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2

46. 법복 (法服) [법뽁]

한자: 法(법 법), 服(옷 복)

「1」법관이 법정에서 입는 옷.
「2」승려가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

용례:

  • 「1」법복을 입은 검사.
  • 「2」잿빛 법복을 입은 승려.
  • 「2」사찰 체험은 법복으로 갈아입는 것부터 시작된다.

47. 변복 (變服) [변:복]

한자: 變(변할 변:), 服(옷 복)

남이 알아보지 못하도록 평소와 다르게 옷을 차려입음. 또는 그런 옷차림.

용례:

  • 남의 눈을 피해 변복 차림을 하다.
  • 왜적들은 김덕령의 허실을 알아보려 하여 변복을 하고 군중 틈에 섞여서 김덕령의 무예를 바라보자 혀를 둘러 흔들고 달아나 버린다.≪박종화, 임진왜란≫
  • 아무리 변복을 했더라도 자네 외양을 보니 입산 생활을 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군.≪김원일, 불의 제전≫

48. 보호복 (保護服) [보:호복]

한자: 保(지킬 보(:)), 護(도울 호:), 服(옷 복)

추위나 더위, 감염, 상해 따위의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려고 입는 옷.

용례:

  • 화재 현장에서 주로 입는 보호복은 불에 타지 않는 특수 섬유를 사용한다.
  • 의료진은 환자의 체액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복을 착용한다.

49. 부인복 (婦人服) [부인복]

한자: 婦(며느리 부), 人(사람 인), 服(옷 복)

부인들이 입는 옷.

50. 불복 (不服) [불복]

한자: 不(아닐 불), 服(옷 복)

남의 명령·결정 따위에 대하여 복종·항복·복죄(服罪) 따위를 하지 아니함.

용례:

  • 남편의 그러한 심적 갈등은…절대 군주적인 독점욕과 한 오라기의 불복도 용납하지 않으려 드는 본래 성품 탓인 것을 알게 되었다.≪박경리, 토지≫
  • 채희가 반문하긴 했으나 채희 얼굴에 불복의 기색이 없는 것을 문오는 엿보았다.≪최정희, 인간사≫

51. 비행복 (飛行服) [비행복]

한자: 飛(날 비), 行(다닐 행(:)), 服(옷 복)

비행하기에 알맞도록 특별히 입는 옷.

용례:

  • 비행복을 입다.
  • 방한과 방습을 겸해 만든 비행복은 눈 위를 뒹굴어도 한기가 몸에 스미지 않았다.

52. 사복 (私服) [사복]

한자: 私(사사(私事) 사), 服(옷 복)

「1」관복이나 제복이 아닌 사사로이 입는 옷.
「2」범죄 수사나 잠복, 미행 따위를 할 때 신분을 숨기기 위하여 사복을 입고 근무하는 경찰관.

용례:

  • 「1」사복 경찰.
  • 「1」사복 차림.
  • 「1」사복 근무.
  • 「1」김범우는 호통치듯 하며 사복 입은 사내를 손가락으로 겨냥했다.≪조정래, 태백산맥≫
  • 「2」누가 꼬드겼는지 세 명의 사복이 벼락같이 미닫이를 열어젖히고 방 안으로 달려들었던 것이다.≪박태원, 속천변 풍경≫

53. 상복 (喪服) [상복]

한자: 喪(잃을 상(:)), 服(옷 복)

상중에 있는 상제나 복인이 입는 예복. 삼베로 만드는데, 바느질을 곱게 하지 않는다.

용례:

  • 상복을 입다.
  • 상복을 벗다.
  • 남현이 서문 밖 집에 갔을 때 상복에 굴건을 쓰고 상장을 짚고 서서 병수는 곡을 하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54. 설복 (說服) [설복]

한자: 說(말씀 설), 服(옷 복)

알아듣도록 말하여 수긍하게 함.

용례:

나는 그의 유창한 언변에 설복을 당하지 않을 수 없었다.

55. 성복 (成服) [성복]

한자: 成(이룰 성), 服(옷 복)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음. 보통 초상난 지 나흘 되는 날부터 입는다.

용례:

장군의 울음소리는 바닷바람 펄럭거리는 뱃전에 처량하게 떠돌아 사람들의 눈물을 자아낸다. 입관도 끝내고 성복도 마쳐졌다.≪박종화, 임진왜란≫

56. 소독복 (消毒服) [소독뽁]

한자: 消(사라질 소), 毒(독 독), 服(옷 복)

위생을 지키기 위하여 입는 흰색의 덧옷. 흔히 의사나 간호사 등의 병독에 감염되기 쉬운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입는다.

용례:

하얀 소독복을 입고 매우 긴장한 빛을 띠면서, 수술할 준비를 하고 난 의사와 간호부가….≪심훈, 상록수≫

57. 소방복 (消防服) [소방복]

한자: 消(사라질 소), 防(막을 방), 服(옷 복)

불을 끌 때 소방관이 착용하는 복장. 소방 제복, 소방모, 소방화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긴급 출동 시 소방관들은 최단 시간 내에 소방복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58. 소복 (素服) [소:복]

한자: 素(본디/흴[白] 소(:)), 服(옷 복)

하얗게 차려입은 옷. 흔히 상복으로 입는다.

용례:

  • 소복 차림.
  • 성복제에 참례한 논개는 하얗게 눈이 부신 소복을 입었다.≪박종화, 임진왜란≫

59. 수술복 (手術服) [수술복]

한자: 手(손 수(:)), 術(재주 술), 服(옷 복)

수술할 때에 입는 위생복.

용례:

수술실은 지난번보다 훨씬 붐볐다. 칠 명의 군의관과 간호 장교와 위생병이 수술복 차림으로 서 있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60. 수영복 (水泳服) [수영복]

한자: 水(물 수), 泳(헤엄칠 영:), 服(옷 복)

수영할 때에 입는 옷.

용례:

  • 수영복 차림.
  • 그는 수영복을 입고 바다 한가운데로 헤엄쳐 나갔다.

61. 숙녀복 (淑女服) [숭녀복]

한자: 淑(맑을 숙), 女(계집 녀), 服(옷 복)

숙녀가 입는 옷.

62. 승마복 (乘馬服) [승마복]

한자: 乘(탈 승), 馬(말 마:), 服(옷 복)

말을 탈 때에 입는 옷. 저고리는 등이 넓고 길이가 길며 소매가 좁고, 바지는 엉덩이와 허벅지를 넓게 하고 그 밑은 몸에 달라붙게 만들었다.

63. 승복 (承服) [승복]

한자: 承(이을 승), 服(옷 복)

「1」납득하여 따름.
「2」죄를 스스로 고백함.

용례:

  • 「1」승복의 의사를 표하다.
  • 「1」여당은 총선 결과에 대해 야당의 승복을 촉구했다.

64. 승복 (僧服) [승복]

한자: 僧(중 승), 服(옷 복)

승려의 옷.

용례:

거기에는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모아 합장한 승복의 사내가 언덕을 오르는 자세로 엎드려 있었는데, 지산이었다.≪김성동, 만다라≫

65. 식후복 (食後服) [시쿠복]

한자: 食(밥/먹을 식), 後(뒤 후:), 服(옷 복)

음식을 먹은 뒤 잠깐 동안 있다가 약을 먹는 일.

용례:

아내의 식후복 약시중을 하느라고 꺽정이 사랑에 일찍 오지 못하였다.≪홍명희, 임꺽정≫

66. 신복 (臣服) [신복]

한자: 臣(신하 신), 服(옷 복)

신하로서 복종함.

용례:

왕에게 신복을 맹세하다.

67. 신복 (新服) [신복]

한자: 新(새 신), 服(옷 복)

새 의복.

용례:

  • 새해 아침에 신복을 입다.
  • 결혼식 날 신랑, 신부는 신복으로 곱게 단장을 한다.

68. 신부복 (神父服) [신부복]

한자: 神(귀신 신), 父(아비 부), 服(옷 복)

신부(神父)의 제복.

용례:

신부님이 미사를 집전하기 위해 신부복으로 갈아입었다.

69. 신사복 (紳士服) [신:사복]

한자: 紳(띠[帶] 신:), 士(선비 사:), 服(옷 복)

남자들이 평상시에 입는 양복. 저고리, 조끼, 바지가 한 벌을 이룬다.

용례:

  • 신사복 두 벌.
  • 신사복 차림.
  • 나는 신사복의 상의를 벗고 와이셔츠 단추를 풀어 오른쪽 팔뚝을 굽혔다.≪최인호, 잠자는 신화≫
  • 비록 후줄근하게 낡은 것이긴 해도 명색만은 신사복에 넥타이까지 단정하게 착용한 사내였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70. 실내복 (室內服) [실래복]

한자: 室(집 실), 內(안 내:), 服(옷 복)

주로 집 안에서 입는 옷.

용례:

  • 실내복과 외출복.
  • 밖에서 돌아오면 곧 실내복으로 갈아입는다.

71. 아동복 (兒童服) [아동복]

한자: 兒(아이 아), 童(아이 동(:)), 服(옷 복)

어린이가 입도록 만든 옷.

용례:

조카 생일 선물로 아동복 한 벌을 샀다.

72. 야복 (野服) [야:복]

한자: 野(들[坪] 야:), 服(옷 복)

야인(野人)이 입는 옷.

용례:

관복을 입은 수령이 소위 야복을 입은 야인들에게 이렇게 술을 따르고 다니다니 이만저만 파격이 아니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73. 야전복 (野戰服) [야:전복]

한자: 野(들[坪] 야:), 戰(싸움 전:), 服(옷 복)

전투할 때 입는 옷.

용례:

예비군 모자를 코허리에까지 눌러쓰고 양쪽에 귀 같은 호주머니가 달린 야전복을 입은 왕이 눈살을 찌푸렸다.≪황석영, 돼지꿈≫

74. 양복 (洋服) [양복]

한자: 洋(큰바다 양), 服(옷 복)

「1」서양식의 의복.
「2」남성의 서양식 정장.

용례:

  • 「1」중국 대륙의 바람이 서풍(西風)에 몰리기 시작하는 조선 말기에 이르면 조관(朝官)의 복색이 양복으로 변하기 시작하고….≪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2」양복을 갖추어 입다.
  • 「2」양복을 맞추다.
  • 「2」어두컴컴해질 무렵에 세련된 양복 차림의 노신사와 오십 대쯤으로 보이는 부인이 찾아왔다.≪황석영, 한 씨 연대기≫
  • 「2」몸에 꼭 맞는 양복, 반듯하게 맨 넥타이 그리고 잘 매만진 머리가 은연중 사내의 빈틈없음을 말해 주고 있는 것 같았다. ≪조해일, 왕십리≫

75. 여성복 (女性服) [여성복]

한자: 女(계집 녀), 性(성품 성:), 服(옷 복)

여성들이 입는 옷.

용례:

올봄에는 복고풍의 여성복이 유행하고 있다.

76. 연미복 (燕尾服) [연:미복]

한자: 燕(제비 연(:)), 尾(꼬리 미:), 服(옷 복)

남자용 서양 예복. 보통 검은 나사로 만드는데, 가슴은 두 겹이고 단추는 셋이며, 저고리의 앞은 허리 아래가 없고 뒤는 두 갈래로 길게 내려와 마치 제비의 꼬리처럼 보인다.

용례:

예식이 시작되자 면사포를 쓴 신부와 연미복을 입은 신랑이 나란히 팔을 끼고 입장을 하고 있었다.

77. 연복 (連服) [연복]

한자: 連(이을 련), 服(옷 복)

약을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하여 복용함.

용례:

계향이가 약을 연복으로 두서너 첩 먹고 밤늦도록 신고한 뒤 사내아이를 낳았는데….≪홍명희, 임꺽정≫

78. 예복 (禮服) [예복]

한자: 禮(예도 례:), 服(옷 복)

의식을 치르거나 특별히 예절을 차릴 때에 입는 옷.

용례:

  • 결혼 예복.
  • 그는 예복을 갖추어 입었다.
  • 사진관에 가서 예복만 빌려 입고 결혼사진만 찍은 겁니다, 아저씨.≪조해일, 왕십리≫

79. 왜복 (倭服) [왜복]

한자: 倭(왜나라 왜), 服(옷 복)

일본 옷.

용례:

게다짝 신고 허벅지가 드러나는 왜복을 입고 대륙을 활보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박경리, 토지≫

80. 외출복 (外出服) [외:출복]

한자: 外(바깥 외:), 出(날[生] 출), 服(옷 복)

외출할 때 입는 옷.

용례:

동창 두엇이나 만나 볼 겸 모처럼 바닷바람이나 쐬자 하고 결정을 내리자 그는 곧 이불 속에서 빠져나와 외출복을 입기 시작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81. 우주복 (宇宙服) [우:주복]

한자: 宇(집 우:), 宙(집 주:), 服(옷 복)

우주를 여행할 때에 입도록 만든 옷. 우주선 내에서 또는 우주 공간의 여러 가지 상황에서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만들었다.

용례:

거추장스러운 우주복을 입지 않으면 기지 밖으로 나갈 수 없다.≪조세희, 우주여행≫

82. 운동복 (運動服) [운:동복]

한자: 運(옮길 운:), 動(움직일 동:), 服(옷 복)

체육을 할 때 입는 옷.

용례:

  • 운동복을 입다.
  • 아버지는 매일 아침 가벼운 운동복 차림으로 약수터를 가신다.
  • 학생들이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운동장으로 뛰어나갔다.
  • 운동복에 머릿수건을 친 권투 선수가 두 팔을 엇바꿔 곧게 뻗쳤다 오므렸다 하면서….≪최인훈, 광장≫

83. 위복 (位服) [위복]

한자: 位(자리 위), 服(옷 복)

벼슬에 따라 입는 예복.

용례:

위복을 갖추어 입은 문무백관이 일제히 왕에게 절을 올렸다.

84. 위생복 (衛生服) [위생복]

한자: 衛(지킬 위), 生(날 생), 服(옷 복)

위생을 지키기 위하여 입는 흰색의 덧옷. 흔히 의사나 간호사 등의 병독에 감염되기 쉬운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입는다.

용례:

  • 그는 환자들을 진료하기 위해 진찰실로 들어가기 전에 벗어 두었던 위생복을 걸쳤다.
  • 정수가 천천히 병원 제약실에 나가려고 흰 위생복을 입고 있는데 노크 소리가 들렸다.≪안수길, 북간도≫

85. 유복 (儒服) [유복]

한자: 儒(선비 유), 服(옷 복)

유생(儒生)들이 입는 옷.

용례:

더위를 무릅쓰며 철릭에 장죽을 든 모습이라든가, 유복을 정제한 풍도며….≪김정한, 수라도≫

86. 유아복 (乳兒服) [유아복]

한자: 乳(젖 유), 兒(아이 아), 服(옷 복)

젖먹이가 입는 옷. 생후 1년 내외에 입으며, 보통은 앞이 터진 내리닫이로 단추나 끈이 달려 있고 깃은 없거나 아주 작다.

용례:

그녀는 신생아용품 가게에 들러 예쁜 유아복을 샀다.

87. 유행복 (流行服) [유행복]

한자: 流(흐를 류(유)), 行(다닐 행(:)), 服(옷 복)

일시적으로 널리 퍼져 많은 사람이 입는 옷.

용례:

최신 유행복.

88. 융복 (戎服) [융복]

한자: 戎(병장기/오랑캐 융), 服(옷 복)

철릭과 주립으로 된 옛 군복. 무신이 입었으며, 문신도 전쟁이 일어났을 때나 임금을 호종(扈從)할 때에는 입었다.

용례:

어렴풋이 잠이 들었던 길산은 실눈을 뜨고서 옥 창살 바깥을 내다보았다. 사방등을 치켜든 무장의 융복 자락이 불빛에 울긋불긋 드러나 있었다.≪황석영, 장길산≫

89. 의복 (衣服) [의복]

한자: 衣(옷 의), 服(옷 복)

몸을 싸서 가리거나 보호하기 위하여 피륙 따위로 만들어 입는 물건.

용례:

  • 겨울철 의복.
  • 의복을 손질하다.
  • 의복을 갈아입다.
  • 아이들은 아이답게 의복을 갖추어야 격에 맞는다.≪이기영, 봄≫

90. 인민복 (人民服) [인민복]

한자: 人(사람 인), 民(백성 민), 服(옷 복)

신해혁명 이후 쑨원(孫文)이 입던 것과 같은 모양의 중국의 국민복. 웃옷에 주머니가 네 개 있고 깃을 세웠다.

용례:

인민복은 마구 입기가 좋고 목에까지 단추가 달려 방한에 좋습니다.≪황석영, 한 씨 연대기≫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