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4

121. 우소 (寓所) [우:소]

한자: 寓(부칠[寄] 우:), 所(바 소:)

임시로 거주하는 곳.

용례:

  • 우소를 마련하다.
  • 동료들이 그의 우소에 잠시 들렀으나 그는 없었다.

122. 원자력발전소 (原子力發電所) [원자력발쩐소]

한자: 原(언덕 원), 子(아들 자), 力(힘 력), 發(필 발), 電(번개 전:), 所(바 소:)

원자핵이 붕괴할 때 생기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하여 전기를 얻는 발전소.

123. 유흥업소 (遊興業所) [유흥업쏘]

한자: 遊(놀 유), 興(일[盛] 흥(:)), 業(업 업), 所(바 소:)

술집 따위와 같이 흥겹게 놀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영업을 하는 곳.

용례:

  • 미성년자들의 유흥업소 출입을 단속하다.
  • 이 작은 도시의 유흥업소의 여자들은 매달 한 번씩 그에게서 검진을 받아야 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124. 은폐소 (隱蔽所) [은폐소/은페소]

한자: 隱(숨을 은), 蔽(덮을 폐:), 所(바 소:)

무엇을 덮어 감추거나 가려 숨기는 장소.

용례:

  • 동굴 속에 은폐소를 마련하였다.
  • 간첩은 바위 밑을 은폐소로 이용하였다고 한다.

125. 은행소 (銀行所) [은행소]

한자: 銀(은 은), 行(다닐 행(:)), 所(바 소:)

‘은행’(예금을 받아 그 돈을 자금으로 하여 대출, 어음 거래, 증권의 인수 따위를 업무로 하는 금융 기관.)의 전 용어.

용례:

어제까지 굶어 돌아다니던 놈이 별안간 가게를 내네 어쩌네 하고 흥청거리면야 저놈이 은행소 담 구멍을 뚫었나 할 게 아닌가!≪염상섭, 삼대≫

126. 읍사무소 (邑事務所) [읍싸무소]

한자: 邑(고을 읍), 事(일 사:), 務(힘쓸 무:), 所(바 소:)

읍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용례:

그전에 우리는 읍사무소에 들러 기범의 호적을 간단히 열람했다. 이미 경찰서에서 알아본 바처럼 읍사무소에는 기범에 관해 아무 기록도 남아 있지 않았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127. 이발소 (理髮所) [이:발쏘]

한자: 理(다스릴 리:), 髮(터럭 발), 所(바 소:)

일정한 시설을 갖추고 주로 남자의 머리털을 깎아 다듬어 주는 곳.

용례:

  • 입대하기 전에 이발소에 들러 머리카락을 깎았다.
  • 곱게 빗질을 한 그 머리는 그대로 이발소의 모형이 됨직도 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28. 이소 (異所) [이:소]

한자: 異(다를 이:), 所(바 소:)

딴 자리.

용례:

균이 이소에 기생하다.

129. 인쇄소 (印刷所) [인쇄소]

한자: 印(도장 인), 刷(인쇄할 쇄:), 所(바 소:)

인쇄 설비를 갖추고 인쇄를 하는 곳.

용례:

  • 원고를 인쇄소에 넘기다.
  • 문선공인 아버지가 인쇄소의 활자를 훔쳐 냈기 때문이죠.≪전상국, 음지의 눈≫
  • 청첩장의 문안은 인쇄소에서 내놓은 견본에다가 이름들만 써넣어 주었다.≪염상섭, 화관≫

130. 인찰소 (印札所) [인찰쏘]

한자: 印(도장 인), 札(편지 찰), 所(바 소:)

인쇄 설비를 갖추고 인쇄를 하는 곳.

용례:

인찰소에 들어가 활판 일도 하며….≪독립신문≫

131. 임소 (任所) [임:소]

한자: 任(맡길 임(:)), 所(바 소:)

지방 관원이 근무하는 곳.

용례:

  • 그는 맡은 임소에서 조정의 처분을 기다렸다.
  • 여러분은 인제 주저하지 말고 각기 임소로 돌아가 마음 탁 놓고 배를 만들고 병기를 수리하시오.≪박종화, 임진왜란≫

132. 입소 (入所) [입쏘]

한자: 入(들 입), 所(바 소:)

훈련소, 연구소, 교도소 따위에 들어감.

용례:

  • 훈련소 입소 교육.
  • 모든 신병은 훈련소 입소 후 6주간 교육을 받는다.

133. 작명소 (作名所) [장명소]

한자: 作(지을 작), 名(이름 명), 所(바 소:)

돈을 받고 사람의 이름이나 회사의 상호 등을 지어 주는 곳.

용례:

너무 흔한 이름 같지만 작명소에서 그렇게 지어 주기에 그대로 작정했지.≪박완서, 도시의 흉년≫

134. 장소 (場所) [장소]

한자: 場(마당 장), 所(바 소:)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

용례:

  • 약속 장소.
  • 장소 사용료.
  • 모이는 장소.
  • 장소를 변경하다.
  • 장소를 정하다.
  • 이십여 년을 줄곧 같은 장소, 같은 규모에서 장사를 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전상국, 달평 씨의 두 번째 죽음≫
  • 이 땅에 연인끼리 산책할 조용한 장소가 어디 있습니까.≪김원일, 어둠의 축제≫
  • 서로들 마음이 바빠 좋은 장소를 가릴 엄두도 내지 못했다.≪이병주, 지리산≫

135. 재봉소 (裁縫所) [재봉소]

한자: 裁(옷마를 재), 縫(꿰맬 봉), 所(바 소:)

양복 따위를 마르고 짓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곳.

용례:

엄마와 함께 바느질을 하던 중년 여자가 재봉소의 임자였다.

136. 재소 (在所) [재:소]

한자: 在(있을 재:), 所(바 소:)

징역형, 금고형, 구류 처분 따위를 받은 사람이 교도소 안에 갇혀 있는 일.

용례:

재소 중에 배운 기술인 모양으로, 별로 크지 않은 점포였지만 연방 손님이 들락거리는 것으로 보아….≪이문열, 그해 겨울≫

137. 저유소 (貯油所) [저:유소]

한자: 貯(쌓을 저:), 油(기름 유), 所(바 소:)

석유, 휘발유 따위의 기름을 저장하여 두는 곳.

용례:

저유소에 석유를 비축해 두다.

138. 저탄소 (貯炭所) [저:탄소]

한자: 貯(쌓을 저:), 炭(숯 탄:), 所(바 소:)

석탄, 숯 따위를 모아서 간수하여 두는 곳.

용례:

저탄소에서 날리는 탄가루 때문에 불만이 많다.

139. 적소 (適所) [적쏘]

한자: 適(맞을 적), 所(바 소:)

꼭 알맞은 자리.

용례:

  • 인력이 적소에 배치되다.
  • 누구를 대해서나 입을 열 때는 기사(棋士)가 바둑돌을 적소에 골라 놓듯이 정확하고 품 있는 말을 한 마디 한 마디 신중히 골라 썼다.≪손창섭, 잉여 인간≫

140. 적소 (謫所) [적쏘]

한자: 謫(귀양갈 적), 所(바 소:)

귀양살이하는 곳.

용례:

아우는 강진으로 다시 유배되어…귀양살이를 하다가 영영 풀려나지 못한 채 적소에서 생을 마친 것이다.≪한무숙, 만남≫

141. 적유년소 (積有年所) [저규년소]

한자: 積(쌓을 적), 有(있을 유:), 年(해 년), 所(바 소:)

여러 해.

용례:

적유년소를 끌어온 문제.

142. 접객업소 (接客業所) [접깨겁쏘]

한자: 接(이을 접), 客(손 객), 業(업 업), 所(바 소:)

접객업을 하는 곳.

용례:

접객업소의 무신경이 못마땅하여 남궁 씨는 적당히 거만하게 삼백오 호실 손님에게 인터폰을 넣어 달라고 부탁을 했다.≪박완서, 우황청심환≫

143. 접수소 (接受所) [접쑤소]

한자: 接(이을 접), 受(받을 수(:)), 所(바 소:)

처리할 문서나 금품 따위를 받는 사무를 맡아보는 곳.

용례:

접수가 시작되자마자 많은 사람이 접수소에 몰려들었다.

144. 정류소 (停留所) [정뉴소]

한자: 停(머무를 정), 留(머무를 류), 所(바 소:)

버스나 택시 따위가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는 일정한 장소.

용례:

  • 버스 정류소.
  • 택시 정류소.
  • 손님이 뜸한 새벽차 속에선 어떻게 담배를 구해 낼 방도가 없었다. 그렇다고 어디 정류소 같은 데서 차를 내려가 사 올 수도 없었다.≪이청준, 살아 있는 늪≫

145. 정미소 (精米所) [정미소]

한자: 精(정할 정), 米(쌀 미), 所(바 소:)

쌀 찧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

용례:

  • 그는 정미소에서 쌀가마를 옮기는 일을 하였다.
  • 어머니는 수확한 벼를 건조해 정미소에서 정미하였다.
  • 싸전 옆에 정미소가 들어서 근처에 사람들이 북적거렸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46. 정비소 (整備所) [정:비소]

한자: 整(가지런할 정:), 備(갖출 비:), 所(바 소:)

기계나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보살피고 손질하는 일을 전문으로 맡아 하는 곳.

용례:

자동차 정비소.

147. 제련소 (製鍊所) [제:련소]

한자: 製(지을 제:), 鍊(쇠불릴/단련할 련:), 所(바 소:)

제련을 하는 곳.

용례:

이덕출 동무는 진남포 제련소에서 화부 일을 하고 있었소.≪홍성원, 육이오≫

148. 제본소 (製本所) [제:본소]

한자: 製(지을 제:), 本(근본 본), 所(바 소:)

제본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

용례:

제본소에 제본할 원고를 맡기다.

149. 제분소 (製粉所) [제:분소]

한자: 製(지을 제:), 粉(가루 분(:)), 所(바 소:)

곡식이나 약재 따위를 가루로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곳.

용례:

제분소 기계에서는 흰 밀가루 먼지가 풍겨 나오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150. 제작소 (製作所) [제:작쏘]

한자: 製(지을 제:), 作(지을 작), 所(바 소:)

물건이나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곳.

용례:

국립 영화 제작소.

151. 제재소 (製材所) [제:재소]

한자: 製(지을 제:), 材(재목 재), 所(바 소:)

베어 낸 나무로 재목을 만드는 곳.

용례:

  • 제재소에서 나무를 켜다.
  • 그것은…제재소에서 사 온 몇 개의 각목을 잘라 적당히 조립한 그런 지게였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152. 제철소 (製鐵所) [제:철쏘]

한자: 製(지을 제:), 鐵(쇠 철), 所(바 소:)

철광석을 용광로에 녹여 철을 뽑아내는 일을 하는 곳.

153. 조선소 (造船所) [조:선소]

한자: 造(지을 조:), 船(배 선), 所(바 소:)

배를 만들거나 고치는 곳.

154. 주소 (住所) [주:소]

한자: 住(살 주:), 所(바 소:)

「1」사람이 살고 있는 곳이나 기관, 회사 따위가 자리 잡고 있는 곳을 행정 구역으로 나타낸 이름.
「2」실질적인 생활의 근거가 되는 장소. 법인인 경우에는 주된 사무소나 본점을 이른다.
「3」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 장소의 위치.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수. 바이트(byte)를 단위로 부여한다.

용례:

  • 「1」발신인 주소.
  • 「1」주소를 바꾸다.
  • 「1」주소를 옮기다.
  • 「1」나는 정확한 주소는 모르지만 그가 살고 있는 동네는 알고 있었다.
  • 「1」형사는 용의자에게 이름, 주소 따위를 물었다.
  • 「1」아무도 그녀의 주소를 아는 사람이 없다.

155. 주식거래소 (株式去來所) [주식꺼:래소]

한자: 株(그루 주), 式(법 식), 去(갈 거:), 來(올 래(:)), 所(바 소:)

‘증권 거래소’(유가 증권의 거래를 위하여 개설되는 시장.)의 전 용어.

156. 주유소 (注油所) [주:유소]

한자: 注(부을 주:), 油(기름 유), 所(바 소:)

자동차 따위에 기름을 넣는 곳.

용례:

우리 잠깐 주유소에 들러 기름을 넣고 갑시다.

157. 주재소 (駐在所) [주:재소]

한자: 駐(머무를 주:), 在(있을 재:), 所(바 소:)

「1」파견되어 머무르는 곳.
「2」일제 강점기에, 순사가 머무르면서 사무를 맡아보던 경찰의 말단 기관. 8·15 광복 후에 지서(支署)로 고쳤다.

용례:

  • 「2」술 처먹고서 조선 놈 치고받아도 주재소 갈 염려는 없고….≪박경리, 토지≫
  • 「2」일본 말도 곧잘 해서 억울하게 주재소로 끌려간 사람이 있으면 누가 부탁하기 전에 내 일처럼 떠맡고 나서서….≪박완서, 미망≫

158. 중개업소 (仲介業所) [중개업쏘]

한자: 仲(버금 중(:)), 介(낄 개:), 業(업 업), 所(바 소:)

다른 사람의 상행위를 대리하거나 중개하는 영업을 하는 곳.

용례:

현재 중개업소에서 소개한 물건이 마음에 들어 그 자리에서 계약을 진행했다.

159. 중계소 (中繼所) [중계소/중게소]

한자: 中(가운데 중), 繼(이을 계:), 所(바 소:)

「1」중간에서 양쪽을 이어 주는 곳.
「2」중계방송을 하거나 통신을 중계하는 곳.

용례:

  • 「1」안내인은 중계소를 지날 때마다 바뀌었다.
  • 「2」주봉의 정상 부근에 통신 부대와 국영 방송국의 중계소가 있어 등산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60. 증권거래소 (證券去來所) [증꿘거:래소]

한자: 證(증거 증), 券(문서 권), 去(갈 거:), 來(올 래(:)), 所(바 소:)

유가 증권의 거래를 위하여 개설되는 시장. 주요 업무에는 시세 공표, 회원 관리 업무, 유가 증권의 상장, 매매 거래, 기업 내용 공시 따위가 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