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2

41. 기표소 (記票所) [기표소]

한자: 記(기록할 기), 票(표 표), 所(바 소:)

투표용지에 써넣거나 표시할 수 있도록 투표장 안에 마련한 곳.

용례:

투표용지를 받아서 기표소 안으로 들어가다.

42. 난소 (難所) [난소]

한자: 難(어려울 난(:)), 所(바 소:)

험하고 가파른 곳. 또는 왕래가 곤란한 곳.

용례:

난소에 자리 잡은 기도원.

43. 대기소 (待機所) [대:기소]

한자: 待(기다릴 대:), 機(틀 기), 所(바 소:)

대기하도록 마련한 곳.

용례:

  • 환자 대기소.
  • 대기소에서 기다리다.
  • 단원들은 천막 뒤 대기소에 둘러서서 밤참들을 먹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44. 대본소 (貸本所) [대:본소]

한자: 貸(빌릴/뀔 대:), 本(근본 본), 所(바 소:)

돈을 받고 책을 빌려주는 곳.

용례:

만화 대본소.

45. 대서소 (代書所) [대:서소]

한자: 代(대신할 대:), 書(글 서), 所(바 소:)

대서를 영업으로 하는 곳.

용례:

사법 대서소.

46. 대피소 (待避所) [대:피소]

한자: 待(기다릴 대:), 避(피할 피:), 所(바 소:)

비상시에 대피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곳.

용례:

  • 지하 대피소.
  • 공습과 같은 긴급 상황 시에는 대피소로 피신해야 한다.

47. 도기소 (陶器所) [도기소]

한자: 陶(질그릇 도), 器(그릇 기), 所(바 소:)

도기를 굽는 곳.

용례:

분청사기와 옹기그릇은 전국의 자기소와 도기소에서 관수용, 민수용으로 제작되었다.

48. 도로명주소 (道路名住所) [도:로명주:소]

한자: 道(길 도:), 路(길 로:), 名(이름 명), 住(살 주:), 所(바 소:)

도로명을 기준으로 하여 건물에 고유 번호를 붙인 주소.

49. 동사무소 (洞事務所) [동:사무소]

한자: 洞(골 동:), 事(일 사:), 務(힘쓸 무:), 所(바 소:)

‘동 주민 센터’(동(洞)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의 전 이름.

용례:

주민 등록 등본을 떼러 동사무소에 다녀왔다.

50. 등기소 (登記所) [등기소]

한자: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所(바 소:)

등기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용례:

구청에 가서 김 사장 사망 신고를 하는가 하면 등기소에 가서 재산 상속을 알아보고 인감계를 내곤 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51. 매표소 (賣票所) [매:표소]

한자: 賣(팔 매(:)), 票(표 표), 所(바 소:)

차표나 입장권 따위의 표를 파는 곳.

용례:

  • 매표소로 달려가 표를 끊다.
  • 이른 아침인데도 매표소에는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표를 사고 있었다.

52. 면사무소 (面事務所) [면:사무소]

한자: 面(낯 면:), 事(일 사:), 務(힘쓸 무:), 所(바 소:)

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용례:

면사무소에서 호적 등본을 떼어 보다.

53. 면소 (面所) [면:소]

한자: 面(낯 면:), 所(바 소:)

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용례:

세금 못 냈다고 면소 서기들한테 밥솥을 뺏길 염려도 없을 터이지.≪이효석, 돈≫

54. 면회소 (面會所) [면:회소/면:훼소]

한자: 面(낯 면:), 會(모일 회:), 所(바 소:)

「1」면회하는 장소나 건물.
「2」면회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따로 마련해 놓은 방.

용례:

  • 「1」토요일 오후, 면회소에는 면회하러 온 사람으로 북새통을 이루었다.
  • 「1」간혹 비공식적으로 부상병을 만나러 오는 사람은 담뱃값을 주고 그 면회소로 사람을 내보내 달라고 부탁했다.≪안정효, 하얀 전쟁≫

55. 명소 (名所) [명소]

한자: 名(이름 명), 所(바 소:)

경치나 고적, 산물 따위로 널리 알려진 곳.

용례:

  • 관광의 명소.
  • 그는 타지에서 온 손님에게 자기 고장의 명소를 소개하는 학생처럼 겸손하게, 그러나 자랑스러움을 가지고 발전소 건물을 가리키며 말했다.≪오정희, 불의 강≫

56. 목공소 (木工所) [목꽁소]

한자: 木(나무 목), 工(장인 공), 所(바 소:)

나무로 가구, 창틀 따위의 물건을 만드는 곳.

57. 목재소 (木材所) [목째소]

한자: 木(나무 목), 材(재목 재), 所(바 소:)

베어 낸 나무로 재목을 만드는 곳.

용례:

근처 목재소에서 기계톱으로 통나무 켜는 소리가 요란하게 들려온다.

58. 묘소 (妙所) [묘:소]

한자: 妙(묘할 묘:), 所(바 소:)

묘하고 좋은 곳.

용례:

금강산은 세계의 어떤 묘소에도 뒤지지 않는다.

59. 묘소 (墓所) [묘:소]

한자: 墓(무덤 묘:), 所(바 소:)

뫼가 있는 곳.

용례:

양지바른 곳에 묘소를 잡다.

60. 무임소 (無任所) [무임소]

한자: 無(없을 무), 任(맡길 임(:)), 所(바 소:)

공통적인 직무상의 책임 이외에 따로 맡은 임무가 없음.

용례:

  • 이번 동경의 신내각에는 월급 없는 무임소 대신이 생긴다대.≪염상섭, 무화과≫
  • 무임소의 거물들이 일제히 대원군을 이중으로 에워쌌다.≪유주현, 대한 제국≫

61. 미아보호소 (迷兒保護所) [미아보:호소]

한자: 迷(미혹할 미(:)), 兒(아이 아), 保(지킬 보(:)), 護(도울 호:), 所(바 소:)

길을 잃은 아이를 보호하여 집이나 부모를 찾아 주는 곳.

용례:

미아보호소에서 잃어버린 아이를 찾았다.

62. 밀회소 (密會所) [밀회소/밀훼소]

한자: 密(빽빽할 밀), 會(모일 회:), 所(바 소:)

남몰래 만나거나 모이는 곳.

용례:

청춘 남녀의 밀회소.

63. 발매소 (發賣所) [발매소]

한자: 發(필 발), 賣(팔 매(:)), 所(바 소:)

상품이나 증권·출판물 따위를 만들거나 떼어다가 내어 파는 곳.

용례:

  • 그 공원은 입장권 발매소가 너무 적어서 입장객들이 큰 고생을 했다.
  • 복권 발매소를 여러 곳에 새로 설치하기로 했다.

64. 발신소 (發信所) [발씬소]

한자: 發(필 발), 信(믿을 신:), 所(바 소:)

우편이나 전신을 보내는 곳.

용례:

전에는 전보의 발신소로 전신 전화국을 이용했었다.

65. 발전소 (發電所) [발쩐소]

한자: 發(필 발), 電(번개 전:), 所(바 소:)

전기를 일으키는 시설을 갖춘 곳. 수력·화력·원자력·풍력·조력·태양광·지열 따위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일으킨다.

용례:

근처에 풍력을 이용한 발전소가 건설되어 지역 전력 부족 문제가 해결되었다.

66. 발행소 (發行所) [발행소]

한자: 發(필 발), 行(다닐 행(:)), 所(바 소:)

출판물을 찍어 펴내는 기관이나 기업체.

용례:

교과서 발행소.

67. 밤업소 (밤業所) [바멉쏘]

한자: 業(업 업), 所(바 소:)

밤에 영업을 하는 곳. 주로 술집, 카바레, 유흥장 따위를 이른다.

용례:

  • 밤업소에 나가는 무명 가수.
  • 이 지역은 밤업소가 밀집된 탓에 밤이면 불야성을 이룬다.

68. 방소 (方所) [방소]

한자: 方(모[棱] 방), 所(바 소:)

공간의 어떤 점이나 방향이 한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내는 어떠한 쪽의 위치.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8방향, 16방향, 32방향으로 세분한다.

용례:

방소를 꺼리다.

69. 방역소 (防疫所) [방역쏘]

한자: 防(막을 방), 疫(전염병 역), 所(바 소:)

일정한 지역의 주민을 위하여 방역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보건 기관.

용례:

뚝섬에도 괴질이 대치하므로 임시 방역소를 설치하고 의원과 경찰 관리를 파송하였다더라.≪대한매일신보≫

70. 방호소 (防護所) [방호소]

한자: 防(막을 방), 護(도울 호:), 所(바 소:)

예전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적의 침입이 예상되는 요충지에 설치하여 방호 임무를 수행하던 군대의 경계 감시소.

용례:

초막에 잠들어 있던 나머지 창의병들은 방호소 쪽에서 총소리가 들려오자 허겁지겁 기계를 들고 밖으로 나갔으나, 그때는 이미 왜군들이 방호소를 넘어서 둔영의 본진 쪽으로 몰려오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71. 배급소 (配給所) [배:급쏘]

한자: 配(나눌/짝 배:), 給(줄 급), 所(바 소:)

배급하는 곳. 또는 그런 일을 맡아보는 기관.

용례:

  • 석유 배급소.
  • 쌀 배급소.
  • 식량은 배급제여서 배급소 앞에는 언제나 장사진을 치고 서로 욕하고 때리고 하여 분규가 아니 일어나는 때가 없었다.≪김구, 백범일지≫

72. 배소 (配所) [배:소]

한자: 配(나눌/짝 배:), 所(바 소:)

귀양살이하는 곳.

용례:

  • 충신은 모두 배소에 가 있으니 이제 이 나라는 어찌 될꼬.
  • 임금이 회정하라는 부름만 있으면 불과 몇 년 만에 풀려나올 수도 있고 부름을 끝내 못 받으면 여생을 배소에서 마치는 수도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73. 배전변전소 (配電變電所) [배:전변:전소]

한자: 配(나눌/짝 배:), 電(번개 전:), 變(변할 변:), 電(번개 전:), 所(바 소:)

발전소나 일차 변전소에서 보내온 전기를 수요자에게 분배·공급하는 곳.

용례:

이 지방은 산간 오지여서 별도의 배전 변전소를 설치해야 한다.

74. 변소 (便所) [변소]

한자: 便(똥오줌 변), 所(바 소:)

대소변을 보도록 만들어 놓은 곳.

용례:

  • 수세식 변소.
  • 변소를 치다.
  • 변소에서 냄새가 심하게 난다.
  • 그는 배탈이 났는지 하루 종일 변소를 들락거렸다.

75. 변전소 (變電所) [변:전소]

한자: 變(변할 변:), 電(번개 전:), 所(바 소:)

교류 전력을 송전·배전하기에 적당한 전압으로 바꾸어서 내보내는 시설. 변압기, 차단기와 보조 설비 따위로 구성되고 초고압 변전소, 1차 변전소, 2차 변전소, 배전 변전소 따위로 나뉘며, 특수한 것으로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도 있다.

76. 보건소 (保健所) [보:건소]

한자: 保(지킬 보(:)), 健(굳셀 건:), 所(바 소:)

질병의 예방, 진료, 공중 보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각 광역시 및 각 시·군·구에 둔 공공 의료 기관.

용례:

지역 보건소에서 예방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77. 보관소 (保管所) [보:관소]

한자: 保(지킬 보(:)), 管(대롱/주관할 관), 所(바 소:)

다른 사람의 물품을 대신 맡아 관리하는 곳.

용례:

  • 화물 보관소.
  • 보관소에서 짐을 찾다.

78. 보급소 (普及所) [보:급쏘]

한자: 普(넓을 보:), 及(미칠 급), 所(바 소:)

조직 체계를 갖추고 일정 구역에서 정기 구독자에게 신문을 배달하는 곳.

용례:

두 시간 동안 신문을 배달하고 보급소로 되돌아오면 온몸에 땀이 비 오듯 흘러내려 뜨거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오르고 있을 정도였다.≪최인호, 지구인≫

79. 보급소 (補給所) [보:급쏘]

한자: 補(기울 보:), 給(줄 급), 所(바 소:)

보급품의 지급, 운송, 저장, 관리 따위를 맡아보는 곳.

용례:

그들은 북쪽 구릉 지대의 방공호에 들어앉은 보급소로 보급품을 수령하러 가는 길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80. 보호소 (保護所) [보:호소]

한자: 保(지킬 보(:)), 護(도울 호:), 所(바 소:)

위험이나 곤란 따위가 미치지 않도록 잘 보살펴 주는 곳.

용례:

  • 유기 동물 보호소.
  • 난민들을 보호소에 수용하였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