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박감 (強迫感) [강ː박깜]
한자: 強(강할 강(:)), 迫(핍박할 박), 感(느낄 감:)
무엇에 눌리거나 쫓기는 느낌.
용례:
당장에라도 누가 잡아갈 듯한 강박감이 노상 꼭뒤를 누르고 있었던 것이다.≪유현종, 들불≫
2. 거리감 (距離感) [거ː리감]
한자: 距(상거(相距)할 거:), 離(떠날 리:), 感(느낄 감:)
「1」어떤 대상과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있다고 느끼는 느낌.
「2」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간격이 있다는 느낌. 보통 친숙하지 않아 서로 마음을 트고 지낼 수
없는 서먹서먹한 느낌을 이른다.
용례:
- 「1」가을이 되자 여름내 멀게 보이던 남산이 갑자기 그 거리감을 느낄 수 없도록 가까이 다가온 듯하였다.
- 「2」거리감이 있다.
- 「2」거리감을 느끼다.
- 「2」거리감을 주다.
- 「2」한 직장에 근무하면서도 성장 배경이 전혀 다른 탓에 그와는 늘 어떤 거리감을 갖고 대할 수밖에 없었다.
- 「2」20년의 연령 차에서 오는 세대의 거리감을 그는 억지로 부인해 본다.≪전광용, 꺼삐딴 리≫
- 「2」곽 형사는 반장의 말투에서 뭔가 거리감을 느끼며 대답했다.≪유재용, 성역≫
3. 거부감 (拒否感) [거ː부감]
한자: 拒(막을 거:), 否(아닐 부:), 感(느낄 감:)
어떤 것에 대해 받아들이고 싶지 않거나 물리치고 싶은 느낌.
용례:
- 거부감이 있다.
- 거부감을 보이다.
- 거부감이 들다.
- 그는 도시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농촌에 산다.
- 느닷없이 물속에 거꾸로 박힐 때 나는 본능적인 두려움과 거부감으로 발버둥을 쳤지만 머리 밑을 흐르는 물의 감촉에 곧 익숙해졌다.≪오정희, 유년의 뜰≫
4. 격세지감 (隔世之感) [격쎄지감]
한자: 隔(사이뜰 격), 世(인간 세:), 之(갈 지), 感(느낄 감:)
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하여 아주 다른 세상이 된 것 같은 느낌.
용례:
- 나는 한심했으나 얌전하게 앉아서 세상이 점점 내가 어릴 때하고 많이 달라져 가는구나 하는 격세지감을 느끼고 있었다.≪최인호, 처세술 개론≫
- 두 작품이 이십오 년의 상거를 두고 어제와 오늘의 변화를 보여 줌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격세지감은 물론 옛날의 남산에 짙은 향수를 지니게 하였고….≪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5. 격차감 (隔差感) [격차감]
한자: 隔(사이뜰 격), 差(다를 차), 感(느낄 감:)
서로 벌어져서 생긴 차이에 대한 인식이나 느낌.
용례:
문화의 격차감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 통합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6. 경멸감 (輕蔑感) [경멸감]
한자: 輕(가벼울 경), 蔑(업신여길 멸), 感(느낄 감:)
깔보아 업신여기는 생각이나 업신여김을 당하는 느낌.
용례:
- 경멸감을 느끼다.
- 경멸감을 드러내다.
- 모희규는 경멸감 따위로는 절대로 기가 죽거나 슬퍼지는 인간이 아니었다.≪홍성원, 육이오≫
7. 경외감 (敬畏感) [경ː외감]
한자: 敬(공경 경:), 畏(두려워할 외:), 感(느낄 감:)
공경하면서 두려워하는 감정.
용례:
- 생명에 대한 경외감.
- 태아가 눈을 반짝 떴다. 이미 태아가 아니라 아기였다. 일순 나는 나를 관통하는 경외감에 소스라치면서 한 번만 더 힘을 주라고 힘차게 명령했다.≪박완서, 그 가을의 사흘 동안≫
8. 계절감 (季節感) [계ː절감]
한자: 季(계절 계:), 節(마디 절), 感(느낄 감:)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는 느낌.
용례:
- 초여름의 계절감.
- 계절감을 느끼다.
- 그는 계절감을 잘 살려서 실내를 꾸몄다.
9. 고독감 (孤獨感) [고독깜]
한자: 孤(외로울 고), 獨(홀로 독), 感(느낄 감:)
고독을 느끼는 마음.
용례:
- 고독감을 맛보다.
- 고독감에 젖어 들다.
10. 공감 (共感) [공ː감]
한자: 共(한가지 공:), 感(느낄 감:)
남의 감정, 의견, 주장 따위에 대하여 자기도 그렇다고 느낌. 또는 그렇게 느끼는 기분.
용례:
- 공감을 느끼다.
- 공감을 얻다.
- 환경 오염이 남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당면한 현실 문제라고 지적한 데 대해서는 나 역시 공감이 갔다.
- 그 책은 특히 여성 독자들에게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 듣는 쪽에서도 진정 몇몇은 내 이야기를 성실하게 이해하려고 애썼고, 더러는 깊은 공감과 동정으로 받아들였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1. 공복감 (空腹感) [공복깜]
한자: 空(빌 공), 腹(배 복), 感(느낄 감:)
배 속이 빈 듯한 느낌.
용례:
- 공복감을 느끼다.
- 그는 심한 공복감과 피로감으로 온몸에서 후줄근히 식은땀을 흘리고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12. 공포감 (恐怖感) [공ː포감]
한자: 恐(두려울 공(:)), 怖(두려워할 포), 感(느낄 감:)
두렵고 무서운 느낌이나 기분.
용례:
- 공포감에 휩싸이다.
-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다.
- 그의 목소리가 너무나 가라앉아 있었기 때문에 나는 그가 벌써 시체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공포감이 엄습해 왔다.≪김승옥, 환상 수첩≫
13. 공허감 (空虛感) [공허감]
한자: 空(빌 공), 虛(빌 허), 感(느낄 감:)
텅 빈 듯한 허전한 느낌.
용례:
- 공허감을 느끼다.
- 아무도 없는 집 안에 들어오니 공허감이 든다.
- 아무리 육체를 뜨겁게 불태워도 이 간헐적인 공허감은 한층 빈도만 잦아질 뿐이다.≪홍성원, 육이오≫
14. 과감 (過感) [과:감]
한자: 過(지날 과:), 感(느낄 감:)
‘과감하다’
(지나칠 정도라고 느낄 만큼 고맙다.)의 어근.
15. 교감 (交感) [교감]
한자: 交(사귈 교), 感(느낄 감:)
「1」서로 접촉하여 따라 움직이는 느낌.
「2」최면술을 쓰는 사람이 상대편에게 최면을 걸어 의식을 지배하는 관계.
용례:
- 「1」교감을 나누다.
- 「1」내 마음을 속속들이 알아주는 고요히 반짝이는 별과의 그 그윽한 교감을 읊어야 할 것이다.≪박목월, 구름의 서정≫
- 「1」하얀 화강암 위령탑은 하늘을 떠도는 수많은 죽은 사람들과 교감을 하고 있는 것처럼 영검스러워 보였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1」우리는 얼마든지 다정한 교감을 확인하며 걸을 수가 있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6. 구속감 (拘束感) [구속깜]
한자: 拘(잡을 구), 束(묶을 속), 感(느낄 감:)
행동이나 의사의 자유를 제한당하거나 속박당하는 것 같은 느낌.
용례:
- 구속감을 느끼다.
- 구속감에서 벗어나다.
- 한없는 구속감에 휩싸이다.
17. 구역감 (嘔逆感) [구역깜]
한자: 嘔(게울 구(:)), 逆(거스릴 역), 感(느낄 감:)
메스꺼운 느낌.
18. 굴욕감 (屈辱感) [구룍깜]
한자: 屈(굽힐 굴), 辱(욕될 욕), 感(느낄 감:)
굴욕을 당하여 느끼는 창피한 느낌.
용례:
- 굴욕감과 수치심.
- 굴욕감을 느끼다.
- 굴욕감이 치밀다.
- 여자는 굴욕감을 이겨 보려고 더 꼿꼿하게 고개를 들었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19. 균형감 (均衡感) [균형감]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感(느낄 감:)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한 고른 감각.
용례:
일을 하는 데에도 균형감이 있어야 한다.
20. 긍지감 (矜持感) [긍ː지감]
한자: 矜(자랑할 긍:), 持(가질 지), 感(느낄 감:)
긍지를 갖는 마음.
용례:
- 긍지감을 가지다.
- 문학을 키워 나가는 사업에 종사하려면, 문학에 대한 높은 우월감과 남모르는 즐거움과 긍지감과 사명감과 자부심이 없이는 한 시각도 자기의 정신을 부지해 나갈 수가 없을 것입니다.≪김남천, 등불≫
21. 기대감 (期待感) [기대감]
한자: 期(기약할 기), 待(기다릴 대:), 感(느낄 감:)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기다리는 심정.
용례:
- 기대감을 갖다.
- 기대감이 생기다.
- 기대감에 부풀다.
- 승리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하다.
- 그는 합격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품고 합격자 발표장에 갔다.
22. 기시감 (旣視感) [기시감]
한자: 旣(이미 기), 視(볼 시:), 感(느낄 감:)
한 번도 경험한 일이 없는 상황이나 장면이 언제, 어디에선가 이미 경험한 것처럼 친숙하게 느껴지는 일.
용례:
나는 대본을 들여다볼 때마다 계속해서 어떤 묘한 기시감에서 헤어날 수가 없었다.≪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23. 긴박감 (緊迫感) [긴박깜]
한자: 緊(긴할 긴), 迫(핍박할 박), 感(느낄 감:)
매우 다급하고 절박한 느낌.
용례:
- 긴박감이 감돌다.
- 긴박감에 사로잡히다.
- 금방이라도 전쟁이 터질 듯한 긴박감이 흘렀다.
- 밤은 자꾸만 깊어 가고 성안은 점점 터질 듯한 긴박감으로 팽만해졌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4. 긴장감 (緊張感) [긴장감]
한자: 緊(긴할 긴), 張(베풀 장), 感(느낄 감:)
긴장한 느낌.
용례:
- 팽팽한 긴장감이 돌다.
- 병사들은 긴장감 속에서 적진을 살폈다.
- 인사이동을 앞두고 사무실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25. 낙후감 (落後感) [나쿠감]
한자: 落(떨어질 락), 後(뒤 후:), 感(느낄 감:)
사회적인 지위나 사회 문화적인 지식의 정도가 남보다 뒤져 있다고 느끼는 마음.
용례:
국제적 지위가 높아지자 국민들이 느끼던 낙후감이 덜어졌다.
26. 낭패감 (狼狽感) [낭ː패감]
한자: 狼(이리 랑:), 狽(이리 패:), 感(느낄 감:)
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났다는 느낌.
용례:
- 거래처의 파업 소식을 접하고 우리 회사는 낭패감과 충격에 빠지고 말았다.
- 긴 장마로 수확량이 현저히 줄어 농민들이 낭패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7. 다정다감 (多情多感) [다정다감]
한자: 多(많을 다), 情(뜻 정), 多(많을 다), 感(느낄 감:)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함.
용례:
무엇이 여자를 이렇게 만들었나. 마약의 심연으로, 다정다감이 유죄요….≪박경리, 토지≫
28. 당혹감 (當惑感) [당혹깜]
한자: 當(마땅 당), 惑(미혹할 혹), 感(느낄 감:)
무슨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감정.
용례:
- 당혹감을 느끼다.
- 수치와 당혹감이 가시자 이내 불쾌감이 엄습하였다.
- 자기가 실수한 것을 알아차리자 그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29. 독감 (毒感) [독깜]
한자: 毒(독 독), 感(느낄 감:)
「1」지독한 감기.
「2」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하여 일어나는 감기. 고열이 나며 폐렴, 가운데귀염, 뇌염 따위의 합병증을 일으킨다.
용례:
- 「1」독감에 걸리다.
- 「1」독감을 앓다.
- 「1」몸조리 잘한 보람이 있어 엿새 후 선편이 있다고 기별이 왔을 때에는 독감 기운이 많이 수그러져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30. 독후감 (讀後感) [도쿠감]
한자: 讀(읽을 독), 後(뒤 후:), 感(느낄 감:)
책이나 글 따위를 읽고 난 뒤의 느낌. 또는 그런 느낌을 적은 글.
용례:
- 독후감을 쓰다.
- 그의 독후감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 소설의 원고를 가지고 와서 돌려 읽히거나 그 소설의 독후감을 이야기할 때도 있었다.≪이청준, 조율사≫
31. 동감 (同感) [동감]
한자: 同(한가지 동), 感(느낄 감:)
어떤 견해나 의견에 같은 생각을 가짐. 또는 그 생각.
용례:
- 동감을 구하다.
- 동감을 표시하다.
- 나도 그의 주장에는 전적으로 동감이다.
- 올바른 민족 정기를 세워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모두 동감을 나타냈다.
32. 동질감 (同質感) [동질감]
한자: 同(한가지 동), 質(바탕 질), 感(느낄 감:)
성질이 서로 비슷해서 익숙하거나 잘 맞는 느낌.
용례:
- 동질감을 지니다.
- 인실과 조찬하의 경우 한핏줄이라는 민족적 동질감은 있다.≪박경리, 토지≫
33. 둔감 (鈍感) [둔ː감]
한자: 鈍(둔할 둔:), 感(느낄 감:)
무딘 감정이나 감각.
용례:
어떻게 보면 얄미운 이기주의 같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둔감과 무관심 같기도 하더니….≪이문열, 변경≫
34. 만감 (萬感) [만ː감]
한자: 萬(일만 만:), 感(느낄 감:)
솟아오르는 온갖 느낌.
용례:
- 만감이 교차하다.
- 만감이 서리다.
- 태임이가 처음 드러낸 감상적인 육친애와 만감이 서린 회한에 태남이는 가슴이 뛰었지만 곧 표정이나 목소리가 변해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박완서, 미망≫
35. 만족감 (滿足感) [만족깜]
한자: 滿(찰 만(:)), 足(발 족), 感(느낄 감:)
만족한 느낌.
용례:
- 오늘 드디어 일을 마쳤다는 만족감에 밤새 잠을 이루지 못했다.
- 비로소 내가 살아 있는 풍경을 찍고 있다는 만족감이 셔터를 누르는 손끝에 팽팽히 긴장되어 떨리고 있었다.≪최인호, 돌의 초상≫
36. 모멸감 (侮蔑感) [모ː멸감]
한자: 侮(업신여길 모(:)), 蔑(업신여길 멸), 感(느낄 감:)
모멸스러운 느낌.
용례:
사장의 지나친 나무람에 나는 모멸감을 느꼈다.
37. 모욕감 (侮辱感) [모ː욕깜]
한자: 侮(업신여길 모(:)), 辱(욕될 욕), 感(느낄 감:)
모욕을 당하는 느낌.
용례:
- 모욕감을 참다.
- 그는 친구들의 심한 놀림에 모욕감을 느꼈다.
- 그 공개돼 버린 글을 되돌려받았을 때 느낄 주 양의 모욕감을 민욱으로선 보상할 길이 없었다.≪신상웅, 심야의 정담≫
38. 무기력감 (無氣力感) [무기력깜]
한자: 無(없을 무), 氣(기운 기), 力(힘 력), 感(느낄 감:)
어떠한 일을 감당할 수 있는 기운과 힘이 없는 기분이나 느낌.
용례:
- 무기력감에 찌든 생활.
- 무기력감을 느끼다.
39. 무력감 (無力感) [무력깜]
한자: 無(없을 무), 力(힘 력), 感(느낄 감:)
스스로 힘이 없음을 알았을 때 드는 허탈하고 맥 빠진 듯한 느낌.
용례:
- 무력감을 느끼다.
- 경기에서 너무 벅찬 상대를 만나면 무력감이 든다.
- 하는 일마다 제대로 안 되자 그는 무력감에 빠졌다.
- 자연이라는 거대한 힘 앞에 인간은 때로 무력감을 맛보게 된다.
40. 무료감 (無聊感) [무료감]
한자: 無(없을 무), 聊(애오라지 료), 感(느낄 감:)
무료한 느낌.
용례:
- 삶의 권태와 무료감.
- 무료감을 깨뜨리다.
- 무료감을 떨쳐 버리다.
41. 미감 (味感) [미감]
한자: 味(맛 미:), 感(느낄 감:)
맛을 느끼는 감각. 주로 혀에 있는 맛봉오리가 침에 녹은 화학 물질에 반응하여 일어난다.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의 네 가지 기본 미각이 있다.
42. 민감 (敏感) [민감]
한자: 敏(민첩할 민), 感(느낄 감:)
자극에 빠르게 반응을 보이거나 쉽게 영향을 받음. 또는 그런 상태.
용례:
그러나 그 땅문서까지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될 날이 올 것일세. 자네에게는 시대에 대한 민감과 양심이 있는 것을 내가 잘 아니까 말일세.≪염상섭, 삼대≫
43. 박진감 (迫眞感) [박찐감]
한자: 迫(핍박할 박), 眞(참 진), 感(느낄 감:)
「1」진실에 가까운 느낌.
「2」생동감 있고 활기차고 적극적이어서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느낌.
용례:
- 「1」그의 거짓말은 박진감이 넘쳐 사람들이 쉽게 속는다.
- 「2」그 경기는 박진감이 넘친다.
- 「2」그 소설은 박진감 있는 구성과 탄탄한 주제 의식으로 생동감을 더해 준다.
- 「2」수류탄 두 개로써 그 포위망을 뚫고 원대에 합류할 수 있었다는 얘기를 했는데 그 상황 설명은 박진감이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44. 박탈감 (剝奪感) [박탈감]
한자: 剝(벗길 박), 奪(빼앗을 탈), 感(느낄 감:)
박탈당하였다고 여기는 느낌이나 기분.
용례:
부유층에 대한 빈곤층의 박탈감.
45. 반감 (反感) [반ː감]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感(느낄 감:)
반대하거나 반항하는 감정.
용례:
- 관료주의에 대한 반감.
- 반감을 가지다.
- 상대를 너무 비방하면 반감을 산다.
- 그들이 반감을 품지 않도록 말을 조심해라.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感 느낄 감: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感 느낄 감: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