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帶 띠 대: - 1

1. 가격대 (價格帶) [가격때]

한자: 價(값 가), 格(격식 격), 帶(띠 대(:))

어떤 물건의 가장 싼 값과 가장 비싼 값 사이의 범위.

용례:

  • 원하시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인지요?
  • 이렇게 좋은 물건들을 이만한 가격대로 사기는 어렵다.
  • 봄나들이 용품이 지난해와 거의 비슷한 가격대를 보이고 있다.

2. 가성대 (假聲帶) [가:성대]

한자: 假(거짓 가:), 聲(소리 성), 帶(띠 대(:))

‘거짓 성대’(성대 위쪽에 있는 점막 주름. 소리를 내는 것과 관계가 없으며, 해부학에서는 안뜰주름이라고 한다.)의 전 용어.

3. 각대 (角帶) [각때]

한자: 角(뿔 각), 帶(띠 대(:))

예전에, 벼슬아치가 예복에 두르는 띠를 통틀어 이르던 말.

용례:

전국의 백일장을 한자리에 합쳐, 과거 비슷하게 사모 각대 삼현 육각까지 곁들여 꾸며진 이날의 백일장을….≪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4. 개활지대 (開豁地帶) [개활지대]

한자: 開(열 개), 豁(넓을 활), 地(따 지), 帶(띠 대(:))

앞이 막히지 않고 탁 트여 시원하게 열려 있는 지대.

용례:

새로운 무기가 개활지대에서 그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5. 거짓성대 (거짓聲帶) [거:짇썽대]

한자: 聲(소리 성), 帶(띠 대(:))

성대 위쪽에 있는 점막 주름. 소리를 내는 것과 관계가 없으며, 해부학에서는 안뜰주름이라고 한다.

6. 고원지대 (高原地帶) [고원지대]

한자: 高(높을 고), 原(언덕 원), 地(따 지), 帶(띠 대(:))

고원을 이루고 있는 지대.

용례:

  • 고원 지대에서는 양과 염소의 목축이 행하여진다.
  • 중부 월남에서는 주로 고원 지대에 양귀비밭이 끝없이 펼쳐져 있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7. 고지대 (高地帶) [고지대]

한자: 高(높을 고), 地(따 지), 帶(띠 대(:))

높은 지대.

용례:

  • 강원도의 고지대에서는 고랭지 농업이 한창이다.
  • 가뭄으로 수돗물의 공급이 부족해서 대도시의 고지대에 사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8. 곡창지대 (穀倉地帶) [곡창지대]

한자: 穀(곡식 곡), 倉(곳집 창(:)), 地(따 지), 帶(띠 대(:))

쌀 따위의 곡식이 많이 나는 지대.

용례:

넓고 넓은 전라도 곡창 지대에는 수군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일제히 모들을 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9. 공감대 (共感帶) [공:감대]

한자: 共(한가지 공:), 感(느낄 감:), 帶(띠 대(:))

서로 공감하는 부분.

용례:

  • 공감대를 넓히다.
  • 공감대를 이루다.
  • 국민들 사이에 입시 교육보다는 인성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될 때 교육은 제 방향을 찾을 것이다.

10. 공업지대 (工業地帶) [공업찌대]

한자: 工(장인 공), 業(업 업), 地(따 지), 帶(띠 대(:))

한 나라나 한 지방에서, 공업이 집중적으로 발달한 지대.

용례:

  • 내륙 공업 지대.
  • 해안선을 따라 새로운 공업 지대가 형성되었다.
  • 소련군들이 이북의 공업 지대에서 기계란 기계를 거의 모조리 뜯어 가고 있는 것을 어떻게 해석하면 좋지?≪선우휘, 사도행전≫

11. 관대 (冠帶) [관대]

한자: 冠(갓 관), 帶(띠 대(:))

‘관디’(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지금은 전통 혼례 때에 신랑이 입는다.)의 원말.

용례:

영의정 대감의 몸은 호리호리하고 가냘프다. 관대를 입었는데 몸은 옷을 이기지 못하여 금방 곧 쓰러질 듯하다.≪박종화, 임진왜란≫

12. 교대 (絞帶) [교대]

한자: 絞(목맬 교), 帶(띠 대(:))

「1」상복에 매는 삼베 띠.
「2」염(殮)할 때, 수의에 매는 오색실로 만든 띠.

용례:

「2」그 옆에서는 염하는 사람들이 말없이, 시신을 동여 묶을 교대의 한쪽 끝을 세 갈래로 찢는다.≪최명희, 혼불≫

13. 구름대 (구름帶) [구름대]

한자: 帶(띠 대(:))

구름이 분포되어 있는 범위.

용례:

구름대가 북상하면서 중부 지역에 내리던 비가 잦아들었다.

14. 구릉지대 (丘陵地帶) [구릉지대]

한자: 丘(언덕 구), 陵(언덕 릉), 地(따 지), 帶(띠 대(:))

해발 고도 200~600미터의 완만한 기복을 이루고 있는 지형. 평지와 산지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다.

용례:

내 목소리는 곳곳에 구릉 지대를 이루고 겹쳐 있는 모래 언덕에 스며 되돌아오지 않는다.≪오정희, 불의 강≫

15. 구명대 (救命帶) [구:명대]

한자: 救(구원할 구:), 命(목숨 명:), 帶(띠 대(:))

구명구의 하나. 물에 빠져도 몸을 물 위에 떠 있게 하며, 조끼처럼 입는 구명조끼나, 허리에 두르는 구명띠 따위가 있다.

용례:

배는 그냥 뒤집히고 말았다. 망망대해였다. 구명대 하나에 대여섯 명의 선원들이 매달렸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16. 기후대 (氣候帶) [기후대]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帶(띠 대(:))

공통적인 기후 특성에 따라 구분한 지대. 일반적으로 기온에 따라 크게 열대, 온대, 한대로 나누며 대체로 위도에 평행하게 나타난다.

17. 냉대 (冷帶) [냉:대]

한자: 冷(찰 랭:), 帶(띠 대(:))

온대와 한대의 중간으로 위도 50~70도 사이에 있는 지역. 겨울은 길고 한랭하며 여름은 짧고 비교적 고온이다.

18. 녹지대 (綠地帶) [녹찌대]

한자: 綠(푸를 록), 地(따 지), 帶(띠 대(:))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의 안이나 그 주변에 일부러 조성한 녹지.

용례:

이 지역은 도시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녹지대가 많은 편이다.

19. 늪지대 (늪地帶) [늡찌대]

한자: 地(따 지), 帶(띠 대(:))

늪이 많은 지대.

용례:

  • 방죽 앞쪽은 수로가 없어 사철 더러운 물이 괴어 있는 늪지대로, 물골풀, 보풀 따위의 허옇게 마른 수초가 허리를 꺾은 채 바람에 울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이 지역에는 무수한 늪지대와 크고 작은 하천들이 산재하여 한번 빠지면 누구나 좀처럼 헤어날 길이 없었다.≪김인배, 방울뱀≫

20. 다세대 (多世帶) [다세대]

한자: 多(많을 다), 世(인간 세:), 帶(띠 대(:))

여러 세대.

용례:

이 집은 단독 주택이지만 층마다 분리되어 다세대가 세 들어 산다.

21. 무풍지대 (無風地帶) [무풍지대]

한자: 無(없을 무), 風(바람 풍), 地(따 지), 帶(띠 대(:))

「1」바람이 불지 아니하는 지역.
「2」다른 곳의 재난이나 번거로움이 미치지 아니하는 평화롭고 안전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당시의 살벌한 만주에서 다만 하늘의 가호라고밖에는 설명할 수밖에 없을 만큼 척가장 주변은 무풍지대로 남아 있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2」딴 마을들이 발칵 뒤집혀질 때도 홍싯골만은 무풍지대처럼 아무 일도 없었다.≪하근찬, 야호≫

22. 백주말대 (白紬抹帶) [백쭈말때]

한자: 白(흰 백), 紬(명주 주), 抹(지울 말), 帶(띠 대(:))

조선 시대에, 악공이나 공인(工人)이 띠던 흰 명주로 만든 띠.

용례:

백주말대를 두르다.

23. 보호대 (保護帶) [보:호대]

한자: 保(지킬 보(:)), 護(도울 호:), 帶(띠 대(:))

다치지 않기 위해 특정 신체 부위에 대거나 두르는 도구.

용례:

  • 무릎 보호대.
  • 보호대를 착용하다.
  • 동생은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졌지만 보호대를 하고 있어서 크게 다치지 않았다.

24. 복대 (腹帶) [복때]

한자: 腹(배 복), 帶(띠 대(:))

태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임부의 배에 감는 띠.

용례:

복대를 두르다.

25. 부대 (附帶) [부:대]

한자: 附(붙을 부(:)), 帶(띠 대(:))

기본이 되는 것에 곁달아 덧붙임.

용례:

  • 부대 비용.
  • 부대 행사.

26. 분리대 (分離帶) [불리대]

한자: 分(나눌 분(:)), 離(떠날 리:), 帶(띠 대(:))

차도를 진행 방향, 속도 따위에 따라 분리하기 위하여 그 경계선에 설치해 놓은 띠 모양의 장치.

27. 불모지대 (不毛地帶) [불모지대]

한자: 不(아닐 불), 毛(터럭 모), 地(따 지), 帶(띠 대(:))

「1」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지역.
「2」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지역. 또는 그런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비행기가 불시착한 데는 불모지대나 다름없는, 황량하기 짝이 없는 곳이었다.
  • 「2」여성 교육의 불모지대인 이 땅에 단신 건너와 그 굳은 땅에 첫 삽을 꽂고 첫 씨를 뿌렸다는….≪박완서, 도시의 흉년≫

28. 붕대 (繃帶) [붕대]

한자: 繃(묶을 붕), 帶(띠 대(:))

상처나 부스럼 따위에 감는 소독한 헝겊. 신축성 있고 바람이 잘 통하는 면포, 거즈 따위로 만든다.

용례:

  • 붕대를 감다.
  • 붕대를 풀다.
  • 붕대도 풀어지고 상처와 부증이 가신 명철의 얼굴은 단정했다.≪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29. 비무장지대 (非武裝地帶) [비:무장지대]

한자: 非(아닐 비(:)), 武(호반 무:), 裝(꾸밀 장), 地(따 지), 帶(띠 대(:))

「1」군사 시설이나 인원을 배치해 놓지 않은 곳을 통틀어 이르는 말.
「2」교전국 쌍방이 협정에 따라 군사 시설이나 인원을 배치하지 않은 지대. 충돌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30. 사각지대 (死角地帶) [사:각찌대]

한자: 死(죽을 사:), 角(뿔 각), 地(따 지), 帶(띠 대(:))

「1」어느 위치에 섬으로써 사물이 눈으로 보이지 아니하게 되는 각도. 또는 어느 위치에서 거울이 사물을 비출 수 없는 각도.
「2」관심이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구역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무기의 사정거리 또는 레이다 및 관측자의 관측 범위 안에 있으면서도 지형 따위의 장애로 인하여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는 구역.
「4」축구 따위에서, 선수의 위치상 슈팅을 하기 어려운 각도.
「5」무선 송신기로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안에 있으면서도 신호를 받을 수 없는 구역.

용례:

  • 「1」운전을 할 때는 사각지대에 늘 신경을 써야 한다.
  • 「2」경찰 수사의 사각지대.
  • 「2」문명의 사각지대.
  • 「3」사면이 완전히 포위되자 사각지대로 치고 있던 그곳도 기관총의 사정거리 안에 들게 되었다.

31. 사모관대 (紗帽冠帶) [사:모관대]

한자: 紗(비단 사), 帽(모자 모), 冠(갓 관), 帶(띠 대(:))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한다.

용례:

사모관대로 차린 신랑이 두 손으로 목안을 들고 차일 밑의 초례상 앞으로 나와 서자….≪하근찬, 야호≫

32. 산림지대 (山林地帶) [살림지대]

한자: 山(메 산), 林(수풀 림), 地(따 지), 帶(띠 대(:))

공통의 산림 분포 특성에 따라 지구를 구분한 지대. 주로 열대림, 아열대림, 난대림, 온대림, 아한대림으로 나눈다.

33. 산하금대 (山河襟帶) [산하금대]

한자: 山(메 산), 河(물 하), 襟(옷깃 금:), 帶(띠 대(:))

산이 옷깃처럼 둘러 솟아 있고 강이 띠처럼 감돌아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요충지를 이르는 말.

용례:

산하금대의 지세.

34. 삼각지대 (三角地帶) [삼각찌대]

한자: 三(석 삼), 角(뿔 각), 地(따 지), 帶(띠 대(:))

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어귀에, 강물이 운반하여 온 모래나 흙이 쌓여 이루어진 편평한 지형.

35. 삼림지대 (森林地帶) [삼님지대]

한자: 森(수풀 삼), 林(수풀 림), 地(따 지), 帶(띠 대(:))

삼림을 기후 조건의 변화에 따라 띠 모양으로 배열한 것. 온도 변화에 따른 삼림대에는 위도에 따른 수평적 삼림대와 해발 고도에 따른 수직적 삼림대가 있다.

36. 생리대 (生理帶) [생니대]

한자: 生(날 생), 理(다스릴 리:), 帶(띠 대(:))

월경을 할 때 분비되는 피를 흡수하여 밖으로 새지 아니하게 만든 것.

용례:

  • 일회용 생리대.
  • 패드형 생리대.
  • 생리대를 갈다.
  • 생리를 시작해 생리대를 착용했다.

37. 석고붕대 (石膏繃帶) [석꼬붕대]

한자: 石(돌 석), 膏(기름 고), 繃(묶을 붕), 帶(띠 대(:))

석고 가루를 굳혀서 단단하게 만든 붕대. 뼈, 관절의 병이나 인대의 손상, 골절, 관절염 따위에서 환부의 안정과 고정을 위하여 감는다.

38. 설소대 (舌素帶) [설쏘대]

한자: 舌(혀 설), 素(본디/흴[白] 소(:)), 帶(띠 대(:))

혀의 아랫바닥과 입의 점막을 잇는 띠 모양의 힘살.

39. 성감대 (性感帶) [성:감대]

한자: 性(성품 성:), 感(느낄 감:), 帶(띠 대(:))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성적 쾌감을 느끼는 신체의 부위.

용례:

성감대를 자극하다.

40. 성대 (聲帶) [성대]

한자: 聲(소리 성), 帶(띠 대(:))

후두(喉頭)의 중앙부에 있는 소리를 내는 기관. 앞 끝은 방패 연골의 내면에, 뒤 끝은 피열(披列) 연골에 부착한 탄력 있는 두 개의 인대로,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어 공기의 통로 폭을 조절하며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에 의하여 진동되어 소리가 난다.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帶 띠 대: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