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1

1. 간이복 (簡易服) [가:니복]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易(쉬울 이:), 服(옷 복)

활동하기에 간편한 옷.

용례:

편하게 간이복으로 갈아입고 모여라.

2. 간호복 (看護服) [간호복]

한자: 看(볼 간), 護(도울 호:), 服(옷 복)

간호할 때 간호사들이 입는 옷.

용례:

간호복을 입다.

3. 감복 (感服) [감:복]

한자: 感(느낄 감:), 服(옷 복)

감동하여 충심으로 탄복함.

4. 개량복 (改良服) [개:량복]

한자: 改(고칠 개(:)), 良(어질 량), 服(옷 복)

재래의 모양을 새롭게 고쳐서 만든 옷.

용례:

예전에는 양복 같은 지지미 개량복을 많이 입었다.

5. 경기복 (競技服) [경:기복]

한자: 競(다툴 경:), 技(재주 기), 服(옷 복)

경기를 할 때 입는 옷.

용례:

이 테니스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는 하얀색 경기복만 입어야 한다.

6. 경찰복 (警察服) [경:찰복]

한자: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服(옷 복)

경찰이 입는 일정한 격식의 제복.

용례:

경찰복 차림의 경관 두 명이 도로에서 검문하고 있었다.

7. 공복 (公服) [공복]

한자: 公(공평할 공), 服(옷 복)

삼국 시대부터 관원(官員)이 평상시 조정(朝廷)에 나아갈 때 입던 제복. 신라 진덕 여왕 2년(648)부터 착용하기 시작하였는데,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곡령(曲領)에 소매가 넓은 옷을 입었으며, 손에는 홀(笏)을 들었다.

용례:

중화전에서 황후를 추봉하시고 황후를 진봉하실 때에 문무백관이 공복으로 입참한다더라.≪대한매일신보≫

8. 공장복 (工場服) [공장복]

한자: 工(장인 공), 場(마당 장), 服(옷 복)

공장에서 작업할 때 입는 작업복.

용례:

검퍼런 공장복에다 진흙빛 감발을 친 청인인지 조선 사람인지 일인인지 모를 눈에 서투른 사람이 바쁘게 쏘다닌다.≪한설야, 과도기≫

9. 관복 (官服) [관복]

한자: 官(벼슬 관), 服(옷 복)

「1」군(軍)이나 관(官)에서 지급한 제복(制服)이나 정복(正服).
「2」벼슬아치가 입던 정복(正服).
「3」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지금은 전통 혼례 때에 신랑이 입는다.

용례:

  • 「1」포교는 관복에서 풍기는 위풍 말고는 그렇게 고압적인 자세는 아니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 「1」당시 현장에 있던 경관들의 피복에까지 잉크가 튀어 경관의 관복을 더럽힌 것은 경관의 위신상 그대로 내버려둘 수 없다 하여….≪염상섭, 이심≫
  • 「2」벼슬자리가 생겼다는 얘기지요. 그러니 관복도 지어야 하고 인사도 다니려면….≪황석영, 장길산≫
  • 「3」관복을 입고 조석으로 임금님을 뵐 수 있는 신분이었겠지.≪박완서, 오만과 몽상≫
  • 「3」서일순이가 관복 입고 사모 쓰고 목화 신고 기러기를 안고 신붓집 안마당 행보석으로 걸어 들어가는데…. ≪이인직, 모란봉≫

10. 교복 (校服) [교:복]

한자: 校(학교 교:), 服(옷 복)

학교에서 학생들이 입도록 정한 제복.

용례:

  • 교복을 맞추다.
  • 교복을 물려 입다.
  • 방 안은 여학생이 쓰던 방인 듯 책꽂이와 함께 벽에 여학생의 교복까지 걸려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 패거리를 연상시키는 말투에다 아무리 고등학교 3학년이라고 하지만 복장들도 하나같이 교복 차림이 아니었다.≪이문열, 변경≫
  • 갑해는 농사꾼 되기는 아까운 놈이니깐 내가 공부를 시키겠다며 중학 학자금을 대 주고, 교과서는 물론 교복까지 맞춰 준 것이다.≪김원일, 불의 제전≫

11. 구군복 (具軍服) [구군복]

한자: 具(갖출 구(:)), 軍(군사 군), 服(옷 복)

조선 시대에, 무관이 군복을 갖추어 입던 일. 또는 그렇게 입은 군복. 주로 벙거지를 쓰고 동달이를 입은 장표(章標) 위에 전대띠를 눌러 띠고 목화(木靴)를 신고 동개를 메고 환도(環刀)를 차고 등채를 손에 들었다.

용례:

장관들의 일행이 말 타고 구군복을 입고 행렬을 지어 나온다.≪박종화, 임진왜란≫

12. 국민복 (國民服) [궁민복]

한자: 國(나라 국), 民(백성 민), 服(옷 복)

온 국민이 입도록 간편하고 검소하게 만든 옷.

용례:

관리들과 학교 교사까지 준군복(準軍服)인 카키빛 국민복으로 갈아입은 지도 오래이며….≪박경리, 토지≫

13. 군복 (軍服) [군복]

한자: 軍(군사 군), 服(옷 복)

군인의 제복.

용례:

  • 군복을 벗고 사복으로 갈아입다.
  • 카키색의 군복, 각반을 치고 전투모를 쓴 일본 병정들을 볼 수 있었다.≪박경리, 토지≫

14. 굴복 (屈服) [굴복]

한자: 屈(굽힐 굴), 服(옷 복)

힘이 모자라서 복종함.

용례:

옳지 못한 일을 하시거든 다만 굴복만 하지 말고 정당하게 마주 대들어서 싸웠다면….≪이기영, 고향≫

15. 굿복 (굿服) [굳뽁]

한자: 服(옷 복)

광부가 갱내에서 일할 때 입는 옷.

용례:

금구덩이에서는 인상과 덕대들의 감독 밑에서 굿복을 입은 금점꾼들이 개울 이편으로 양전옥답을 두더지처럼 파 올라갔다.≪이기영, 봄≫

16. 극복 (克服) [극뽁]

한자: 克(이길 극), 服(옷 복)

「1」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 냄.
「2」적을 이기어 굴복시킴.

용례:

  • 「1」가뭄 극복.
  • 「1」위기 극복.
  • 「1」불황 극복.
  • 「1」가난 극복을 위해 힘쓰다.
  • 「1」경제적인 낙후성 극복 방안을 마련하다.

17. 근무복 (勤務服) [근:무복]

한자: 勤(부지런할 근(:)), 務(힘쓸 무:), 服(옷 복)

근무할 때에 입는 옷.

용례:

  • 회사에 출근해서 근무복으로 갈아입고 일을 시작했다.
  • 흰 칼라가 달린 근무복을 입은 여자였다.≪황석영, 야근≫

18. 기복 (朞服) [기복]

한자: 朞(돌 기), 服(옷 복)

일 년 동안 입는 상복.

용례:

비록 소상이라 하더라도 여러 신하들이 만약 기복을 입고 있다면 한결같이 국휼 내상의 예에 의거해 시행토록 하라.≪번역 영조실록≫

19. 기성복 (旣成服) [기성복]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服(옷 복)

특정한 사람을 위해 맞춘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준 치수에 따라 미리 여러 벌을 지어 놓고 파는 옷.

용례:

양복을 맞추려면 보름 이상이 걸리지만 기성복은 바로 사서 입을 수 있다.

20. 길복 (吉服) [길복]

한자: 吉(길할 길), 服(옷 복)

「1」혼인 때 신랑 신부가 입는 옷.
「2」삼년상을 마친 뒤에 입는 보통 옷.

용례:

「2」단상제를 써서 스무닷새 만에 길복을 바꾸어 입어 조하(朝賀)를 받고 풍악을 아뢰게 하였다.≪박종화, 금삼의 피≫

21. 남복 (男服) [남복]

한자: 男(사내 남), 服(옷 복)

「1」남자들이 입는 옷.
「2」여자가 남자의 옷을 입음.

용례:

  • 「1」여자들도 모조리 남복으로 바꾸어 입고 군막 안으로 모여 명령을 대기하고 있으라!≪박종화, 임진왜란≫
  • 「2」부인은 외동자식이 딸 된 것이 원통하여 이따금 주만을 남복을 시켰다.≪현진건, 무영탑≫

22. 남성복 (男性服) [남성복]

한자: 男(사내 남), 性(성품 성:), 服(옷 복)

남성들이 입는 옷.

용례:

올가을 남성복은 별다른 유행을 타지 않고 있다.

23. 내복 (內服) [내:복]

한자: 內(안 내:), 服(옷 복)

「1」겉옷의 안쪽에 몸에 직접 닿게 입는 옷.
「2」팬티나 러닝셔츠, 브래지어 따위의 기본 속옷 위에 껴입는 방한용 옷. 신축성과 탄력성이 좋다.

용례:

  • 「1」겨울 내복.
  • 「1」내복을 입다.
  • 「1」그는 초인종이 울리자 내복 바람으로 현관문을 열어 주었다.
  • 「1」내복까지 껴입고도 춥다고 그러니?

24. 내복 (內服) [내:복]

한자: 內(안 내:), 服(옷 복)

약 따위를 먹음.

25. 노동복 (勞動服) [노동복]

한자: 勞(일할 로), 動(움직일 동:), 服(옷 복)

노동할 때에 입는 활동하기 편한 옷.

용례:

  • 출퇴근할 때는 평상복 차림이지만 근무할 때는 노동복을 입는다.
  • 농우회의 열두 회원들은 단체로 일을 할 때면 입는 푸른 노동복 저고리를 입고, 수건으로 머리를 질끈 동이고 모여 섰다.≪심훈, 상록수≫

26. 단문복 (袒免服) [단문복]

한자: 袒(옷벗어멜 단), 免(면할 면:), 服(옷 복)

단문으로 입는 옷.

용례:

어머니를 여읜 상주가 단문복을 입고 곡을 하고 있다.

27. 단복 (團服) [단복]

한자: 團(둥글 단), 服(옷 복)

‘단’(團)이라는 이름이 붙은 단체의 제복. 그 단체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모양과 색깔을 통일해서 입는다.

용례:

  • 합주단의 단복.
  • 우리 팀은 전국 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단복을 맞추었다.

28. 단체복 (團體服) [단체복]

한자: 團(둥글 단), 體(몸 체), 服(옷 복)

모양이 같게 일정한 격식에 맞추어 단체 성원이 입도록 만든 옷.

용례:

우리 반은 결속력을 다지기 위하여 단체복을 맞추어 입었다.

29. 도복 (道服) [도:복]

한자: 道(길 도:), 服(옷 복)

유도나 태권도 따위를 할 때 입는 운동복.

용례:

  • 태권도 도복.
  • 도복 한 벌.
  • 태권도 도장에는 꼬마들이 도복을 입고 구령에 맞춰 팔과 다리를 쭉쭉 뻗고 있다.

30. 동복 (冬服) [동:복]

한자: 冬(겨울 동(:)), 服(옷 복)

겨울철에 입는 옷.

용례:

  • 날씨가 쌀쌀해져 춘추복에서 동복으로 바꿔 입었다.
  • 그는 형편이 어려워 사시사철을 동복과 하복 두 벌만으로 살아간다.

31. 등산복 (登山服) [등산복]

한자: 登(오를 등), 山(메 산), 服(옷 복)

등산할 때에 입는 옷.

용례:

불암사 근처에서 왁자한 인기척이 들려왔다. 해 질 녘 안으로 웅포까지 들어갈 작정인 듯 한 떼의 등산복 차림을 한 젊은이들이 걸음을 서둘러 내려오고 있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32. 땀복 (땀服) [땀복]

한자: 服(옷 복)

일부러 땀을 내기 위하여 입는 옷.

용례:

다이어트를 위하여 땀복을 입고 운동을 하다.

33. 맞춤복 (맞춤服) [맏춤복]

한자: 服(옷 복)

몸에 맞추어 지은 옷.

용례:

  • 새로 산 옷이 맞춤복처럼 몸에 꼭 맞는다.
  • 초라한 방엔 얌전한 맞춤복 한 벌과 레이스가 많이 달린 드레스 두 벌, 모조 보석이 잔뜩 박힌 헌 샌들들이 보였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34. 무대복 (舞臺服) [무:대복]

한자: 舞(춤출 무:), 臺(대 대), 服(옷 복)

무대 위에서 공연할 때 입는 옷.

용례:

그 애는 자전거도 타고 줄도 타고 2부에는 연극에도 출연하는 만능 배우였다. 뻔쩍거리는 무대복을 입고 추운 가을인데도 종아리를 드러내 놓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35. 무복 (巫服) [무:복]

한자: 巫(무당 무:), 服(옷 복)

무당이 굿을 할 때 입는 옷.

용례:

  • 알록달록한 무복에 꿩 꽁지깃을 길쭉하게 꽂은 모자를 쓰고 양손에는 방울과 북채를 잡은 진령군이 미친 듯이 몸을 놀리며….≪송기숙, 녹두 장군≫
  • 조상거리가 끝나자 주무는 명숙을 일으켜 세우고 무복을 입히기 시작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36. 무용복 (舞踊服) [무:용복]

한자: 舞(춤출 무:), 踊(뛸 용:), 服(옷 복)

무용할 때 입는 옷.

용례:

무용수는 무용복으로 갈아입고 무대 위로 올라갔다.

37. 미복 (微服) [미복]

한자: 微(작을 미), 服(옷 복)

지위가 높은 사람이 무엇을 몰래 살피러 다닐 때에 남의 눈을 피하려고 입는 남루한 옷차림.

용례:

  • 상감도 백성의 사정을 바로 알고자 미복으로 야밤에 잠행하는 일이 허다하거늘….≪송기숙, 녹두 장군≫
  • 갖바치가 조정의 재상을 찾아갈 수는 꿈에도 없는지라 늘 조대헌이 밤이면 미복을 하고 갖바치를 찾아가서 오래도록 마주 앉아 이야기하다 가곤 하였다 한다.≪최명희, 혼불≫

38. 민간복 (民間服) [민간복]

한자: 民(백성 민), 間(사이 간(:)), 服(옷 복)

민간인들이 입는 옷.

용례:

그들은 조직적인 전투 중에 잡힌 것이 아니라 거개가 민간복으로 갈아입고 도망을 치다가 투항해 온 자들이었다.≪홍성원, 육이오≫

39. 방복 (尨服) [방복]

한자: 尨(삽살개 방), 服(옷 복)

「1」물감으로 물을 들인 옷.
「2」여러 가지 색이 섞인 옷.

용례:

「2」방복에 반팔 배자를 껴입은 맨상투 바람의 사내 하나가 덩실거리고 있었다.≪김주영, 객주≫

40. 방열복 (防熱服) [방열복]

한자: 防(막을 방), 熱(더울 열), 服(옷 복)

뜨거운 열이나 불길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입는 옷.

용례:

방열복을 입은 소방관들이 화재 현장에 투입되었다.

41. 방진복 (防塵服) [방진복]

한자: 防(막을 방), 塵(티끌 진), 服(옷 복)

먼지를 막기 위한 작업복.

42. 방탄복 (防彈服) [방탄복]

한자: 防(막을 방), 彈(탄알 탄:), 服(옷 복)

날아오는 탄알을 막기 위하여 입는 옷.

용례:

  • 적의 저격에 대비하여 방탄복을 입었다.
  • 방탄복을 입고 있어 다행히 목숨은 구했다.
  • 방탄복과 철모를 착용하고 자동 소총을 든 중무장이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43. 방한복 (防寒服) [방한복]

한자: 防(막을 방), 寒(찰 한), 服(옷 복)

추위를 막기 위하여 입는 옷.

용례:

  • 방한복 차림으로 산에 올랐다.
  • 방한복으로 덕지덕지 껴입기는 했지만 그 행색이 모두 남루했고, 추위 탓인지 몸을 옹송그린 채….≪김원일, 불의 제전≫

44. 방호복 (防護服) [방호복]

한자: 防(막을 방), 護(도울 호:), 服(옷 복)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이 몸이나 옷이 방사선에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덧입는 특수 의복.

45. 방화복 (防火服) [방화복]

한자: 防(막을 방), 火(불 화(:)), 服(옷 복)

불길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입는 옷.

용례:

방화복을 입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