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소정 (素定) [소정]
한자: 素(본디/흴[白] 소(:)), 定(정할 정:)
본래부터 작정함.
용례:
모든 일은 소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42. 신사협정 (紳士協定) [신:사협쩡]
한자: 紳(띠[帶] 신:), 士(선비 사:), 協(화할 협), 定(정할 정:)
「1」법적 구속력을 갖지 아니하는 비공식적인 국제 협정.
「2」서로 상대편을 믿고 맺는 사적인 비밀 협정.
용례:
「2」같은 입장에서 협정, 신사협정을 맺자. 알겠느냐? 나도 너희도 아무 짓도 안 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43. 신정 (新定) [신정]
한자: 新(새 신), 定(정할 정:)
새로 정함.
용례:
신정 법규.
44. 안정 (安定) [안정]
한자: 安(편안 안), 定(정할 정:)
「1」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함.
「2」중심이 물체의 바닥 한가운데에 있어서, 어떤 외부의 힘에 의하여 약간의 변화를 받기는 하여도 원래의 상태로부터 별로 벗어나지 아니하고
일정한 범위 안에 있는 상태. 또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는 일.
「3」단체(單體)나 화합물이 화학 변화를 쉽게 일으키지 아니하거나 반응 속도가 느린 상태.
용례:
- 「1」증시 안정.
- 「1」안정을 잃다.
- 「1」정치적 안정을 꾀하다.
- 「1」사회의 안정을 유지하다.
- 「1」국가의 안정을 이루다.
- 「1」심신의 안정을 취하다.
- 「1」아직도 세계 곳곳에는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들이 도사리고 있다.
- 「1」정부는 장마 후 농축산물 수급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5. 약정 (約定) [약쩡]
한자: 約(맺을 약), 定(정할 정:)
「1」어떤 일을 약속하여 정함.
「2」증권 시장에서, 거래원 사이에 증권의 매매가 성립되는 일.
용례:
- 「1」2년의 약정 기간이 끝나다.
- 「1」한번 약정을 했으면 지켜야지.
- 「1」일을 시작하면 다시 우리가 돌리기로 약정이 안 됐습니까?≪이호철, 소시민≫
- 「2」해외 주식 배당 약정 신청.
46. 예정 (豫定) [예:정]
한자: 豫(미리 예:), 定(정할 정:)
앞으로 일어날 일이나 해야 할 일을 미리 정하거나 생각함.
용례:
- 도착 예정 시각.
- 일이 예정대로 진행되다.
- 여행이 예정보다 길어질 것 같다.
- 그들은 일주일 예정으로 해외여행을 떠났다.
- 공사는 그럭저럭 끝났다 해도 일의 결과는 처음 예정과는 딴판으로 되어 가고 있질 않습니까.≪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47. 완정 (完定) [완정]
한자: 完(완전할 완), 定(정할 정:)
완전히 결정함.
용례:
천왕동이는 혼인 완정을 뒷날로 미루려고 생각하고 왔었는데….≪홍명희, 임꺽정≫
48. 요정 (了定) [요:정]
한자: 了(마칠 료:), 定(정할 정:)
결판을 내어 끝마침.
용례:
- 요정이 나다.
- 요정 짓다.
- 방원은 감옥에서 생각하기를, 나가기만 하면 연놈을 죽여 버리고 제가 죽든지 무슨 요정을 내리라 하였다.≪나도향, 물레방아≫
49. 월정 (月定) [월쩡]
한자: 月(달 월), 定(정할 정:)
달마다 정하여 놓음.
용례:
- 월정 구독료.
- 월정 급여.
- 경호가 그날 회사로 출근한 이후로는 다시 돌아오지 않고 과붓집 음식점에 월정 기숙을 했다는 소문이 전파되자….≪이기영, 고향≫
- 물상 선생이 월정 고사 답안을 채점하다 어이없다는 듯 소리를 지르고는 껄껄 웃는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50. 인정 (人定) [인정]
한자: 人(사람 인), 定(정할 정:)
조선 시대에, 밤에 통행을 금지하기 위하여 종을 28번 치던 일.
용례:
조금만 더 참읍시오. 아직 때가 덜 됐습니다. 인정이 돼야 합니다.≪박종화, 다정불심≫
51. 인정 (認定) [인정]
한자: 認(알[知] 인), 定(정할 정:)
「1」확실히 그렇다고 여김.
「2」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어떤 사실의 존재 여부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결정함.
용례:
- 「1」소유권 인정.
- 「1」자치 의회의 입법권 인정 여부를 협상하다.
- 「1」나는 그의 성실성만은 인정을 해 주고 싶어.
52. 일정 (一定) [일쩡]
한자: 一(한 일), 定(정할 정:)
어떤 것의 크기, 모양, 범위, 시간 따위가 하나로 정하여져 있음.
용례:
- 일정 기준에 도달하다.
- 일정 기간이 지나면 무효가 됩니다.
- 일정 금액을 내시면 등록이 됩니다.
53. 임금협정 (賃金協定) [임:금협쩡]
한자: 賃(품삯 임:), 金(쇠 금), 協(화할 협), 定(정할 정:)
임금에 관한 노사 간의 협정.
용례:
임금 협정을 체결하다.
54. 작정 (作定) [작쩡]
한자: 作(지을 작), 定(정할 정:)
일을 어떻게 하기로 결정함. 또는 그런 결정.
용례:
- 작정을 내리다.
- 작정을 세우다.
- 나는 내일부터 아침마다 운동을 할 작정이다.
- 그는 시간을 끌 작정으로 계속 딴청을 피웠다.
- 그는 광부가 될 작정으로 탄광에 갔다.
- 어디로 간다는 작정도 없이 집을 나섰다.
- 앞으로 무슨 일을 할 작정인가?
55. 잠정 (暫定) [잠정]
한자: 暫(잠깐 잠(:)), 定(정할 정:)
임시로 정함.
용례:
- 잠정 사항.
- 잠정 조처.
- 정식 선거에 의하여 정식 인민 대표자 대회가 성립될 때까지 잠정 인민 대표자 대회를 소집하여 이것을 최고 권력 기관으로 함.≪이병주, 지리산≫
56. 재결정 (再決定) [재:결쩡]
한자: 再(두 재:), 決(결단할 결), 定(정할 정:)
한 번 결정했던 일을 다시 결정함.
용례:
- 그 안건에 대한 재결정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 원래 정해졌던 규정 그대로 시행하기로 재결정을 내렸다.
57. 재배정 (再配定) [재:배정]
한자: 再(두 재:), 配(나눌/짝 배:), 定(정할 정:)
「1」한 번 몫을 정하여 나눈 것을 취소하고 새롭게 몫을 정하여 나눔.
「2」큰 단위로 나누어진 몫을 각 단위 안에서 다시 작은 단위로 몫을 정하여 나눔.
용례:
「1」회원들은 예산의 배정에 문제가 있다며 재배정을 요구했다.
58. 재정 (裁定) [재정]
한자: 裁(옷마를 재), 定(정할 정:)
「1」일의 옳고 그름을 따져서 결정함.
「2」증권 거래에서, 두 개의 증권 시장에서 같은 증권의 가격이 서로 다를 때에 그 증권을 반대로 매매함으로써 생기는 차액을 취득함. 또는 그런
거래.
「3」광석의 값어치를 구입자와 판매자가 서로 달리 볼 때에, 이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삼자가 그 값어치를 매기는 일.
용례:
- 「1」재정을 요청하다.
- 「1」우리 회사에서는 공정 거래 위원회의 재정에 승복하여 사과 광고를 내기로 했다.
59. 재판정 (再判定) [재:판정]
한자: 再(두 재:), 判(판단할 판), 定(정할 정:)
다시 판정함. 또는 그런 판정.
60. 전정 (剪定) [전:정]
한자: 剪(가위 전(:)), 定(정할 정:)
식물의 겉모양을 고르게 하고 웃자람을 막으며, 과실나무 따위의 생산을 늘리기 위하여 곁가지 따위를 자르고 다듬는 일.
용례:
오랫동안 전정도 해 주지 않고 제멋대로 내버려둔 가지들이 마구 뻗어 나와 길을 막기 때문에….≪황순원, 카인의 후예≫
61. 전정 (翦定) [전:정]
한자: 翦(자를 전), 定(정할 정:)
식물의 겉모양을 고르게 하고 웃자람을 막으며, 과실나무 따위의 생산을 늘리기 위하여 곁가지 따위를 자르고 다듬는 일.
용례:
오랫동안 전정도 해 주지 않고 제멋대로 내버려둔 가지들이 마구 뻗어 나와 길을 막기 때문에….≪황순원, 카인의 후예≫
62. 제정 (制定) [제:정]
한자: 制(절제할 제:), 定(정할 정:)
제도나 법률 따위를 만들어서 정함.
용례:
- 법 제정.
- 법률의 제정은 법률안의 제안, 의결, 공포의 절차를 밟아서 이루어진다.
- 김치삼은 1948년 7월 17일에 제정 공포된 구헌법에 무척이나 흥미를 느꼈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63. 좌정 (坐定) [좌:정]
한자: 坐(앉을 좌:), 定(정할 정:)
「1」자리 잡아 앉음. 남을 높일 때나 점잖게 이를 때에 쓴다.
「2」자리를 잡고 앉아 일을 봄.
용례:
「1」정 사장은 안방 아랫목에 좌정을 하면서 대꾸를 하였다.≪염상섭, 지평선≫
64. 지정 (指定) [지정]
한자: 指(가리킬 지), 定(정할 정:)
「1」가리키어 확실하게 정함.
「2」관공서, 학교, 회사, 개인 등이 어떤 것에 특정한 자격을 줌.
용례:
- 「1」지정 좌석에 앉으시오.
- 「2」지정 병원.
- 「2」국보 지정.
65. 질정 (質定) [질쩡]
한자: 質(바탕 질), 定(정할 정:)
갈피를 잡아서 분명하게 정함.
용례:
- 어찌할지 질정이 없다.
- 염상진은 두어 발짝 뒤처져 걸으며 여러 갈피의 생각들을 질정 없이 떠올렸다가 버리고는 했다.≪조정래, 태백산맥≫
66. 창정 (創定) [창:정]
한자: 創(비롯할 창:), 定(정할 정:)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정함.
용례:
개혁을 위한 법과 제도의 창정이 시급하다.
67. 책정 (策定) [책쩡]
한자: 策(꾀 책), 定(정할 정:)
계획이나 방책을 세워 결정함.
용례:
- 예산 책정이 늦어지다.
- 사원들의 휴가비는 미리 책정을 해 두었다.
68. 추정 (推定) [추정]
한자: 推(밀 추), 定(정할 정:)
「1」미루어 생각하여 판정함.
「2」확실하지 않은 사실을 그 반대 증거가 제시될 때까지 진실한 것으로 인정하여 법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일.
「3」통계에서, 어떤 모집단(母集團)으로부터 뽑아낸
표본을 바탕으로 하여 그 모집단의 평균·분산 따위를 헤아리는 일.
용례:
- 「1」추정 보도.
- 「1」그 과학자는 자신의 추정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 「1」현재까지 추정으로는 부상자 57명, 사망자가 28명 정도입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69. 측정 (測定) [측쩡]
한자: 測(헤아릴 측), 定(정할 정:)
「1」일정한 양을 기준으로 하여 같은 종류의 다른 양의 크기를 잼. 기계나 장치를 사용하여 재기도 한다.
「2」헤아려 결정함.
용례:
- 「1」무게 측정.
- 「1」음주 측정.
- 「1」수심 측정.
- 「1」수질 측정.
- 「1」사고력 측정.
- 「1」혈압 측정.
- 「1」한강의 오염도 측정.
- 「1」거리 측정이 잘못되다.
70. 특정 (特定) [특쩡]
한자: 特(특별할 특), 定(정할 정:)
특별히 지정함.
용례:
- 특정 계층.
- 특정 인물.
- 특정 지역.
- 고객의 특정 정보를 유출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71. 판정 (判定) [판정]
한자: 判(판단할 판), 定(정할 정:)
판별하여 결정함.
용례:
- 판정 기준.
- 판정을 내리다.
- 심판의 판정에 따르다.
- 그는 심판의 판정에 불복하였다.
- 그는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72. 평정 (平定) [평정]
한자: 平(평평할 평), 定(정할 정:)
「1」반란이나 소요를 누르고 평온하게 진정함.
「2」적을 쳐서 자기에게 예속되게 함.
용례:
- 「1」게릴라 평정.
- 「2」반란 평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상을 내렸다.
73. 평정 (評定) [평:정]
한자: 評(평할 평:), 定(정할 정:)
평가하여 결정함.
용례:
근무 태도 평정.
74. 필적감정 (筆跡鑑定) [필쩍깜정]
한자: 筆(붓 필), 跡(발자취 적), 鑑(거울 감), 定(정할 정:)
필적을 조사하여 그와 관련된 판단이나 의견을 진술하는 일. 일반적으로 범죄 감식에 쓰이는데, 발신인 불명의 협박 문서나 위조문서의 필적이 용의자의 것인가를 배자(配字) 형태, 필세(筆勢), 필순, 자획 형태, 자획 구성 따위의 특성을 비교·대조하여 종합적으로 판정한다.
용례:
- 필적 감정 전문가.
- 검찰은 국립 과학 수사 연구소에다 그 편지의 필적 감정을 의뢰했다.
75. 필정 (必定) [필쩡]
한자: 必(반드시 필), 定(정할 정:)
반드시 그렇게 됨.
용례:
강물은 창일하여 언덕 밑으로 굴러만 내리면 수장(水葬)은 필정의 운명이었다.≪변영로, 명정 40년≫
76. 한정 (限定) [한:정]
한자: 限(한할 한:), 定(정할 정:)
「1」수량이나 범위 따위를 제한하여 정함. 또는 그런 한도.
「2」어떤 개념이나 범위를 명확히 하거나 범위를 확실히 함. 사고의 대상이 되는 성질이나 한계를 확실히 정하여 그것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일로, 개념의 외연을 좁히고 내포를 넓히는 일을 이른다.
용례:
- 「1」한정 수량.
- 「1」한정 인원.
- 「1」한정 판매.
77. 협정 (協定) [협쩡]
한자: 協(화할 협), 定(정할 정:)
「1」서로 의논하여 결정함.
「2」행정부가 그 행정권에 속하는 사항에 관하여 다른 나라의 정부와 약정을 맺음. 또는 그 약정. 국제법상의 효력은 조약과 같으나 엄격한 형식을 취하지 않으며,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합의에 쓴다.
용례:
- 「1」오택부와는 외조카로서 협정을 맺고, 자수를 하면 사상 관계도 간단히 해결될 수도 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 「1」안 돼. 이건 별 뾰족한 수가 없는 일이야. 협정을 위반한 잘못은 이쪽에 있으니까.≪김용성, 도둑 일기≫
- 「2」한일 어업 협정.
- 「2」협정을 체결하다.
78. 확정 (確定) [확쩡]
한자: 確(굳을 확), 定(정할 정:)
일을 확실하게 정함.
용례:
- 대학 입시 요강 확정.
- 확정을 내리다.
- 확정을 짓다.
- 시험 일자가 아직 확정이 안 되었다.
79. 획정 (劃定) [획쩡]
한자: 劃(그을 획), 定(정할 정:)
경계 따위를 명확히 구별하여 정함.
용례:
- 경계 획정.
- 선거구 획정.
80. 휴전협정 (休戰協定) [휴전협쩡]
한자: 休(쉴 휴), 戰(싸움 전:), 協(화할 협), 定(정할 정:)
「1」휴전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교전국 간의 서면에 의한 합의.
「2」3년 동안에 걸친 6·25 전쟁의 전투 행위를 중지하기로 한 협정. 1953년 7월 27일 유엔군 측과 북한 측 사이에
조인되었으며, 군사 분계선과 비무장 지대의 확정, 정전(停戰)의 구체적 조치, 전쟁 포로에 관한 조치 따위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定 정할 정: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