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1

1. 가수용소 (假收容所) [가:수용소]

한자: 假(거짓 가:), 收(거둘 수), 容(얼굴 용), 所(바 소:)

전쟁 포로나 이재민 등을 임시로 수용하는 곳.

용례:

  • 넘쳐 나는 포로를 다 수용할 수 없어 국경 근처에 가수용소를 설치하였다.
  • 철거가 시작되면서 재개발 지역 주민들은 임대 주택 입주와 가수용소 설치를 요구했다.

2. 감시소 (監視所) [감시소]

한자: 監(볼 감), 視(볼 시:), 所(바 소:)

감시할 목적으로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놓은 곳.

용례:

  • 그는 감시소에 앉아 몰래 낚시하러 오는 사람을 막는 감시원이었다.
  • 이곡리 쪽에서 앙죽리 쪽으로 뻗은 제방의 한 귀퉁이에 도시의 방범 초소를 닮은 감시소가 세워졌다.≪윤흥길, 완장≫

3. 감옥소 (監獄所) [가목쏘]

한자: 監(볼 감), 獄(옥[囚舍] 옥), 所(바 소:)

‘감옥’(죄인을 가두어 두는 곳. 한때 형무소라고 부르다가 현재 ‘교도소’로 고쳤다.)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엄마는 자나 깨나 손찌검 한 번 안 하고 기른 아들이 감옥소에 들어가고 모진 고문으로 반죽음을 당하는 악몽에 시달렸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4. 강습소 (講習所) [강:습쏘]

한자: 講(욀 강:), 習(익힐 습), 所(바 소:)

강습을 하는 곳.

용례:

  • 무용 강습소.
  • 요리 강습소.
  • 젊은 부부가 컴퓨터를 가르쳐 주는 강습소를 차렸다.

5. 강제수용소 (強制收容所) [강:제수용소]

한자: 強(강할 강(:)), 制(절제할 제:), 收(거둘 수), 容(얼굴 용), 所(바 소:)

정치적 반대파를 대량으로 수용하거나 전시 중 외국인을 구금·수용하기 위하여 차려 놓은 수용소. 나치스 독일의 강제 수용소, 스탈린 시대 소련의 라게리 수용소 따위가 유명하다.

용례:

독일의 포로로 붙들린 수십만 병사를 귀국하는 즉시 감옥이나 다를 바 없는 강제 수용소에 가두었다는 얘기도 했다.≪이병주, 지리산≫

6. 개량변소 (改良便所) [개:량변소]

한자: 改(고칠 개(:)), 良(어질 량), 便(똥오줌 변), 所(바 소:)

위생상 여러 가지로 더 좋게 고친 재래식 변소. 분뇨 통에 칸막이를 하여 공기가 드나드는 것을 막고, 썩어서 물처럼 된 것을 퍼내도록 하여 세균이나 기생충 따위가 죽어 없어지게 만들었다.

용례:

변소 개량이 이루어진 후 현지에 맞지 않는 개량변소의 문제점들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7. 개소 (個所) [개소]

한자: 個(낱 개(:)), 所(바 소:)

[Ⅰ]여러 곳 가운데 한 곳.
[Ⅱ]낱낱의 곳을 세는 단위.

용례:

  • [Ⅰ]공중전화의 박스는 전부 메워져 있을 뿐 아니라 몇 사람씩 대기하는 사람이 박스 앞마다 줄을 서 있었다. 나는 어느 개소를 골라 그 줄 말미에 붙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Ⅱ]당시의 미국의 국무장관은 칠백만의 베트남 사람들이 천 개소 이상의 전략촌에 나뉘어 살고 있다면서….≪황석영, 무기의 그늘≫

8. 개소 (開所) [개소]

한자: 開(열 개), 所(바 소:)

사무소나 연구소 따위와 같이 이름이 ‘소’(所) 자로 끝나는 기관을 세워 처음으로 일을 시작함. 또는 그런 기관이 하루의 업무를 시작함.

용례:

법무사 사무소 개소.

9. 개표소 (改票所) [개:표소]

한자: 改(고칠 개(:)), 票(표 표), 所(바 소:)

차표 또는 입장권 따위를 들어가는 입구에서 검사하고 사람들을 안으로 받아들이는 곳.

10. 개표소 (開票所) [개표소]

한자: 開(열 개), 票(표 표), 所(바 소:)

투표함을 열고 투표 결과를 검사하는 일정한 장소. 선거 관리 위원회가 각 개표구의 구청, 시청, 군청 소재지 따위에 설치한다.

용례:

투표가 끝나고 각 개표소로 투표함이 속속 운반되고 있다.

11. 거래소 (去來所) [거:래소]

한자: 去(갈 거:), 來(올 래(:)), 所(바 소:)

상품, 유가 증권 따위를 대량으로 거래하는 상설 시장. 비영리 법인으로, 회원 또는 거래원만 직접 거래할 수 있으며 일반인은 이에 위탁하여 거래한다.

용례:

그 회사는 거래소에 상장을 위한 심사를 청구했다.

12. 거소 (居所) [거소]

한자: 居(살 거), 所(바 소:)

「1」살고 있는 곳.
「2」주소처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곳은 아니지만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하여 거주하는 장소.

용례:

  • 「1」거소를 정하다.
  • 「2」거소가 불명하다.

13. 검문소 (檢問所) [검:문소]

한자: 檢(검사할 검:), 問(물을 문:), 所(바 소:)

범죄 수사나 치안 유지를 위하여 군인이나 경찰이 통행인을 막고 인적 사항을 묻거나 소지품 및 차량 따위를 검사하는 곳. 주로 다리가 놓여 있는 곳이나 도(道) 경계선 같은 곳에 있으며, 군인이나 경찰의 임시 파견소 구실도 한다.

용례:

  • 검문소를 통과하다.
  • 멀리 산청으로 나가는 국도 변에 검문소가 보이고 이제는 꼼짝없이 걱정했던 대로 검문에 응할 수밖에 없는 난처한 입장에 빠지자….≪최인호, 지구인≫

14. 검사소 (檢査所) [검:사소]

한자: 檢(검사할 검:), 査(조사할 사), 所(바 소:)

검사를 주 업무로 하는 기관이나 단체.

용례:

  • 농산물 검사소.
  • 방역 검사소.
  • 작물 시험 검사소.
  • 직물 검사소.

15. 검역소 (檢疫所) [거:멱쏘]

한자: 檢(검사할 검:), 疫(전염병 역), 所(바 소:)

검역을 하기 위하여 주요한 항구나 공항에 마련된 공공 기관.

16. 검조소 (檢潮所) [검:조소]

한자: 檢(검사할 검:), 潮(밀물/조수 조), 所(바 소:)

검조기를 설치하여 해수면의 높이를 재는 곳.

용례:

주요 항만의 검조소에서 조석 관측과 더불어 바다의 기상을 관측했다.

17. 검측소 (檢測所) [검:측쏘]

한자: 檢(검사할 검:), 測(헤아릴 측), 所(바 소:)

해당 설비를 갖추고 검사하고 측정하는 일을 맡아보는 곳이나 부서. 또는 그 건물.

용례:

검사를 위해 샘플을 지정한 검측소로 보냈다.

18. 고소 (高所) [고소]

한자: 高(높을 고), 所(바 소:)

높은 곳.

용례:

해발 1천 미터가량의 고소에서 바라보이는 것이니 새침한 경관이 아닐 수 없었다.≪이병주, 지리산≫

19. 공공장소 (公共場所) [공공장소]

한자: 公(공평할 공), 共(한가지 공:), 場(마당 장), 所(바 소:)

사회의 여러 사람 또는 여러 단체에 공동으로 속하거나 이용되는 곳.

용례:

  • 몇몇 젊은이들이 공원 한쪽에서 공공장소라는 것도 잊은 채 시끄럽게 떠들어 대고 있다.
  • 병원, 학교, 지하철역과 같은 공공장소 곳곳에 ‘금연’이라는 게시문이 붙어 있었다.

20. 공급소 (供給所) [공:급쏘]

한자: 供(이바지할 공:), 給(줄 급), 所(바 소:)

공급하는 일을 맡아보는 곳.

용례:

그 서점은 어린 시절 나에게 지식의 공급소였다.

21. 공동변소 (共同便所) [공:동변소]

한자: 共(한가지 공:), 同(한가지 동), 便(똥오줌 변), 所(바 소:)

공중이 이용하도록 길가나 공원 같은 공공장소에 만들어 놓은 변소.

용례:

  • 마을의 외진 곳에는 판자촌 주민들이 함께 사용하는 너저분한 공동변소 한 채가 있었다.
  • 무슨 동네가 이래요? 아무리 공동변소라지만 남녀 구별도 없이, 게다가 이 많은 사람들이 그것 하나 가지고 되기나 해요?≪이동하, 장난감 도시≫

22. 공소 (公所) [공소]

한자: 公(공평할 공), 所(바 소:)

본당보다 작은 교회 단위. 본당 사목구에 속하여 있는,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예배소나 그 구역을 이른다.

용례:

마을 공소가 속속 늘어나 교리를 암송하는 소리가 거리에 낭자하게 흘러나왔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3. 공작소 (工作所) [공작쏘]

한자: 工(장인 공), 作(지을 작), 所(바 소:)

기계 따위를 만드는 곳.

용례:

공작소 측에선 잔금을 안 주면 기계를 도로 떼어 가겠다고 나와….≪박완서, 오만과 몽상≫

24. 공중변소 (公衆便所) [공중변소]

한자: 公(공평할 공), 衆(무리 중:), 便(똥오줌 변), 所(바 소:)

공중이 이용하도록 길가나 공원 같은 공공장소에 만들어 놓은 변소.

용례:

  • 길을 가다가 갑자기 배가 아파 공중변소에 갔다.
  • 그녀는 남대문 옆의 지린내가 코를 지르는 공중변소 앞을 지나갔다.≪김용성, 도둑 일기≫

25. 공진소 (供進所) [공:진소]

한자: 供(이바지할 공:), 進(나아갈 진:), 所(바 소:)

대한 제국 때에, 궁내부에 속하여 식료품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임시 관아.

용례:

추수를 일진회원들이 간검하는데 작폐가 무쌍하다 하여 공진소에서 파송하였던 추수관들이 도로 올라왔다더라.≪대한매일신보≫

26. 관리소 (管理所) [괄리소]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理(다스릴 리:), 所(바 소:)

특정한 일이나 사물, 시설 따위를 유지, 보완, 통제하는 업무를 맡아 하는 곳.

용례:

  • 아파트 관리소.
  • 출입국 관리소.
  • 수질 관리소.
  • 선거 관리소.
  • 이만 정도의 휴양소면 관리소가 따로 있을 텐데…….≪이문열, 영웅 시대≫
  • 최순돌 할아버지와 함께 오신 보호자 되는 분은 관리소로 급히 연락 바랍니다.≪최인호, 돌의 초상≫

27. 관제소 (管制所) [관제소]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所(바 소:)

관리하여 통제하는 곳.

용례:

  • 공항 관제소.
  • 지상 관제소.
  • 여름철에 야영을 할 때는 관제소의 지시에 잘 따라야 한다.

28. 관측소 (觀測所) [관측쏘]

한자: 觀(볼 관), 測(헤아릴 측), 所(바 소:)

「1」적의 동태를 살피기 위하여 여러 가지 관측 장비를 설치한 곳.
「2」포병과에서 목표 지점을 살피고, 포탄을 목표물로 유도하는 곳.
「3」기상이나 천체를 관측하는 곳. 또는 그런 기관. 천문대, 기상대 따위가 있다.

용례:

  • 「1」레이더 관측소.
  • 「1」항공 관측소.
  • 「1」저쪽 저 꼭대기가 아군 관측소지요. 저기 가서 보면 여기서 보는 것보다 저쪽 애들 마을이 선명하게 보이지요.≪전상국, 외딴길≫
  • 「3」관측소는 비와 구름 때문에 시계가 나빠서 관측이 불가능하오.≪홍성원, 육이오≫

29. 광업소 (鑛業所) [광:업쏘]

한자: 鑛(쇳돌 광:), 業(업 업), 所(바 소:)

광물 채굴권자가 그 사업에 관한 사무를 보는 곳.

용례:

형은 광업소에 채탄부로 취직했다.

30. 교도소 (矯導所) [교:도소]

한자: 矯(바로잡을 교:), 導(인도할 도:), 所(바 소:)

행형(行刑)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징역형이나 금고형, 노역장 유치나 구류 처분을 받은 사람, 재판 중에 있는 사람 등을 수용하는 시설이다.

용례:

  • 죄수를 교도소에 수감하다.
  • 그는 복역한 지 10년 만에 교도소에서 출소하였다.

31. 교번소 (交番所) [교번소]

한자: 交(사귈 교), 番(차례 번), 所(바 소:)

순검이 일을 보던 조그마한 막. 지금의 파출소에 해당한다.

용례:

“교번소까지 갑시다.” 한마디 하고 순사는 영환이 채 말에서 내리기도 전에 앞으로 성큼성큼 걸어가는 것이다.≪김말봉, 찔레꽃≫

32. 교습소 (敎習所) [교:습쏘]

한자: 敎(가르칠 교:), 習(익힐 습), 所(바 소:)

학문이나 기예 따위를 가르쳐 익히게 하는 곳.

용례:

  • 무용 교습소.
  • 피아노 교습소.
  • 이 고장에서도 적객 이세직이 사마재에다 일어 교습소를 차려 학도 십여 명을 모으고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33. 교화소 (敎化所) [교:화소]

한자: 敎(가르칠 교:), 化(될 화(:)), 所(바 소:)

‘교도소’(행형(行刑)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징역형이나 금고형, 노역장 유치나 구류 처분을 받은 사람, 재판 중에 있는 사람 등을 수용하는 시설이다.)의 전 용어.

용례:

만규가 미친 건 내 탓이 아니외다. 그 애는 교화소에서 저절로 미친 거외다!≪홍성원, 육이오≫

34. 교환소 (交換所) [교환소]

한자: 交(사귈 교), 換(바꿀 환:), 所(바 소:)

교환하는 일을 맡아보는 기관.

용례:

  • 어음 교환소.
  • 화폐 교환소.
  • 본 은행을 중서 광통방 전 교환소로 정하고….≪독립신문≫

35. 구치소 (拘置所) [구치소]

한자: 拘(잡을 구), 置(둘[措] 치:), 所(바 소:)

형사 피의자 또는 형사 피고인으로서, 구속 영장에 의하여 구속된 사람을 판결이 내려질 때까지 수용하는 시설.

용례:

  • 구치소로 이송되다.
  • 구치소에 갇히다.
  • 구치소에서 풀려나다.
  • 미결수들을 구치소에 수감하다.
  • 죄수들은 서대문 구치소의 넓은 방으로 끌려가 네 줄로 맞추어 앉았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36. 구호소 (救護所) [구:호소]

한자: 救(구원할 구:), 護(도울 호:), 所(바 소:)

「1」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는 일을 맡아보는 곳.
「2」최전방 군대 의무 시설의 하나. 주로 부상병을 응급 치료 하거나 후방 병원으로 후송하는 일을 수행한다.

용례:

  • 「1」이재민 구호소.
  • 「1」구호 식량을 배급받기 위해 구호소 앞에 긴 행렬을 이룬 난민들.
  • 「1」원장은 채석장 근처에 마련된 구호소로 부상자를 운반해다 자신이 우선 급한 응급조치를 취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37. 국소 (局所) [국쏘]

한자: 局(판[形局] 국), 所(바 소:)

사무를 보는 곳.

38. 국소 (局所) [국쏘]

한자: 局(판[形局] 국), 所(바 소:)

전체 가운데 어느 한 곳.

용례:

  • 국소 치료제.
  • 먹는 진통제 대신 연고형 진통제를 국소에 도포하여 근육통을 완화했다.

39. 급소 (急所) [급쏘]

한자: 急(급할 급), 所(바 소:)

「1」조금만 다쳐도 생명에 지장을 주는 몸의 중요한 부분.
「2」사물의 가장 중요한 곳.

용례:

  • 「1」급소를 때리다.
  • 「1」급소를 맞고 절명하다.
  • 「1」그의 팔과 다리는 무서운 속력으로 상대방의 급소를 가격하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2」급소를 찌른 질문.
  • 「2」그는 문제의 급소에 일침을 가했다.
  • 「2」경일 어머니의 이 말은 책임감이 깊은 여순에게는 제일 급소를 찌르는 말이었다.≪한설야, 황혼≫

40. 급식소 (給食所) [급씩쏘]

한자: 給(줄 급), 食(밥/먹을 식), 所(바 소:)

식사를 공급하는 장소.

용례:

  • 뒷산에 야생 동물을 위한 간이 급식소를 설치했다.
  • 시청에서 초등학교 급식소에 위생 점검을 나왔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