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배변감 (排便感) [배변감]
한자: 排(밀칠 배), 便(똥오줌 변), 感(느낄 감:)
똥이 마려운 느낌.
47. 배신감 (背信感) [배ː신감]
한자: 背(등 배:), 信(믿을 신:), 感(느낄 감:)
믿음이나 의리의 저버림을 당한 느낌.
용례:
- 배신감을 맛보다.
- 배신감이 들다.
- 나는 친구가 나를 고발하였다는 배신감에 사로잡혀 잠을 이루지 못하였다.
- 뱅골댁은 어떤 배신감 같은 것을 느끼며 한바탕 대거리를 벌일 것처럼 소리를 질러 댔다.≪조정래, 태백산맥≫
48. 부담감 (負擔感) [부ː담감]
한자: 負(질[荷] 부:), 擔(멜 담), 感(느낄 감:)
어떠한 의무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느낌.
용례:
- 부담감을 주다.
- 그는 시험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었다.
- 두 집 살림을 맡기에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너무 크다.
- 규는 태영의 독선적인 태도에 차츰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이병주, 지리산≫
- 자기는 어디까지나 상필이와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안 되리란 막연한 부담감을 주고 있던 것이다.≪이문구, 장한몽≫
49. 부족감 (不足感) [부족깜]
한자: 不(아닐 불), 足(발 족), 感(느낄 감:)
필요한 양이나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모자라다고 여겨지는 느낌.
용례:
- 부족감을 느끼다.
- 밥을 먹었는데도 어쩐지 부족감이 있다.
50. 불감 (不感) [불감]
한자: 不(아닐 불), 感(느낄 감:)
느끼지 못함.
51. 불안감 (不安感) [부란감]
한자: 不(아닐 불), 安(편안 안), 感(느낄 감:)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조마조마한 느낌.
용례:
- 극도의 불안감.
- 불안감에 휩싸이다.
- 그녀는 몸을 떨고 있었고, 지독한 불안감과 함께 심한 공포감에 사로잡혀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 웬일인지 월남을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고 다시는 ‘민간인’ 세계로 돌아가지 못할 것만 같은 불안감이 오랫동안 부대에 감돌았다.≪안정효, 하얀 전쟁≫
52. 불쾌감 (不快感) [불쾌감]
한자: 不(아닐 불), 快(쾌할 쾌), 感(느낄 감:)
못마땅하여 기분이 좋지 않은 느낌.
용례:
- 불쾌감을 주다.
- 실없이 던진 한마디가 남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 그들은 경민의 볼품사나운 걸음걸이에 불쾌감까지는 느끼지 않았으나 동정과 안쓰러움과 민망함을 느꼈다.≪홍성원, 육이오≫
53. 비호감 (非好感) [비ː호감]
한자: 非(아닐 비(:)), 好(좋을 호:), 感(느낄 감:)
안 좋게 여기는 감정. 또는 그런 감정이 드는 것.
용례:
- 호감을 얻는 것보다 비호감을 피하는 게 더 중요하다.
- 요즘 드라마에는 비호감인 인물이 꼭 등장한다.
54. 빈곤감 (貧困感) [빈곤감]
한자: 貧(가난할 빈), 困(곤할 곤:), 感(느낄 감:)
객관적인 생활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신이 주관적으로 가난하다고 생각하는 의식.
용례:
- 상대적인 빈곤감에 빠지다.
- 최근에 와서 빈부의 격차로 인하여 상대적 빈곤감을 느끼는 계층이 늘어났다.
55. 사감 (私感) [사감]
한자: 私(사사(私事) 사), 感(느낄 감:)
사사로운 감정.
용례:
- 공적인 일을 사감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
- 국가의 존망에 관한 이런 중차대한 일에 사감이 끼어들게 해서는 안 됩니다.
56. 사명감 (使命感) [사ː명감]
한자: 使(하여금/부릴 사:), 命(목숨 명:), 感(느낄 감:)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하려는 마음가짐.
용례:
그는 불타는 사명감으로 그 일을 완수했다.
57. 상실감 (喪失感) [상실감]
한자: 喪(잃을 상(:)), 失(잃을 실), 感(느낄 감:)
무엇인가를 잃어버린 후의 느낌이나 감정 상태.
용례:
- 상실감에 빠지다.
- 상실감을 맛보다.
- 전날처럼 저주 어린 복수심이나 분노의 감정 같은 것도 찾아볼 수 없었다. 그저 망연스러운 자기 상실감 속에서 바닥 모를 절망감만 짓씹고 있었다.≪이청준, 벌레 이야기≫
58. 색감 (色感) [색깜]
한자: 色(빛 색), 感(느낄 감:)
「1」색에 대한 감각.
「2」색에서 받는 느낌.
용례:
- 「1」그 디자이너는 옷에 대한 색감이 뛰어나다.
- 「2」이 그림은 전체적으로 색감이 좋다.
- 「2」이 작품은 여성 특유의 감미로운 색감이 느껴진다.
- 「2」책상 위에 가지런히 진열된 백제 와당의 은은하고 부드러운 선과 색감을 한참이나 눈길로 어루만지고 서 있던 지섭의 귓가에….≪이청준, 춤추는 사제≫
59. 색채감 (色彩感) [색채감]
한자: 色(빛 색), 彩(채색 채:), 感(느낄 감:)
색채가 잘 조화되거나 못 된 것에 대한 느낌.
용례:
그의 작품에서는 환상적인 색채감이 느껴진다.
60. 생동감 (生動感) [생동감]
한자: 生(날 생), 動(움직일 동:), 感(느낄 감:)
생기 있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느낌.
용례:
- 생동감 넘치는 모습.
- 복잡한 시장 안에서는 살아 움직이고 있다는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61. 성감 (性感) [성ː감]
한자: 性(성품 성:), 感(느낄 감:)
성교할 때에 느끼는 생리적 쾌감.
용례:
- 성감을 느끼다.
- 성감을 일으키다.
- 성감을 자극하다.
- 박동수는 계절에 따라 성감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소상하게 설명하기 시작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62. 성취감 (成就感) [성취감]
한자: 成(이룰 성), 就(나아갈 취:), 感(느낄 감:)
목적한 바를 이루었다는 느낌.
용례:
- 성취감을 느끼다.
- 그 일을 내 힘으로 다 끝냈을 때 말로 표현하지 못할 성취감이 가슴을 꽉 채웠다.
- 나는 마치 그분의 그런 고운 얼굴을 내가 만든 양 크나큰 성취감에 도취했었다.≪박완서, 해산 바가지≫
63. 소감 (所感) [소ː감]
한자: 所(바 소:), 感(느낄 감:)
마음에 느낀 바.
용례:
- 당선 소감.
- 수상 소감.
- 소감을 밝히다.
- 소감을 피력하다.
- 그는 오랜만에 귀국한 소감을 눈물로 대신했다.
64. 소속감 (所屬感) [소ː속깜]
한자: 所(바 소:), 屬(붙일 속), 感(느낄 감:)
자신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느낌.
용례:
- 소속감을 느끼다.
- 소속감을 가지다.
- 소속감이 들다.
65. 소외감 (疏外感) [소외감]
한자: 疏(소통할 소), 外(바깥 외:), 感(느낄 감:)
남에게 따돌림을 당하여 멀어진 듯한 느낌.
용례:
- 소외감을 느끼다.
- 몰려가는 인파의 행렬에서 자기는 벌써 까마득히 떨어져 있는 것 같았고, 그런 소외감은 서울을 떠날 때까지 곳곳에서 자신을 괴롭혀 왔었다.≪한수산, 부초≫
66. 속도감 (速度感) [속또감]
한자: 速(빠를 속), 度(법도 도(:)), 感(느낄 감:)
물체가 나아가거나 일이 진행되는 빠르기의 느낌.
용례:
- 일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다.
- 배가 느리게 가서 속도감을 느낄 수 없었다.
- 새벽차들은 그 텅 빈 공간에 유독 어둠 속을 달리는 속도감이 커서 좋았다.≪이청준, 살아 있는 늪≫
67. 수치감 (羞恥感) [수치감]
한자: 羞(부끄러울 수), 恥(부끄러울 치), 感(느낄 감:)
수치를 당한 느낌.
용례:
- 수치감에 얼굴을 붉히다.
- 수치감을 느끼다.
- 계속 곪고 터지고 고장을 내는 자신의 몸에 참을 수 없는 수치감마저 일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 그는 번번이 불쾌한 수치감을 맛보아야 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68. 승리감 (勝利感) [승니감]
한자: 勝(이길 승), 利(이할 리:), 感(느낄 감:)
겨루어서 이기는 데서 오는 우월한 느낌이나 기쁨.
용례:
- 승리감에 도취되다.
- 승리감을 느끼다.
- 승리감을 만끽하다.
- 선수들은 승리감에 젖어 그동안의 고생도 잊어버렸다.
69. 승차감 (乘車感) [승차감]
한자: 乘(탈 승), 車(수레 차), 感(느낄 감:)
달리는 차 안에 앉아 있는 사람이 차체의 흔들림에 따라 몸으로 느끼게 되는 안락한 느낌.
용례:
- 승차감이 좋다.
- 승차감이 뛰어나다.
- 새로 개발된 신형 차는 승차감이 우수하다.
70. 식감 (食感) [식깜]
한자: 食(밥/먹을 식), 感(느낄 감:)
음식을 먹거나 씹을 때 입안에서 느껴지는 느낌.
용례:
- 쫄깃한 식감.
- 식감이 뛰어나다.
- 난 가지의 물컹한 식감이 싫어 잘 먹지 않는다.
71. 신뢰감 (信賴感) [실ː뢰감]
한자: 信(믿을 신:), 賴(의뢰할 뢰:), 感(느낄 감:)
굳게 믿고 의지하는 마음.
용례:
- 신뢰감을 느끼다.
- 신뢰감을 주다.
- 그는 순박하고 성실해서 모든 사람에게 신뢰감을 주고 있다.
- 아, 백범! 김범우는 그 옛날부터 지녀 왔던 그분에 대한 신뢰감 위에 감동의 전율이 흐르는 것을 느꼈다.≪조정래, 태백산맥≫
72. 실망감 (失望感) [실망감]
한자: 失(잃을 실), 望(바랄 망:), 感(느낄 감:)
희망이나 명망을 잃은 느낌.
용례:
- 그 막연한 기대는 일순간에 실망감으로 변하고 말았다.
- 그에 대한 존경과 기대의 일각이 무너지고 있는 것 같은 실망감을 감출 수 없게 되었다.≪유현종, 들불≫
73. 악감 (惡感) [악깜]
한자: 惡(악할 악), 感(느낄 감:)
남에게 품는 나쁜 감정.
용례:
- 악감을 품다.
- 악감을 가지다.
- 남에게 악감을 사지 않게 행동하다.
74. 안도감 (安堵感) [안도감]
한자: 安(편안 안), 堵(담 도), 感(느낄 감:)
안심이 되는 마음.
용례:
- 안도감을 느끼다.
- 안도감이 들다.
- 순천에서 빠져나온 그들은 살았구나 싶은 안도감에 전신이 무겁게 가라앉기 시작했다.≪문순태, 피아골≫
75. 안정감 (安靜感) [안정감]
한자: 安(편안 안), 靜(고요할 정), 感(느낄 감:)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편안하고 고요한 느낌.
용례:
- 안정감을 되찾다.
- 명빈은 누이의 얼굴을 찬찬히 바라보다가 눈길을 돌린다. 그러고 나서 다시 안정감을 잃은 사람처럼 엉성한 고수머리를 쓸어 넘기고 눈을 깜박거린다.≪박경리, 토지≫
76. 안정감 (安定感) [안정감]
한자: 安(편안 안), 定(정할 정:), 感(느낄 감:)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 느낌.
용례:
- 안정감을 주다.
- 흰색과 연한 하늘색 페인트가 칠해진 벽과 기둥이 안정감을 느끼게 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77. 압박감 (壓迫感) [압빡깜]
한자: 壓(누를 압), 迫(핍박할 박), 感(느낄 감:)
내리눌리는 느낌.
용례:
- 심리적 압박감에 시달리다.
- 빨리 끝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일이 더 안된다.
- 순간 배달수는 그녀가 자신의 구린 양심을 꿰뚫어 보기라도 하는 것 같아 목을 조이는 듯한 압박감을 느꼈다.≪문순태, 피아골≫
- 긴 말을 하는 사이에 나는 뒤통수 부근에서 붕대로 칭칭 감아 오는 압박감을 느끼고는 깜짝 놀랐다.≪윤흥길, 직선과 곡선≫
78. 어감 (語感) [어ː감]
한자: 語(말씀 어:), 感(느낄 감:)
말소리나 말투의 차이에 따른 느낌과 맛.
용례:
- 어감이 좋다.
- 어감이 나쁘다.
- 이 두 단어의 의미는 비슷하나 어감은 아주 다르다.
- 키 작은 사내가 마침내 말했다. 그 어감에는 이제야 한시름 놓았다는 안도감이 묻어났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79. 연대감 (連帶感) [연대감]
한자: 連(이을 련), 帶(띠 대(:)), 感(느낄 감:)
한 덩어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는 마음.
용례:
- 연대감을 느끼다.
- 사대부 집안이라는 연대감에서도 물론 그러했지만 오랜 세월 돈독하게 지내 온 양가의 내력을 보아서도 하인과의 혼인은 용납될 수 없는 수치요, 오욕이었던 것이다.≪박경리, 토지≫
80. 열등감 (劣等感) [열뜽감]
한자: 劣(못할 렬), 等(무리 등:), 感(느낄 감:)
자기를 남보다 못하거나 무가치한 인간으로 낮추어 평가하는 감정.
용례:
- 열등감에 빠지다.
- 열등감에 사로잡히다.
- 열등감에 시달리다.
- 열등감을 갖다.
- 열등감을 극복하다.
- 열등감을 느끼다.
- 그 여자는 자기 얼굴에 열등감을 갖고 있다.
81. 영감 (靈感) [영감]
한자: 靈(신령 령), 感(느낄 감:)
「1」신령스러운 예감이나 느낌.
「2」창조적인 일의 계기가 되는 기발한 착상이나 자극.
용례:
- 「1」영감이 들다.
- 「2」영감에 의해 쓰인 작품.
- 「2」영감에 사로잡히다.
- 「2」영감을 얻다.
- 「2」영감이 떠오르다.
82. 예감 (豫感) [예ː감]
한자: 豫(미리 예:), 感(느낄 감:)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암시적으로 또는 본능적으로 미리 느낌.
용례:
- 불길한 예감.
- 예감이 들다.
- 예감이 좋다.
- 신기할 정도로 어머니의 예감이 적중했다.
- 맑은 공기를 마시면서 건강이 좋아질 것 같은 예감이 들었어요.≪윤흥길, 묵시의 바다≫
83. 오감 (五感) [오ː감]
한자: 五(다섯 오:), 感(느낄 감:)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
용례:
- 그는 유난히 오감이 발달한 사람이다.
- 배들이 모두 그에게 넘어온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한 뒤부터 그의 오감은 전에 없이 민감해져 있었다.≪한승원, 해일≫
84. 우월감 (優越感) [우월감]
한자: 優(넉넉할 우), 越(넘을 월), 感(느낄 감:)
남보다 낫다고 여기는 생각이나 느낌.
용례:
- 문화적 우월감.
- 우월감을 가지다.
- 우월감에 젖다.
- 우월감을 느끼다.
- 우월감이 강하다.
- 우월감에 빠지다.
- 그는 승리자로서의 우월감에 차 있다.
- 자기가 누구보다도 먼저 그곳을 알았다는 걸로 그는 돌연 우월감을 느꼈다.≪박완서, 미망≫
85. 원근감 (遠近感) [원ː근감]
한자: 遠(멀 원:), 近(가까울 근:), 感(느낄 감:)
멀고 가까운 거리에 대한 느낌. 미술에서는 색채, 명암, 선 따위를 이용하여 원경, 중경, 근경의 느낌을 나타낸다.
86. 위기감 (危機感) [위기감]
한자: 危(위태할 위), 機(틀 기), 感(느낄 감:)
「1」위기에 처해 있거나 위기가 닥쳐오고 있다는 불안한 느낌.
「2」인간 본래의 가치, 질서를 잃는 데서 느끼는 불안과 절망 의식.
용례:
- 「1」위기감을 부추기다.
- 「1」위기감이 고조되다.
- 「1」국경 문제를 놓고 두 나라에 일촉즉발의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 「1」어느 순간에 농민군 전체가 흙담 무너지듯이 무너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꼈다.≪송기숙, 녹두 장군≫
87. 위압감 (威壓感) [위압깜]
한자: 威(위엄 위), 壓(누를 압), 感(느낄 감:)
위엄이나 위력 따위로 압박당하거나 정신적으로 억눌리는 느낌.
용례:
강경한 어조를 띤 그의 말은 상대편에게 위압감을 준다.
88. 위화감 (違和感) [위화감]
한자: 違(어긋날 위), 和(화할 화), 感(느낄 감:)
조화되지 아니하는 어설픈 느낌.
용례:
- 위화감이 들다.
- 위화감을 주다.
- 국민 사이에 위화감을 일으키는 행동을 자제하여야 한다.
- 사회 계층 간에 위화감을 조성하는 호화 주택이나 과소비를 규제하기로 했다.
- 몸 전체로 강하게 풍기는 직업적인 피곤과 새로 바른 진하고 싱싱한 루주와의 위화감은 아직도 그녀를 종잡을 수 없게 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89. 유감 (有感) [유ː감]
한자: 有(있을 유:), 感(느낄 감:)
느끼는 바가 있음.
용례:
- 이 작품에 대한 너의 유감을 듣고 싶어.
- 풀빛이 진해진 이파리들을 보니 봄날 유감이 더욱 새롭다.
90. 유대감 (紐帶感) [유대감]
한자: 紐(맺을 뉴), 帶(띠 대(:)), 感(느낄 감:)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공통된 느낌.
용례:
친족 간의 끈끈한 유대감과 과보호가 점차 나를 옥죄는 것 같아 그게 참을 수 없이 짜증스러웠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感 느낄 감: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感 느낄 감: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