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수고본 (手稿本) [수고본]
한자: 手(손 수(:)), 稿(원고/볏짚 고), 本(근본 본)
저자가 손수 쓴 원고로 만든 책.
용례:
- 특히 未刊(미간)의 수고본이나 고문서 가운데에 뜻밖으로 귀중한 자료가 들어 있을 수가 있다.≪동아일보 1978년 9월≫
- 상설 전시실에는 대표적 실학 유물 130여 점이 실학자들의 가장본과 수고본을 중심으로 전시되고, 다양한 기획 전시의 개최를 통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실학사상을 소개하고 있다.≪노컷뉴스 2009년 11월≫
92. 수본 (繡本) [수:뽄]
한자: 繡(수놓을 수:), 本(근본 본)
수를 놓기 위하여 어떤 모양을 종이나 헝겊 따위에 그려 놓은 도안.
용례:
그녀가 그린 수본으로 수를 놓으면 용봉이 모두 살아 있는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한무숙, 만남≫
93. 수정본 (修訂本) [수정본]
한자: 修(닦을 수), 訂(바로잡을 정), 本(근본 본)
잘못된 글자나 문장, 내용 따위를 고친 원고. 또는 그런 책.
용례:
- 보고서는 초안과 1차, 2차 수정본, 최종본 순으로 3차례 고쳐졌다.≪연합뉴스 1999년 7월≫
- 수능 강의 교재 오류로 인해 정오표 책, 수정본 등을 발행하면서 발생한 추가 비용도 지난해의 8배를 넘어섰다.≪뉴시스 2011년 10월≫
94. 수택본 (手澤本) [수택뽄]
한자: 手(손 수(:)), 澤(못 택), 本(근본 본)
「1」되풀이하여 읽어서 그 사람의 손때가 묻은 책.
「2」생전에 소중히 여기던 책.
「3」어떤 사람이 여러 가지 것을 참고로 써넣은 책.
95. 시쇄본 (試刷本) [시ː쇄본]
한자: 試(시험 시(:)), 刷(인쇄할 쇄:), 本(근본 본)
본인쇄를 하기 전에 시험적으로 찍어 낸 인쇄물.
용례:
- OO 지법은 23일 세무사 자격시험에 응시한 임모 씨 등 884명이 “인쇄 총괄 담당 공무원이 시쇄본 검토를 소홀히 해 잘못 인쇄된 문제지로 시험을 치르는 바람에 정신적인 고통을 당했다.”라며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 배상 청구 소송에서 “피고는 원고들에게 30만 원씩을 지급하라.”라고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파이낸셜뉴스 2007년 8월≫
- ≪OO≫는…이 연구소의 노력으로 이미 1972년에 시쇄본이 나왔다.≪프레시안 2011년 12월≫
96. 신본 (新本) [신본]
한자: 新(새 신), 本(근본 본)
「1」새로 간행한 책.
「2」새 책.
용례:
「2」파손된 책을 신본으로 바꿔 주다.
97. 신활자본 (新活字本) [신활짜본]
한자: 新(새 신), 活(살 활), 字(글자 자), 本(근본 본)
대한 제국 때부터 썼던 근대의 신식 납 활자로 인쇄한 책.
용례:
- 한글본으로는 손으로 쓴 필사본 7~8종과 3종의 목판본, 1915~1959년에 나온 신활자본 20종이 전한다.≪소년한국일보 2009년 7월≫
- 선조에 의해 간행된 갑인자본 매월당집은…갑인자본에 보유편을 붙여서 후손인 OOO가 편찬한 신활자본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세계일보 2011년 6월≫
98. 안태본 (安胎本) [안태본]
한자: 安(편안 안), 胎(아이밸 태), 本(근본 본)
태중에 있을 때부터 가지는 본관. 선조 때부터의 고향을 이른다.
용례:
- 너의 안태본은 어디냐?
- 옛날 가야국의 자리인 김해가 안태본이라 해서 가야 부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지만….≪김정한, 수라도≫
99. 암본 (암本) [암본]
한자: 本(근본 본)
무엇을 찍거나 부어 내기 위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우묵하게 파서 만든 본.
용례:
암본을 뜨다.
100. 양장본 (洋裝本) [양장본]
한자: 洋(큰바다 양), 裝(꾸밀 장), 本(근본 본)
서양식으로 장정한 책.
101. 연재본 (連載本) [연재본]
한자: 連(이을 련), 載(실을 재:), 本(근본 본)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여러 차례로 나누어서 계속하여 싣는 글 또는 만화.
용례:
- 이 책은 국내에서만 이미 100만 부 이상 팔려 나간 OO의 연재본으로 ‘설득’의 50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는 작품이다.≪아이뉴스24 2008년 7월≫
- O 교수는 “생전의 작가가 자신의 연재본을 기준으로 삼아 달라고 부탁했다.”라며 “1차 작업을 끝냈고 지난해부터 몇몇 후배 연구자들이 신판 출간을 위한 교정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정본 확정을 위해서는 보다 학술적으로 면밀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경향신문 2012년 1월≫
102. 영사본 (影寫本) [영:사본]
한자: 影(그림자 영:), 寫(베낄 사), 本(근본 본)
원본을 얇은 종이 밑에 비치도록 놓고 그 위에 덧그려 원본과 같이 만든 책이나 도안.
용례:
이것은 원본이 아니라 영사본이다.
103. 영역본 (英譯本) [영역뽄]
한자: 英(꽃부리 영), 譯(번역할 역), 本(근본 본)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한 인쇄물.
용례:
- OO은 그동안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에서 출간되어 현지 언론과 문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은 바 있는데 영역본은 이번이 처음이며 초판 6천 부가 발행됐다.≪연합뉴스 1995년 8월≫
- 스웨덴어가 아닌 영역본에서 중역을 한 이 책은 그와 친분이 있는 OOO 시인의 감수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한겨레 2011년 10월≫
104. 예의본 (例義本) [예ː이본]
한자: 例(법식 례:), 義(옳을 의:), 本(근본 본)
훈민정음의 예의 부분만 따로 실은 책.
용례:
- 차라리 천자문 대신에…훈민정음 예의본을 새겨 ‘한글 길’로 조성하는 것이 교육적으로도 훨씬 나을 것이다.≪부산일보 2007년 2월≫
- 익선관의 제작 시기가 1444년 이전으로 추정되는 만큼 훈민정음 예의본과 해례본이 만들어진 시기 사이에 제작된 해례본 제자해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한겨레 2013년 2월≫
105. 옷본 (옷本) [옫뽄]
한자: 本(근본 본)
옷을 지을 때 옷감을 그대로 마를 수 있도록 본보기로 오려 만든 종이.
용례:
- 옷본 도안.
- 그녀는 옷본을 천에 대고 선을 그었다.
106. 완간본 (完刊本) [완간본]
한자: 完(완전할 완), 刊(새길 간), 本(근본 본)
빠진 것 없이 모두 발간한 총서나 전집 따위.
용례:
- 연극 평론가 OOO 교수는 작가의 완간본이 나왔다는 것은 개인의 유산에서 사회의 유산으로 넘어가는 계기가 될 정도로 중요한 일이라며 연극계에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했다.≪한겨레 2009년 12월≫
- 이번에 출간된 완간본은 기존에 출간된 1~26권을 출간 시기별로 합본하고 여기에 신간 27~30권을 더한 11권의 양장본이다.≪서울경제 2010년 4월≫
107. 완결본 (完結本) [완결본]
한자: 完(완전할 완), 結(맺을 결), 本(근본 본)
완전하게 끝을 맺은 원고나 책.
용례:
- 이 기사는 하나의 완결본일까,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를 숨기고 있는 미완본일까?≪경향신문 2003년 2월≫
- 전 세계 신화를 집대성한 신화 대백과사전이자 호주의 다양한 신화 전문가들이 공동 집필한 신화에 관한 완결본이라 할 수 있는 책이다.≪문화일보 2009년 12월≫
108. 완본 (完本) [완본]
한자: 完(완전할 완), 本(근본 본)
한 질을 이루고 있는 책에서 권수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책.
109. 완성본 (完成本) [완성본]
한자: 完(완전할 완), 成(이룰 성), 本(근본 본)
내용이 완전히 다 이루어진 글이나 예술 작품.
용례:
- 이번 공연은 영국의 음악학자 OOO의 완성본으로 연주된다.≪연합뉴스 2010년 9월≫
- 현재 전하는 책이 그 완성본인지 여부는 단정하기 어렵다.≪임형택,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2007년≫
110. 완역본 (完譯本) [와녁뽄]
한자: 完(완전할 완), 譯(번역할 역), 本(근본 본)
전체를 완전하게 번역해 놓은 책.
용례:
- 세계 1차 대전이 끝날 즈음인 1918년에 출간된 이 책은 그동안 국내에서도 수차례 문고판으로 번역된 적이 있으나 완역본이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연합뉴스 1995년 7월≫
- 현재 한글 표준어 번역 작업 중이며, 조만간 일반 독자들이 쉽게 충무공의 지략을 이해할 수 있도록 완역본이 보급될 예정이다.≪이코노믹리뷰 2010년 10월≫
111. 외국자본 (外國資本) [외:국짜본]
한자: 外(바깥 외:), 國(나라 국),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외국이나 외국인이 투자한 자본. 주식, 사채, 채권, 대부금 따위의 형태가 있다.
112. 요약본 (要約本) [요약뽄]
한자: 要(요긴할 요(:)), 約(맺을 약), 本(근본 본)
말이나 글의 요점을 잡아서 간추린 글이나 책.
용례:
- 이 합의 요지는 최종 서명자의 날인이 있는 전문(全文) 형태가 아니라 7개 항으로 요약된 합의문 전문의 요약본에 해당하는 것이다.≪연합뉴스 1995년 6월≫
- 만화로 된 고전과 문학서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원전과 단행본은 자리를 잃게 됐다. 고전이 만화로 혹은 요약본으로 하루가 멀다 하고 계속 쏟아지는 것은 저자들이 독자의 눈높이에 맞추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독자가 요약본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원전을 읽기에는 시간이 부족해서, 계속 다른 요약본을 찾는 이유는 내용이 만족스럽지 못해서일 것이다.≪신동아 2010년 1월≫
113. 원본 (原本) [원본]
한자: 原(언덕 원), 本(근본 본)
「1」여러 차례 간행된 책에서 맨 처음 간행된 책.
「2」베끼거나 고친 것에 대하여 근본이 되는 서류나 문건 따위.
「3」개정, 번역 따위를 하기 전 본디의 서류나 책.
「4」서류를
작성하는 사람이 그 내용을 확정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최초에 작성한 서류. 정본·등본·사본의 기본이 된다. 서류를 작성한 사람이 서명·날인하여야 하며, 공문서의 경우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용례:
- 「2」원본을 보고 베끼다.
- 「2」이 사본은 원본을 그대로 복사한 것입니다.
- 「3」고문 서고에는 북경 주교에게 보낸 서한의 한문 원본은 보이지 않고 포르투갈 역문이 남아 있다.≪한무숙, 만남≫
- 「3」그 보자기엔 번역한 원고와 함께 마르쿠제의 원본이 들어 있는 것이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14. 유일본 (唯一本) [유일본]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本(근본 본)
오직 하나밖에 없는 책.
용례:
- 이밖에 대부분의 문서들이 국내에 없는 유일본이거나 희귀본들이어서 당시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연합뉴스 1993년 9월≫
- 100년 만에 일본에서 돌아온 조선 왕조 도서 가운데 국내 유일본이 5종 34책인 것으로 확인됐다.≪동아일보 2011년 11월≫
115. 유출본 (流出本) [유출본]
한자: 流(흐를 류), 出(날[生] 출), 本(근본 본)
불법적으로 나라나 조직의 밖으로 나간 서류나 책 따위를 이르는 말.
용례:
- 그는 “전체 유출본의 95%가량을 찾아내 목록화한 만큼 이 작업이 조선학을 공부하는 세계 여러 나라 학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세계일보 2006년 5월≫
- 서점 관계자는 “미국과 영국에서도 이미 유출본이 암암리에 판매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이미 상당수 서점에서 판매에 들어갔다.”라며 “어떤 경로로 유출됐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물량도 많이 구비돼 있다.”라고 말했다.≪뉴시스 2007년 7월≫
116. 육본 (陸本) [육뽄]
한자: 陸(뭍 륙), 本(근본 본)
‘육군 본부’(국방부 소속으로, 육군의 운영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는 육군의 최고 지휘 기관.)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전방 사단에서 모여든 연대장급 장교만도 무려 사십여 명의 엄청난 숫자에 달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육본의 소집으로 오늘 갑자기 서울로 출두한 지휘관들이다.≪홍성원, 육이오≫
117. 이본 (異本) [이:본]
한자: 異(다를 이:), 本(근본 본)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118. 인생독본 (人生讀本) [인생독뽄]
한자: 人(사람 인), 生(날 생), 讀(읽을 독), 本(근본 본)
인생의 목적 및 그 가치를 일깨우고, 살아가는 지혜를 가르친 책.
용례:
너라는 그 존재 자체도 수만 수억의 네 이웃을 말살하고 현출된 우연이라는 것은 인생독본의 첫 장에 실려 있는 사실이다.≪장용학, 역성 서설≫
119. 인쇄본 (印刷本) [인쇄본]
한자: 印(도장 인), 刷(인쇄할 쇄:), 本(근본 본)
잉크나 먹물을 사용하여 판면(版面)에 그려져 있는 글이나 그림 따위를 종이, 천 따위에 박아 낸 책.
용례:
- 논문 심사를 받으려면 다음 주까지 논문 인쇄본 세 부를 학교에 제출해야 한다.
- 계유자는 현재 전하는 활자는 없고 ≪허난설헌집≫과 같은 인쇄본으로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120. 인체표본 (人體標本) [인체표본]
한자: 人(사람 인), 體(몸 체), 標(표할 표), 本(근본 본)
인체의 겉모양과 구조를 살펴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표본.
용례:
- 인체의 살아 있는 모습을 복원한 20여 점의 인체 표본과 180여 점에 이르는 부분 장기 표본이 학생들에게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인체의 아름다움과 신비를 전한다.≪매일경제 2002년 6월≫
- 일제 시대에 일본 경찰이 부검해 적출한 인체 표본을 보관하지 말고 폐기하라는 법원의 결정이 나왔다.≪연합뉴스 2010년 6월≫
121. 일본 (一本) [일본]
한자: 一(한 일), 本(근본 본)
「1」다른 책. 또는 어느 책.
「2」자라 온 환경이나 혈통.
용례:
「1」나는 같은 내용을 담은 일본이 서점에 있는 것을 보았다.
122. 일본 (日本) [일본]
한자: 日(날 일), 本(근본 본)
아시아 동쪽 끝에 있는 입헌 군주국. 일본 열도를 이루는 홋카이도(北海道)·혼슈(本州)·시코쿠(四國)·규슈(九州) 및 그 부속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섬나라로, 1867년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자본주의적 군주 국가로서 급속히 발전하였다. 농업과 공업, 전자 산업이 발달하여 경제 수준이 높으며, 일본어를 사용하고 한자와 가나를 쓴다. 수도는 도쿄, 면적은 37만 7800㎢.
123. 자본 (資本) [자본]
한자: 資(재물 자), 本(근본 본)
「1」장사나 사업 따위의 기본이 되는 돈.
「2」상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생산 수단이나 노동력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1」자본을 마련하다.
- 「1」자본이 부족하다.
- 「1」자본이 달리다.
- 「1」아버지는 퇴직금을 자본으로 작은 식당을 경영하기로 하셨다.
- 「1」그전부터 아버지에게 독자적으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자본을 대 달라고 조르고 있었거든.≪백도기, 청동의 뱀≫
124. 장본 (張本) [장본]
한자: 張(베풀 장), 本(근본 본)
「1」어떤 일이 크게 벌어지게 되는 근원.
「2」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용례:
- 「1」술은 일만 악의 장본이다.
- 「1」모든 고통을 웃으며 받는다는 건 모르지만, 헤프게 웃기만 하는 것도 큰일 날 장본인 줄 아네.≪심훈, 영원의 미소≫
- 「1」잔치를 줄이시고 검소하게 지내시옵소서. 이것이 어진 임금이 백성을 다스리는 장본이오이다.≪박종화, 금삼의 피≫
- 「2」그는 나에게 일을 주선해 준 장본이면서 좀 비약해서 말한다면 나에게 자유를 준 친구였다.≪김용성, 도둑 일기≫
125. 재본 (財本) [재본]
한자: 財(재물 재), 本(근본 본)
재화나 자금이 나올 원천.
용례:
- 자금을 대 줄 재본을 마련하다.
- 국민이 내는 세금은 국가의 재본이다.
126. 전승본 (傳承本) [전승본]
한자: 傳(전할 전), 承(이을 승), 本(근본 본)
원본을 이어받아 계승한 서류나 문서.
용례:
지금까지 채록된 자료는 중부 지역 전승본과 경남 지역 전승본으로 대별된다.
127. 정본 (正本) [정:본]
한자: 正(바를 정(:)), 本(근본 본)
「1」문서의 원본을 부본이나 전사(轉寫)한 것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판결의 원본을 토대로 공증 권한을 갖는 공무원이 작성한 것으로, 원본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는 문서.
용례:
「1」정본을 제출하다.
128. 정본 (定本) [정:본]
한자: 定(정할 정:), 本(근본 본)
「1」고전의 여러 이본 가운데, 검토하고 교정하여 원본과 가장 가깝다고 판단한, 표준이 될 만한 책.
「2」저자가 손질한 결정판.
용례:
「1」정본으로 삼다.
129. 제본 (製本) [제:본]
한자: 製(지을 제:), 本(근본 본)
「1」낱장으로 되어 있는 원고나 화고(畫稿), 인쇄물, 백지 따위를 차례에 따라 실이나 철사로 매고 표지를 붙여 한 권의 책으로 꾸미는 일.
「2」만든 물건의 본보기.
용례:
「1」제본 상태가 좋지 않아 책장이 떨어진다.
130. 주민등록등본 (住民登錄謄本) [주:민등록뜽본]
한자: 住(살 주:), 民(백성 민),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謄(베낄 등), 本(근본 본)
주민 등록 원본의 전부를 복사한 증명 서류.
용례:
주민 등록 등본 한 통을 떼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