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세대 (世帶) [세:대]
한자: 世(인간 세:), 帶(띠 대(:))
「1」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
「2」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을 세는 단위.
용례:
- 「1」야무네는 마을에서도 몇 안 남은 세대다.≪박경리, 토지≫
- 「1」전 세대가 모두 K 군 난민들인가요?≪홍성원, 육이오≫
- 「2」그 넓은 집에 한 세대만 산다.
- 「2」만 평이나 되는 농토를 세 세대가 짓는다는 것은 무리이다.
42. 소대 (素帶) [소:대]
한자: 素(본디/흴[白] 소(:)), 帶(띠 대(:))
「1」흰 띠.
「2」좌독기에 매달아서 늘인 흰 빛깔의 기드림.
용례:
「1」선수들은 머리에 소대를 하고 열심히 뛰었다.
43. 속대 (束帶) [속때]
한자: 束(묶을 속), 帶(띠 대(:))
관을 쓰고 띠를 맨다는 뜻으로, 예복을 입음을 이르는 말.
용례:
아니, 뭐요? 상감을 믿지 않는 것이 사실이라니, 그것이 지금 속대를 하고 있는 자의 입으로 할 수 있는 말이오, 엉?≪송기숙, 녹두 장군≫
44. 습지대 (濕地帶) [습찌대]
한자: 濕(젖을 습), 地(따 지), 帶(띠 대(:))
습한 지대.
용례:
습지대에서 자라는 식물.
45. 시간대 (時間帶) [시간대]
한자: 時(때 시), 間(사이 간(:)), 帶(띠 대(:))
하루 중 어느 시각에서 어느 시각까지의 일정한 시간.
용례:
- 출퇴근 시간대.
- 한 방송사가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저녁 시간대로 옮겼다.
- 한창 바쁜 시간대에 손님이 찾아왔다.
46. 식수대 (植樹帶) [식쑤대]
한자: 植(심을 식), 樹(나무 수), 帶(띠 대(:))
가로수를 심으려고 길거리나 광장 따위에 마련한 터전.
용례:
아파트 내에 식수대를 설치하여 정원을 꾸밀 것이다.
47. 아관박대 (峨冠博帶) [아관박때]
한자: 峨(산높을 아), 冠(갓 관), 博(넓을 박), 帶(띠 대(:))
높은 관과 넓은 띠라는 뜻으로, 사대부의 의관이나 차림을 이르는 말.
용례:
풍채가 헌앙하고 좋아서, 아관박대로 사람을 대하여 말할 때는 화한 기운이 자리에 가득했다.≪박종화, 임진왜란≫
48. 아열대 (亞熱帶) [아:열때]
한자: 亞(버금 아(:)), 熱(더울 열), 帶(띠 대(:))
열대와 온대의 중간 지대. 대체로 남북 위도 각각 20~30도 사이의 지대로 건조 지역이 많다.
49. 안대 (眼帶) [안:대]
한자: 眼(눈 안:), 帶(띠 대(:))
눈병이 났을 때 아픈 눈을 가리는 거즈 따위의 천 조각.
용례:
눈에 다래끼가 나서 안대를 했다.
50. 안전지대 (安全地帶) [안전지대]
한자: 安(편안 안), 全(온전 전), 地(따 지), 帶(띠 대(:))
「1」교통이 복잡한 곳이나 정류소 따위에서 사람이 안전하게 피해 있도록 안전표지나 공작물로 표시한 도로 위의 부분.
「2」어떤 재해에 대하여 위험이 없는 지대.
용례:
- 「1」길 위에 노란색으로 빗금이 그어진 부분은 안전지대다.
- 「1」안전지대를 무시하고 차를 운행하는 난폭 운전자들이 많다.
- 「2」지진으로부터의 안전지대.
- 「2」폭우로 마을이 물에 잠길 위험에 처하자 주민들은 안전지대로 대피하였다.
51. 압박붕대 (壓迫繃帶) [압빡뿡대]
한자: 壓(누를 압), 迫(핍박할 박), 繃(묶을 붕), 帶(띠 대(:))
심한 출혈이나 내장 탈출증, 내장 처짐 따위가 일어났을 때 이를 막기 위하여 몸의 한 부분을 내리누르는 붕대.
52. 연대 (連帶) [연대]
한자: 連(이을 련), 帶(띠 대(:))
「1」여럿이 함께 무슨 일을 하거나 함께 책임을 짐.
「2」한 덩어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
용례:
- 「1」연대 서명.
- 「1」이 사업은 관련 업체와 연대가 잘 이루어져야만 성공할 수 있다.
- 「2」사형수의 그를 대하는 눈길 속에는 피차에 같은 빨간 딱지임을 의식하는, 굳이 연대 의식이랄 것까지는 없겠으나 최소한의 친근감이랄까 하는 것이 스치고 있었던 것이었다.≪이호철, 문≫
53. 열대 (熱帶) [열때]
한자: 熱(더울 열), 帶(띠 대(:))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회귀선 사이에 있는 지대. 연평균 기온이 20℃ 이상 또는 최한월 평균 기온이 18℃ 이상인 지역으로, 연중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54. 옥대 (玉帶) [옥때]
한자: 玉(구슬 옥), 帶(띠 대(:))
임금이나 관리의 공복(公服)에 두르던 옥으로 장식한 띠.
용례:
왕은 화려한 무소뿔 옥대를 끄르고 곤룡포 익선관을 벗어 공주에게 넘긴다.≪박종화, 다정불심≫
55. 온대 (溫帶) [온대]
한자: 溫(따뜻할 온), 帶(띠 대(:))
열대와 한대 사이의 지역. 위도상으로는 남북 회귀선인 23.5도와 남북 극권 사이의 지역이며, 등온선에 의한 구분으로는 연평균 기온이 0~20℃ 또는 최한월(最寒月) 평균 기온이 영하 18~3℃의 지역이다.
56. 완충지대 (緩衝地帶) [완:충지대]
한자: 緩(느릴 완:), 衝(찌를 충), 地(따 지), 帶(띠 대(:))
대립하는 나라들 사이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한 중립 지대.
57. 요대 (腰帶) [요대]
한자: 腰(허리 요), 帶(띠 대(:))
바지 따위가 흘러내리지 아니하게 옷의 허리 부분에 둘러매는 띠.
용례:
허 상사가 드디어 땅에서 일어나 허리에서 요대를 끌러 손에 뚤뚤 말아 쥔다.≪홍성원, 육이오≫
58. 우범지대 (虞犯地帶) [우범지대]
한자: 虞(염려할/나라이름 우), 犯(범할 범:), 地(따 지), 帶(띠 대(:))
범죄가 자주 일어나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
용례:
군 기피자 색출과 우범 지대 정화를 위해서 한바탕 소탕 작전이 벌어지고 있는 모양이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59. 유대 (紐帶) [유대]
한자: 紐(맺을 뉴), 帶(띠 대(:))
끈과 띠라는 뜻으로, 둘 이상을 서로 연결하거나 결합하게 하는 것. 또는 그런 관계.
용례:
- 유대 의식.
- 유대가 돈독하다.
- 유대가 생기다.
- 동맹 단체와의 유대를 강화했다.
- 그 두 사람은 친형제 이상으로 유대가 깊다.
- 예전에는 국가와 종교계가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었다.
- 간도에 있을 때 혈육같이 짙고 강했던 동포들 사이의 유대를 지금 이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박경리, 토지≫
60. 의대 (衣帶) [의대]
한자: 衣(옷 의), 帶(띠 대(:))
옷과 띠라는 뜻으로, 갖추어 입는 옷차림을 이르는 말.
용례:
의대를 갖추다.
61. 인대 (靭帶) [인대]
한자: 靭(질길 인), 帶(띠 대(:))
관절의 뼈 사이와 관절 주위에 있는, 노끈이나 띠 모양의 결합 조직. 관절을 보강하고 관절의 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용례:
- 인대가 늘어나다.
- 인대가 끊어지다.
62. 일대 (一帶) [일때]
한자: 一(한 일), 帶(띠 대(:))
일정한 범위의 어느 지역 전부.
용례:
- 남부 지방 일대에 가뭄이 극심하다.
- 명당을 얻기 위해 관음봉 일대에 묻힌 유골은 헤아려 낼 수도 없을 정도였다.≪이청준, 선학동 나그네≫
63. 저지대 (低地帶) [저:지대]
한자: 低(낮을 저:), 地(따 지), 帶(띠 대(:))
낮은 지대.
용례:
지난밤에 많은 비로 저지대 주택 10여 채가 물에 잠겼다.
64. 전대 (纏帶) [전:대]
한자: 纏(얽을 전), 帶(띠 대(:))
돈이나 물건을 넣어 허리에 매거나 어깨에 두르기 편하도록 만든 자루. 주로 무명이나 베로 폭이 좁고 길게 만드는데 양 끝은 트고 중간을 막는다.
용례:
- 전대를 허리춤에 차다.
- 전대를 풀다.
- 허리에 전대를 띠다.
- 을생은 치마 속의 전대 안에 깊이 찔렀던 돈을 꺼냈다.≪한수산, 유민≫
- 아무리 군대라 하더라도 돈은 있어야 한다고 허리춤에다 무거운 전대를 감아 주던 상매였다.≪유주현, 대한 제국≫
- 광목을 겹으로 접어 한쪽을 박음질하고, 양쪽 끝에 묶을 끈을 매다는 전대는 금방 만들어졌다.≪조정래, 태백산맥≫
- 오태수는 남은 지전들을 다시 전대에 넣어 허리에 감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65. 접경지대 (接境地帶) [접꼉지대]
한자: 接(이을 접), 境(지경 경), 地(따 지), 帶(띠 대(:))
경계선과 맞닿아 있는 지대.
용례:
- 수도산은 거창, 금릉의 접경지대에 있는 산이다.≪이병주, 지리산≫
- 이 고을은 삼국의 접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어서 늘 전란에 휩쓸렸을 뿐 아니라….≪유재용, 성역≫
66. 정조대 (貞操帶) [정조대]
한자: 貞(곧을 정), 操(잡을 조(:)), 帶(띠 대(:))
여자의 순결을 지키기 위하여 음부(陰部)에 채우는, 쇠로 만든 띠. 15세기부터 16세기 사이의 유럽에서 십자군의 기사가 그들의 아내에게 사용하였다.
용례:
돈은 수많은 여자들에게 부끄러움과 정조대를 팽개칠 것을 가르친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67. 주파수대 (周波數帶) [주파수대]
한자: 周(두루 주), 波(물결 파), 數(셈 수:), 帶(띠 대(:))
「1」음성 신호, 화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잡음파 따위에서 보통 에너지의 대부분이 집중되어 있는 주파수 범위.
「2」무선 주파수를 구분한 것.
68. 중앙분리대 (中央分離帶) [중앙불리대]
한자: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分(나눌 분(:)), 離(떠날 리:), 帶(띠 대(:))
4차선 이상의 도로 중앙에 설치한 지대. 왕복하는 차량의 정면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면보다 높게 만들어 나무를 심거나 시멘트로 장벽을 설치한다.
용례:
자동차가 중앙 분리대를 들이받고 멈춰 서는 바람에 반대편에서 주행하는 차와 충돌하는 대형 사고는 피할 수 있었다.
69. 지대 (地帶) [지대]
한자: 地(따 지), 帶(띠 대(:))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한정된 일정 구역.
용례:
- 평야 지대.
- 인근 공장 지대에서 많은 소음과 매연이 발생한다.
- 간밤에 많은 비가 내려 마을 사람들은 높은 지대로 대피했다.
- 이 마을은 지대가 낮아서 장마 때면 늘 침수가 된다.
- 산골짜기라지만 앞쪽에서 흐르는 강이 눈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지대였다.
70. 지뢰지대 (地雷地帶) [지뢰지대]
한자: 地(따 지), 雷(우레 뢰), 地(따 지), 帶(띠 대(:))
지뢰가 여기저기 많이 묻혀 있는 지역.
용례:
놈들은 이 근방 지리에 훤할뿐더러…지뢰 지대를 교묘히 빠지는 비밀 통로까지도 잘 알고 있다.≪홍성원, 기관차와 송아지≫
71. 지진대 (地震帶) [지진대]
한자: 地(따 지), 震(우레 진:), 帶(띠 대(:))
지진이 자주 일어나거나 일어나기 쉬운 지역. 가늘고 긴 띠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72. 지혈대 (止血帶) [지혈때]
한자: 止(그칠 지), 血(피 혈), 帶(띠 대(:))
나오는 피를 멎게 하는 데 쓰는 띠.
용례:
김 중사가 곧 지혈대를 가져와 출혈이 검게 내비치는 커다란 상처를 억센 힘으로 꽁꽁 동인다.≪홍성원, 육이오≫
73. 탄대 (彈帶) [탄:대]
한자: 彈(탄알 탄:), 帶(띠 대(:))
「1」탄창을 넣은 통을 끼워서 몸에 지니는 띠. 허리나 어깨에 두른다.
「2」탄알의 탄피 부분을 끼운 고리가 잇달린 물건. 총강(銃腔)의 선(線)과 맞물려서 탄알을 회전하게 한다.
용례:
- 「1」어깨에 탄대를 두르다.
- 「1」치수는 설피를 신고 탄대를 허리에 차고 총을 들고 앞서 걷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74. 평지대 (平地帶) [평지대]
한자: 平(평평할 평), 地(따 지), 帶(띠 대(:))
기복이 작고 표면이 평평한 너른 지대.
용례:
이 험준한 마지막 고개만 넘으면 드넓은 평지대가 펼쳐진다.
75. 평화지대 (平和地帶) [평화지대]
한자: 平(평평할 평), 和(화할 화), 地(따 지), 帶(띠 대(:))
전쟁과 위험이 없는, 평화가 보장된 지대.
용례:
비핵 지대와 평화 지대를 창설하기 위한 노력.
76. 품대 (品帶) [품:대]
한자: 品(물건 품:), 帶(띠 대(:))
벼슬아치가 공복(公服)에 갖추어 두르던 띠. 공복의 종류와 품계에 따라 달랐다.
용례:
사모를 쓰고 품대를 띤 사람은 모두 다 나라의 도둑이요 백성의 도둑이었다.≪박종화, 다정불심≫
77. 피대 (皮帶) [피대]
한자: 皮(가죽 피), 帶(띠 대(:))
두 개의 바퀴에 걸어 동력을 전하는 띠 모양의 물건.
용례:
모두의 뜻이 아니면 기계는 절대로 다시 돌아가지 않으리라 믿었다. 그런데 여전히 시끄러운 피대 소리를 내며 기계가 돌고 있었다.≪황석영, 야근≫
78. 혁대 (革帶) [혁때]
한자: 革(가죽 혁), 帶(띠 대(:))
가죽으로 만든 띠.
용례:
- 혁대를 끄르다.
- 그는 비상금을 혁대 속에 감춘다.
- 그는 집을 나서기 전에 혁대를 졸라매었다.
- 혁대를 채찍처럼 휘둘렀다.
- 오빠는 퉤퉤 침을 뱉으며 자꾸 흘러내리려는 허리를 혁대로 단단히 죄었다.≪오정희, 중국인 거리≫
79. 횡대 (橫帶) [횡대/휑대]
한자: 橫(가로 횡), 帶(띠 대(:))
「1」관을 묻은 뒤에 구덩이 위에 덮는 널조각.
「2」가로로 두르거나 뻗친 띠.
용례:
「1」하관 후에 횡대를 덮다.
80. 휴대 (携帶) [휴대]
한자: 携(이끌 휴), 帶(띠 대(:))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님.
용례:
- 이 우산은 접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 휴대 장비도 완벽하고 포대의 지원도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帶 띠 대: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