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동일본 (東日本) [동일본]
한자: 東(동녘 동), 日(날 일), 本(근본 본)
일본의 동쪽에 있는 지역.
용례:
- 그런 점에서 이번 전시는 일본 열도 내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동일본의 조몬 토기를 감상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경향신문 2010년 10월≫
- 바이어와 점심 식사를 하고 사무실에 들어오니 비서가 동일본에서 대지진이 발생했다는 소식을 전해 줬다.≪매일경제 2011년 6월≫
47. 등기부등본 (登記簿謄本) [등기부등본]
한자: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謄(베낄 등), 本(근본 본)
부동산이나 동산, 채권 등의 담보 따위에 관한 권리관계를 적어 두는 등기부를 복사한 문서.
용례:
- 등기부 등본을 발급하다.
- 부동산 거래 시 등기부 등본과 신분증을 확인해야 한다.
48. 등본 (謄本) [등본]
한자: 謄(베낄 등), 本(근본 본)
원본의 내용을 전부 베낌. 또는 그런 서류.
용례:
- 등본을 베끼다.
- 너 이 길로 내려가서 경후의 민적을 네 자식으로 고쳐 가지고 등본을 내오너라!≪이기영, 신개지≫
49. 등사본 (謄寫本) [등사본]
한자: 謄(베낄 등), 寫(베낄 사), 本(근본 본)
등사기로 찍어서 만든 책이나 인쇄물.
용례:
선생님께서…기어이 품고 오신 동국사략 등사본을 우리 꼭 읽어 보라고 기꺼이 빌려주셨지 않냐.≪최명희, 혼불≫
50. 등초본 (謄抄本) [등초본]
한자: 謄(베낄 등), 抄(뽑을 초), 本(근본 본)
등본과 초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대법원은 2002년까지 전국의 모든 등기소를 전산망으로 연결해 전국 어디서나 다른 지역에 있는 법인의 등기부 등초본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동아일보 2000년 7월≫
- 등초본 발급부터 인감 발급 등을 위해 하루에 이곳을 찾는 사람만 1200여 명이 넘는다.≪중앙일보 2012년 9월≫
51. 망국지본 (亡國之本) [망국찌본]
한자: 亡(망할 망), 國(나라 국), 之(갈 지), 本(근본 본)
나라를 망하게 하는 근본.
용례:
자고로 뇌물이란 망국지본이니라.≪전상국, 외딴길≫
52. 모본 (母本) [모ː본]
한자: 母(어미 모:), 本(근본 본)
베끼거나 고친 것에 대하여 근본이 되는 서류나 문건 따위.
용례:
- 현대 불교에서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활자본으로 만들어진 대정 신수 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을 가장 많이 참조하는데 이 대장경의 모본도 바로 팔만대장경이다.≪동아일보 2011년 9월≫
- 이번에 기증하는 유물에는 광화문 해치상의 모본으로 추정되는 목조 사자상 두 구도 포함돼 있다.≪문화일보 2012년 10월≫
53. 모본 (模本) [모본]
한자: 模(본뜰 모), 本(근본 본)
「1」본보기가 되는 것.
「2」모양이 같은 물건을 만들기 위한 틀.
「3」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
용례:
- 「1」모본을 보고 그림을 그리다.
- 「1」전체의 구도는 모본을 따르되, 시와 평문은 가감하거나 내 자신의 것으로 대체하고….≪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54. 모험자본 (冒險資本) [모험자본]
한자: 冒(무릅쓸 모), 險(험할 험:),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위험 부담은 있지만 일반 평균 이익보다 많은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시작하거나 기존 기업에서 사업을 시작할 때에 필요로 하는 자금의 중요한 원천이 되는 자금.
용례:
- 창의적인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키우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교육 체계를 밑바탕부터 뜯어고쳐야 한다. 혁신적인 기업가를 뒷받침해 주는 모험 자본도 늘려야 하며 이를 가로막는 낡은 제도도 하루빨리 뜯어고쳐야 한다.≪매일경제 2001년 1월≫
- 금융 관련 3대 연구원은 ‘증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본 규모 확충 및 전문화·특화를 통해 모험 자본을 원활히 공급하고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뉴시스 2010년 2월≫
55. 목판본 (木版本) [목판본]
한자: 木(나무 목), 版(판목 판), 本(근본 본)
목판으로 인쇄한 책.
56. 목판인쇄본 (木版印刷本) [목판인쇄본]
한자: 木(나무 목), 版(판목 판), 印(도장 인), 刷(인쇄할 쇄:), 本(근본 본)
목판으로 인쇄한 책.
용례:
- 한지(韓紙)의 우수성은 세계 최고의 목판 인쇄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1천2백여 년의 세월을 탑 속에서 보내고도 그 형체를 오롯이 보존하고 있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입증된다.≪연합뉴스 2002년 6월≫
- 그는 목판 인쇄본 간행을 위해 목판을 직접 판각했으며, 초간본에 이어 이를 수정한 재간본을 발간했다.≪독서신문 2011년 4월≫
57. 무근본 (無根本) [무근본]
한자: 無(없을 무), 根(뿌리 근), 本(근본 본)
근본이 없음.
용례:
- OO은 ‘무근본’을 원칙으로 한다.≪이데일리 2016년 10월≫
- OO은 시험 방송에서 감자칩과 김밥을 함께 먹는 괴식을 보여 주며 무근본 요리 방송을 예고했다.≪일간스포츠 2019년 3월≫
58. 무삭제본 (無削除本) [무삭쩨본]
한자: 無(없을 무), 削(깎을 삭), 除(덜 제), 本(근본 본)
아무것도 삭제하지 않은 영화 필름, 녹음테이프, 문학 작품, 서적 따위.
용례:
- 자신의 경험을 그대로 녹여내 독일어를 사용하는 루마니아 소수 민족의 힘겨운 농촌 생활을 그려 낸 첫 작품집 ≪OO≫는 루마니아 내에서는 당국의 검열을 거쳐 출간됐으나 무삭제본이 독일로 반출되며 독일 평론가들의 호평을 이끌어 냈다.≪연합뉴스 2009년 10월≫
- 영상에서 OOO는 특유의 칼군무 종결판을 보여 주듯 카리스마의 끝을 담고 있으며 이번 안무의 포인트인 각도기와 스파이더맨 안무를 무삭제본으로 보여 주고 있어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서울신문 2011년 8월≫
59. 문고본 (文庫本) [문고본]
한자: 文(글월 문), 庫(곳집 고), 本(근본 본)
문고 형식으로 간행한 책.
용례:
- 그의 책은 문고본으로도 출간되어 많은 독자에게 읽혔다.
- 교장은 문고본인 막심 고리키의 수필집을 만지작거리면서 물었다.≪이병주, 지리산≫
60. 미본 (美本) [미:본]
한자: 美(아름다울 미(:)), 本(근본 본)
아름답게 꾸민 책.
용례:
서재에는 미본들이 잘 정리되어 있었다.
61. 미완본 (未完本) [미ː완본]
한자: 未(아닐 미(:)), 完(완전할 완), 本(근본 본)
내용이 완전히 다 이루어지지 않은 글이나 책 따위.
용례:
- 최근 내가 고서점에서 발견한 “일한 청구권 문제 참고 자료(미완본)”은 OOO 메모가 청구권 논의를 중단시킨 것에 관해 머리말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한겨레 1992년 5월≫
- 이 기사는 하나의 완결본일까,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를 숨기고 있는 미완본일까?≪경향신문 2003년 2월≫
62. 민간자본 (民間資本) [민간자본]
한자: 民(백성 민), 間(사이 간(:)), 資(재물 자), 本(근본 본)
관청이나 정부 기관에 속하지 않은 개인이나 단체의 자금.
용례:
- 22일 하역업계에 따르면 건설부가 지난 84년 민간 자본을 참여시켜 86년 완공한 OO항은 당초 설계에…각종 대소형 어선들이 접안하게 돼 있었다.≪연합뉴스 1990년 3월≫
- 하지만 국가나 자치 단체가 기반 시설만 만들고 운영 시설을 민간 자본에 맡기게 되면 해당 시설과 설비의 운영·소유권이 민간 자본에 귀속된다.≪미디어오늘 2021년 8월≫
- 이와 관련해 위원회는 정부와 민간 자본의 합작 모델을 발전시켜 더 많은 민간 자본이 공공 인프라 투자·운영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뉴스1 2022년 4월≫
63. 민본 (民本) [민본]
한자: 民(백성 민), 本(근본 본)
국민을 위주로 함.
용례:
- 민본 사상.
- 민본 정치.
64. 민중본 (民衆本) [민중본]
한자: 民(백성 민), 衆(무리 중:), 本(근본 본)
일반 민중을 위해 간행한 책.
용례:
- 23명의 필자가 모두 27편의 논문을 통해 파우스트가 처음 문자화된 민중본에서 현대의 영화에 이르기까지 문학과 미술, 음악, 영화, 연극, 컴퓨터 게임 등의 예술 장르를 넘나들며 파우스트 모티프를 흥미롭게 분석했다.≪연합뉴스 2006년 5월≫
- 괴테 이전 파우스트 문학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OOO의 민중본 <파우스트>에서도 OOO 박사를 악마와의 협력과 죄악으로 이끈 것은 ‘호기심’과 이에 상응하는 ‘앎의 욕구’였다.≪김수용, 괴테 파우스트 휴머니즘, 책세상, 2004년≫
65. 반양장본 (半洋裝本) [반ː냥장본]
한자: 半(반(半) 반:), 洋(큰바다 양), 裝(꾸밀 장), 本(근본 본)
속장을 실로 매고 겉장을 접착시켜 씌운 다음 속장과 겉장을 동시에 마무른 책.
용례:
- 2002년 반양장본을 선보였다가 판형을 바꿔 새로 나온 보급판은 두껍지만 가벼워 손에 들고 다니며 읽기 편하게 만들어졌다.≪한국일보 2007년 2월≫
- 자서전은 특별 부록 화보가 추가된 양장본과 반양장본으로 출간됐다.≪프레시안 2010년 4월≫
66. 발본 (拔本) [발본]
한자: 拔(뽑을 발), 本(근본 본)
「1」장사에서 이익을 남겨 밑천을 뽑아냄.
「2」좋지 않은 일의 근본 원인이 되는 요소를 완전히 없애 버림.
용례:
- 「2」폭력 사태의 발본을 꾀한다면 우선 사람들의 도덕심을 키워야 한다.
- 「2」친일 세력의 발본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민족정기가 훼손되었다.
67. 발췌본 (拔萃本) [발췌본]
한자: 拔(뽑을 발), 萃(모을 췌:), 本(근본 본)
책, 글 따위에서 필요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가려 뽑아낸 책이나 글.
용례:
- 얄팍한 발췌본을 제외하고 현재 이 책의 완역본을 구할 수 있는 곳은 오직 헌책방뿐이다.≪세계일보 2004년 6월≫
- 출판사에 따르면 그동안 국내에서 요약본이나 발췌본이 출간됐을 뿐 이 책의 전체가 완역돼 출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연합뉴스 2011년 7월≫
68. 방송대본 (放送臺本) [방:송대본]
한자: 放(놓을 방(:)), 送(보낼 송:), 臺(대 대), 本(근본 본)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을 위하여 사용하는 대본.
용례:
- 첫 방송에 대한 고객 반응이 기대 이상으로 좋아 앞으로는…고객이 직접 방송 대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뉴스핌 2010년 8월≫
- 국가 기록원은 지난 1950년대부터 방송된 화제의 티브이·라디오 방송 대본 1만여 권을 기증받아 영구 보존한다.≪공감코리아 2011년 11월≫
69. 배본 (配本) [배:본]
한자: 配(나눌/짝 배:), 本(근본 본)
「1」책을 배달함.
「2」출판물을 예약자에게 배부함.
용례:
- 「1」도서 배본.
- 「1」책의 배본이 늦어지다.
- 「1」배본 기일을 맞추다.
- 「2」인기 도서의 서점별 배본을 둘러싸고 경쟁이 치열하다.
70. 백표지본 (白表紙本) [백표지본]
한자: 白(흰 백), 表(겉 표), 紙(종이 지), 本(근본 본)
검정(檢定)을 위하여 출판사나 저자 따위의 정보를 알 수 없도록 겉표지를 빈 종이로 하여 제본한 책.
용례:
- 지난 4월 검정을 통과해 공식 출판을 기다리고 있는 8종도 백표지본 형태로 전시되고 있다.≪경향신문 2005년 5월≫
- 관계자는 이번에 검정 신청을 낸 교과서는 백표지본으로 심사를 하기 때문에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검정이 이뤄지는 내년 3월까지 일절 말할 수 없다며 설명을 거부했다.≪경향신문 2008년 4월≫
71. 버선본 (버선本) [버선뽄]
한자: 本(근본 본)
버선을 지을 때에 감을 떠내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종이 본.
용례:
버선까지 새로 뜨려는지 버선본과 다듬어 놓은 무명끝까지 나와 있다.≪이무영, 농민≫
72. 번역본 (飜譯本) [버녁뽄]
한자: 飜(번역할 번), 譯(번역할 역), 本(근본 본)
번역해 놓은 책.
용례:
원서를 바로 이해하기가 어려워서 번역본을 함께 읽고 있다.
73. 범본 (範本) [범:본]
한자: 範(법 범:), 本(근본 본)
옳거나 훌륭하여 배우고 따를 만한 대상.
용례:
범본이 되다.
74. 별쇄본 (別刷本) [별쐐본]
한자: 別(다를/나눌 별), 刷(인쇄할 쇄:), 本(근본 본)
책이나 논문 따위의 일부분을 뽑아서 찍은 인쇄물.
75. 보완자본 (補完資本) [보:완자본]
한자: 補(기울 보:), 完(완전할 완),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자기 자본은 아니지만, 국제 결제 은행으로부터 자기 자본으로 인정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자본. 이에는 후순위 채무, 대손 충당금, 재평가 적립금 따위가 있다.
용례:
- 여기에서 금융 감독원 규정상 보완 자본이 기본 자본을 넘지 않아야 한다.≪머니투데이 2000년 7월≫
- 이는 최근 논란이 됐던 후순위 채권과 같은 보완 자본을 구분해 자기 자본 관리를 보다 엄격히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뉴시스 2010년 6월≫
76. 보존본 (保存本) [보ː존본]
한자: 保(지킬 보(:)), 存(있을 존), 本(근본 본)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긴 책.
용례:
- 한국은행은 새로 발행된 5000원 권 가운데 한은 보존본 100장을 뺀 앞 번호 9900장에 대한 경매를 오는 19일부터 OO을 통해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세계일보 2006년 1월≫
- 도서관 보존본이 문헌학적 가치가 더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경향신문 2006년 12월≫
77. 복간본 (復刊本) [복깐본]
한자: 復(회복할 복), 刊(새길 간), 本(근본 본)
간행을 중지하거나 폐지하였다가 다시 간행한 책.
용례:
- 복간본에는 훈민정음해례본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한 한글 해설서와 국·영문 현대 역도 함께 수록돼 있다.≪내일신문 2015년 10월≫
- 현재는 절판된 일부 시집을 합쳐 올해 하반기 중으로 복간본을 발간한다는 계획이다.≪매일경제 2016년 7월≫
78. 복사본 (複寫本) [복싸본]
한자: 複(겹칠 복), 寫(베낄 사), 本(근본 본)
원본을 복사하여 만든 책이나 서류 따위.
용례:
- 원본을 구할 수 없어 복사본이라도 찾고 있다.
- 제대로 된 책이 아니라 허름한 복사본들이었는데, 개중에는 며칠 전 텔레비전에서 틀림없이 나쁜 책이라고 지적한 것도 끼어 있었다.≪최일남, 그때 말이 있었네≫
79. 복제본 (複製本) [복쩨본]
한자: 複(겹칠 복), 製(지을 제:), 本(근본 본)
본디의 것과 똑같이 만든 것.
용례:
- 서울 안국동 OO 미술관은 자체 전시 출품작 가운데 관객이 원하는 작품의 복제본을 프린트해 주는 이벤트를 열기로 했다.≪한겨레 2003년 11월≫
- OOO 씨 등은 이 프로그램 복제본 하나당 2만 원 안팎의 월 사용료를 받고 국내외 작업장에 파는 수법으로 1년 반 동안 64억 원을 챙겼다.≪한국일보 2011년 8월≫
80. 부본 (副本) [부:본]
한자: 副(버금 부:), 本(근본 본)
원본과 동일한 내용의 문서. 원본의 훼손에 대비하여 예비로 보관하거나 사무에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다.
용례:
각 지방 관리가 상부에 보고할 때에 원본과 부본을 수정하는데 부본은 쓸데가 없다 하여….≪대한매일신보≫
81. 사본 (事本) [사:본]
한자: 事(일 사:), 本(근본 본)
일의 근본. 또는 사건의 근원.
용례:
사본이 이만저만하여 도사의 아들을 죽이고 서 종사가 꾀를 이리이리 내서 아직 관속들 손에 잡히지 않고 있다고 일장 이야기를 하는데….≪홍명희, 임꺽정≫
82. 사본 (寫本) [사본]
한자: 寫(베낄 사), 本(근본 본)
「1」원본을 그대로 베낌. 또는 베낀 책이나 서류.
「2」원본을 사진으로 찍거나 복사하여 만든 책이나 서류.
용례:
- 「1」안영규는 서류를 꾸며서 먹지에 대고 베껴서 사본을 만들어 두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2」주민 등록증 사본.
- 「2」계약서 사본을 제시하다.
83. 산질본 (散帙本) [산:질본]
한자: 散(흩을 산:), 帙(책권차례 질), 本(근본 본)
질로 된 책 가운데서 몇 권이 빠지고 남아 있는 책.
용례:
≪두시언해≫ 초간본은 산질본이다.
84. 선본 (選本) [선ː본]
한자: 選(가릴 선:), 本(근본 본)
선거 기간 중에, 특정 후보 또는 정당의 선거 운동 업무를 총괄하여 처리하는 중심 조직.
용례:
- 더 직접적인 이유는 ‘대표자 선출이 목적’인 선거에서 중도 하차를 전제로 내세운 것에 대해 OO 여대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에서 선본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다.≪오마이뉴스 2002년 11월≫
- 비용 등의 문제로 이렇다 할 홍보 전략을 내놓지 못하는 선본에서는 후보자가 명함을 열심히 돌리는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미디어오늘 2004년 4월≫
85. 선장본 (線裝本) [선장본]
한자: 線(줄 선), 裝(꾸밀 장), 本(근본 본)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어 만든 책.
용례:
- 프랑스에 보관 중인 직지심체요절 금속 활자본 책의 크기는 세로와 가로 각각 24cm, 17cm이다. 다섯 구멍을 뚫고 붉은 실로 꿰맨 선장본 형태로 되어 있다.≪매일경제 2007년 11월≫
- 인사동 내 전통 표구 명인들이 직접 현장에 나와 배접과 선장본 작업 등을 시연한다.≪시엔비뉴스 2011년 5월≫
86. 소본 (小本) [소:본]
한자: 小(작을 소:), 本(근본 본)
같은 종류 가운데에서 본새가 작은 물건.
용례:
선조(先朝) 어진의 대본 둘과 소본 하나의 표제를 썼다.≪번역 순조실록≫
87. 소본 (疏本) [소본]
한자: 疏(소통할 소), 本(근본 본)
상소문의 원본.
용례:
진동이 태학생이 되어 소본을 올린바, 그 말이 몹시 도를 지나서 죽음을 당한 것은….≪번역 세종실록≫
88. 소자본 (小資本) [소:자본]
한자: 小(작을 소:),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얼마 안 되는 약간의 자본. 또는 적은 밑천.
용례:
- 소자본으로 투자 가능한 사업.
- 방직 공장은 기술도 기술이지만 자본이 양말 공장 정도의 소자본 가지고 섣불리 손댈 게 아니더라고.≪박완서, 미망≫
89. 소장본 (所藏本) [소:장본]
한자: 所(바 소:), 藏(감출 장:), 本(근본 본)
개인이나 공공 기관이 간직하고 있는 도서.
90. 소표본 (小標本) [소ː표본]
한자: 小(작을 소:), 標(표할 표), 本(근본 본)
모집단으로부터 표집을 통해 추출 또는 선정한 연구·조사의 사례나 대상이 일정 수 이하인 적은 수의 표본.
용례:
- ‘인구수 제곱근 비례 할당’ 방식은 모집단 사례 수에 제곱근을 부여해 비례 할당하는 방식으로, 지역별 표본 차이를 줄여 소표본 지역을 분석하는 데 오차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미디어오늘 2008년 7월≫
- 지역별 소표본 조사는 편차가 클 수 있습니다.≪연합뉴스 2010년 10월≫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