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지구소 (地區所) [지구소]
한자: 地(따 지), 區(구분할/지경 구), 所(바 소:)
일정 지역의 지부(支部).
용례:
농촌 지도소 남부 지구소.
162. 지성소 (至聖所) [지성소]
한자: 至(이를 지), 聖(성인 성:), 所(바 소:)
구약 시대에 성전 또는 막 안의, 하나님이 있는 가장 거룩한 곳. 성소 안쪽에 있어 대사제만이 해마다 한 번 들어갈 수 있으며 그 속에 계약의 궤가 있었다.
163. 지소 (支所) [지소]
한자: 支(지탱할 지), 所(바 소:)
본소(本所)에서 갈려 나가, 본소의 관할 아래 일정한 지역의 일을 맡아 하는 곳.
용례:
- 각 지방에 지소를 설치하다.
- 원조 기관 당국에는 서울 이전을 신고하여 앞으로의 원조품을 서울 지소에서 지급받도록 조처했다.≪홍성원, 육이오≫
164. 지휘소 (指揮所) [지휘소]
한자: 指(가리킬 지), 揮(휘두를 휘), 所(바 소:)
지휘관과 그 참모가 모여서 부대를 지휘할 수 있도록 마련한 곳.
용례:
- 야전 지휘소.
- 보조 지휘소.
165. 직업소개소 (職業紹介所) [지겁쏘개소]
한자: 職(직분 직), 業(업 업), 紹(이을 소), 介(낄 개:), 所(바 소:)
취직을 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적당한 일자리를 소개하고,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고용주에게는 사람을 소개하는 일을 하는 곳.
166. 진료소 (診療所) [질:료소]
한자: 診(진찰할 진), 療(병고칠 료), 所(바 소:)
의사가 공중(公衆),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개설한, 병원보다 작은 규모로 진찰하고 치료하는 설비를 갖춘 곳.
167. 집결소 (集結所) [집껼소]
한자: 集(모을 집), 結(맺을 결), 所(바 소:)
모이는 장소.
용례:
입대하는 장정들이 집결소에 모였다.
168. 집적소 (集積所) [집쩍쏘]
한자: 集(모을 집), 積(쌓을 적), 所(바 소:)
물건을 모아 쌓아 두는 곳.
용례:
역사(驛舍)라고 하기보다 폐품 집적소라고 하는 것이 어울릴 정도로 역사의 안팎은 불결하기 짝이 없었다.≪이병주, 지리산≫
169. 집합소 (集合所) [지팝쏘]
한자: 集(모을 집), 合(합할 합), 所(바 소:)
집합하는 장소.
용례:
- 모임의 집합소.
- 그곳은 예술가들의 집합소이다.
170. 처소 (處所) [처:소]
한자: 處(곳 처:), 所(바 소:)
「1」사람이 기거하거나 임시로 머무는 곳.
「2」어떤 일이 벌어지거나 어떤 물건이 있는 곳.
용례:
- 「1」처소를 정하다.
- 「1」스님의 처소는 소문대로 깨끗하고 검소하였다.
- 「1」회사와 가까운 곳에 처소를 마련했다.
- 「1」우리 집에서 하룻밤 묵기로 한 손님을 처소로 인도해 주었다.
- 「2」그 집의 음식을 만드는 처소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한용운, 흑풍≫
- 「2」‘큰방’이란 절에 무슨 일이 있으면 공사하는 처소요, 또 이 절 주지 아상(阿湘) 노장의 거처하는 곳이다.≪현진건, 무영탑≫
171. 철공소 (鐵工所) [철공소]
한자: 鐵(쇠 철), 工(장인 공), 所(바 소:)
쇠로 된 재료로 온갖 기구를 만드는 소규모 공장.
용례:
철공소에 철문을 주문하다.
172. 초소 (哨所) [초소]
한자: 哨(망볼 초), 所(바 소:)
보초를 서는 장소.
용례:
- 얼룩무늬로 위장된 초소는 국도를 가로지른 야트막한 구릉 밑에 자리 잡고 있었다.≪김성동, 만다라≫
- 초소의 탐조등이 돌출부 이쪽으로 시선을 옮기기 시작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173. 촬영소 (撮影所) [촤령소]
한자: 撮(모을/사진찍을 촬), 影(그림자 영:), 所(바 소:)
영화를 찍고 만드는 데에 필요한 설비를 갖춘 곳.
용례:
촬영소를 갖고 있는 영화사.
174. 출소 (出所) [출쏘]
한자: 出(날[生] 출), 所(바 소:)
「1」출처나 유래.
「2」출생한 곳.
175. 출소 (出所) [출쏘]
한자: 出(날[生] 출), 所(바 소:)
교도소에서 형을 마치고 석방되어 나옴.
용례:
- 만기 출소.
- 언젠가 한 번쯤은 그날이 있을 걸로 각오들은 했지만, 형섭의 너무 빠른 출소에 그들은 어쩌면 두려움을 느꼈는지는 알 수 없다.≪홍성원, 흔들리는 땅≫
176. 출장소 (出張所) [출짱소]
한자: 出(날[生] 출), 張(베풀 장), 所(바 소:)
관공서나 기업체 따위에서 본사나 본점 이외의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는 사무소.
용례:
그는 모 재벌 회사의 뉴욕 출장소에 근무한다.
177. 충전소 (充塡所) [충전소]
한자: 充(채울 충), 塡(메울 전), 所(바 소:)
「1」자동차에 연료용 수소나 액화 석유 가스 따위를 채워 넣는 곳.
「2」교통 카드 따위의 결제 수단에 돈을 채워 넣는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
용례:
- 「1」가스가 다 떨어져 충전소가 있는 휴게소에 들렀다.
- 「2」버스를 타기 전에 충전소에 가서 카드를 충전했다.
178. 충전소 (充電所) [충전소]
한자: 充(채울 충), 電(번개 전:), 所(바 소:)
전기차 따위에 전력을 공급하여 채워 넣는 곳.
용례:
충전소가 많아지면서 전기차를 구입하는 사람도 늘었다.
179. 취급소 (取扱所) [취:급쏘]
한자: 取(가질 취:), 扱(거둘 급), 所(바 소:)
어떤 물건이나 일을 다루는 곳.
용례:
- 분실물 취급소.
- 화물 취급소.
- 우편물 취급소.
- 해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취급소의 창구가 열리고 간수의 얼굴이 어른거린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180. 치료소 (治療所) [치료소]
한자: 治(다스릴 치), 療(병고칠 료), 所(바 소:)
병이나 상처 따위를 잘 다스려 낫게 할 수 있도록 시설을 하여 놓은 곳.
용례:
야전 병원에 도착하자 급히 중섭은 이 하사와 연대장을 치료소로 옮겼다.≪오상원, 백지의 기록≫
181. 치소 (治所) [치소]
한자: 治(다스릴 치), 所(바 소:)
어떤 지역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는 곳.
용례:
치소가 있는 읍의 경우에는 다양한 성씨의 향리들이 모여 살았던 것이 확인된다.
182. 침소 (寢所) [침:소]
한자: 寢(잘 침:), 所(바 소:)
사람이 잠을 자는 곳.
용례:
- 침소에 눕다.
- 침소에 들다.
183. 큰산소 (큰山所) [큰산소]
한자: 山(메 산), 所(바 소:)
한 산에 여러 조상의 산소가 있을 때, 그중에서 가장 웃어른의 묘.
용례:
삼릉은 십이 대조의 큰산소를 가리키는 것이었는데….≪이문열, 영웅시대≫
184. 탁아소 (託兒所) [타가소]
한자: 託(부탁할 탁), 兒(아이 아), 所(바 소:)
부모가 나가서 일을 하는 동안 그 어린아이를 맡아서 보살피고 가르치는 사회 시설.
용례:
탁아소에 아이를 맡기다.
185. 투표소 (投票所) [투표소]
한자: 投(던질 투), 票(표 표), 所(바 소:)
투표하는 곳.
용례:
투표소는 이른 아침부터 투표인들로 붐볐다.
186. 파출소 (派出所) [파출쏘]
한자: 派(갈래 파), 出(날[生] 출), 所(바 소:)
「1」어떤 기관에서 직원을 파견하여 사무를 보게 하는 곳.
「2」경찰서의 관할 지역 안에 있는 동(洞)마다 경찰관을 파견하여 경찰 업무를 일차적으로 처리하도록 만든 곳.
용례:
- 「2」수상한 사람을 파출소에 신고하다.
- 「2」그들은 내 주머니에다 슬쩍 시계를 집어넣고는 일단 파출소에다 도둑놈이라고 신고를 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187. 판매소 (販賣所) [판매소]
한자: 販(팔[賣] 판), 賣(팔 매(:)), 所(바 소:)
「1」입장권, 승차권 따위를 파는 곳.
「2」상품 따위를 파는 곳.
용례:
- 「1」승차권 판매소.
- 「2」중고차 판매소.
188. 피난소 (避難所) [피:난소]
한자: 避(피할 피:), 難(어려울 난(:)), 所(바 소:)
재난을 피하여 거처하는 곳.
용례:
이 오직 하나밖에 남지 않은 피난소에도 환영의 떼는 쫓아오고야 만 것이다.≪현진건, 적도≫
189. 합숙소 (合宿所) [합쑥쏘]
한자: 合(합할 합), 宿(잘 숙), 所(바 소:)
여러 사람이 한데 집단적으로 묵는 곳.
용례:
- 대표 선수 합숙소.
- 당국에서는 마침…정류장 뒤 하천 부지에 구두닦이들과 신문팔이들의 합숙소를 마련해 주었다.≪홍성원, 흔들리는 땅≫
190. 현주소 (現住所) [현:주소]
한자: 現(나타날 현:), 住(살 주:), 所(바 소:)
「1」현재 살고 있는 곳의 주소.
「2」현재의 상황, 처지, 실태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지원서에 이름, 나이, 현주소 등을 기입했다.
- 「2」남북 관계의 현주소.
- 「2」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현주소.
- 「2」허황된 꿈으로 잔뜩 허파가 부어 있었어도, 언제고 그들이 딛고 있는 땅만이 그런대로 확실성 있는 현주소였었음이 자명하였다.≪이정환, 샛강≫
191. 형무소 (刑務所) [형무소]
한자: 刑(형벌 형), 務(힘쓸 무:), 所(바 소:)
‘교도소’(행형(行刑)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의 전 용어.
192. 환전소 (換錢所) [환:전소]
한자: 換(바꿀 환:), 錢(돈 전:), 所(바 소:)
돈을 외국 돈이나 소액권 또는 동전 따위로 바꾸어 주는 곳.
193. 훈련소 (訓鍊所) [훌:련소]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所(바 소:)
훈련을 하기 위하여 마련한 곳. 또는 그런 기관.
용례:
- 훈련소 동기.
- 신병 훈련소.
- 나는 훈련소에 입소하여 신병 교육을 받았다.
194. 휴게소 (休憩所) [휴게소]
한자: 休(쉴 휴), 憩(쉴 게:), 所(바 소:)
길을 가는 사람들이 잠깐 동안 머물러 쉴 수 있도록 마련하여 놓은 장소.
용례:
- 간이 휴게소.
- 이따금 화물 트럭들이 잠시 쉬었다가 떠나는 휴게소에서 그들은 김밥을 사 먹었다.≪최인호, 지구인≫
195. 휴식소 (休息所) [휴식쏘]
한자: 休(쉴 휴), 息(쉴 식), 所(바 소:)
쉬는 장소.
용례:
이 회나무 밑은 여름이 되면 밤이나 낮이나 동리 사람의 회의실이요, 휴식소요, 담화실이었다.≪이광수, 흙≫
196. 휴양소 (休養所) [휴양소]
한자: 休(쉴 휴), 養(기를 양:), 所(바 소:)
편안히 쉬면서 몸과 마음을 보양할 수 있도록 설비를 갖추어 놓은 곳.
용례:
- 이 산자락에는 직장인들을 위한 휴양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 이곳 원산 해수욕장에 자리 잡은 노동자 휴양소에 한 주일째 묵고 있다.≪최인훈, 광장≫
197. 흥신소 (興信所) [흥신소]
한자: 興(일[盛] 흥(:)), 信(믿을 신:), 所(바 소:)
고객의 요청에 따라 대가를 받고 기업이나 개인의 신용, 재산 상태, 개인적인 비행 따위를 몰래 조사하여 알려 주는 일을 하는 사설 기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