배에서 내림.
「2」짐을 배에서 부림.
용례:
- 「1」하선 절차.
- 「1」배가 영산포 선창에 닿자 웅보는 죽은 아버지를 이불로 말아서 등에 업고 천천히 하선을 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74. 하속배 (下屬輩) [하:속빼]
한자: 下(아래 하:), 屬(붙일 속), 輩(무리 배:)
하인의 무리.
용례:
큰댁이야 물론 좋은 낯일 리 없겠지마는, 하속배들까지도 피하는 눈치인 데는 새삼스레 깜짝 놀랐다는 거다.≪염상섭, 자취≫
75. 하수 (下手/下數) [하:수]
한자: 下(아래 하:), 手(손 수(:)), 下(아래 하:), 數(셈 수:)
남보다 낮은 재주나 솜씨. 또는 그런 솜씨를 가진 사람.
용례:
바둑은 내가 더 잘 두지만 장기는 내가 하수이다.
76. 하수 (下水) [하:수]
한자: 下(아래 하:), 水(물 수)
「1」빗물이나 집, 공장, 병원 따위에서 쓰고 버리는 더러운 물.
「2」빗물이나 집, 공장, 병원 따위에서 쓰고 버리는 더러운 물이 흘러가도록 만든 설비.
용례:
- 「1」하수 처리 문제.
- 「1」강으로 하수가 그대로 흘러들어 오염이 심각하다.
- 「1」더러운 하수가 흘러내리는 골목길로 종대는 접어들었다.≪최인호, 지구인≫
- 「2」하수 시설.
77. 하수관 (下水管) [하:수관]
한자: 下(아래 하:), 水(물 수), 管(대롱/주관할 관)
수채에 버린 물이 흘러가도록 땅속에 묻은 통. 흔히 철관이나 토관을 쓴다.
용례:
하수관을 묻다.
78. 하수구 (下水溝) [하:수구]
한자: 下(아래 하:), 水(물 수), 溝(도랑 구)
빗물이나 집, 공장, 병원 따위에서 쓰고 버리는 더러운 물이 흘러내려 가도록 만든 도랑.
용례:
- 하수구가 막히다.
- 하수구를 청소하다.
- 하수구로 왈칵왈칵 더러운 오물들이 흘러내리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79. 하수도 (下水道) [하:수도]
한자: 下(아래 하:), 水(물 수), 道(길 도:)
빗물이나 집, 공장, 병원 따위에서 쓰고 버리는 더러운 물이 흘러가도록 만든 설비.
용례:
- 하수도 공사.
- 하수도 시설을 갖추다.
- 겨우내 햇빛 한 번 안 드는 뒤뜰은 하수도가 얼어 터져서 수채 물이 번들번들 유리판처럼 얼어붙었다.≪홍성원, 흔들리는 땅≫
80. 하수량 (下水量) [하:수량]
한자: 下(아래 하:), 水(물 수), 量(헤아릴 량)
하수의 분량.
용례:
하수량이 많아 기존의 하수도로는 다 처리할 수가 없었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下 아래 하: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下 아래 하: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下 아래 하: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