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足 발 족

1. 고족 (高足) [고족]

한자: 高(높을 고), 足(발 족)

학식과 품행이 뛰어난 제자.

용례:

그 스승 밑에는 많은 고족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의상은 두각을 나타내는 제자였다.

2. 과부족 (過不足) [과:부족]

한자: 過(지날 과:), 不(아닐 불), 足(발 족)

기준에 넘거나 모자람.

용례:

  • 과부족이 없이 꼭 들어맞다.
  • 내 여기 온 지도 얼마 안 되고 이곳 물정도 생소하여 상벌에 과부족이 없는지 염려된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3. 금족 (禁足) [금:족]

한자: 禁(금할 금:), 足(발 족)

「1」일정한 곳에 머무르게 하고 외출을 못하게 함.
「2」결제(結制)할 때 드나들지 못하게 하는 일. 절의 방문 밖 문지방 왼쪽에 써 붙인다.

용례:

  • 「1」금족을 시키다.
  • 「1」오 도령은 한 번 나간 뒤로 발걸음을 못했으나, 연연한 정은 도무지 잊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금족을 당한 터에 맘대로 만날 수도 없고, 그대로 참자니 살이 내릴 지경이다.≪이기영, 봄≫

4. 급족 (急足) [급쪽]

한자: 急(급할 급), 足(발 족)

예전에, 급한 소식을 전하는 심부름꾼을 이르던 말.

용례:

군수는 군민의 사상을 얼추 조사한 뒤 곧 급족을 띄워서 포도청과 경기 감영에 보하고….≪홍명희, 임꺽정≫

5. 두족 (頭足) [두족]

한자: 頭(머리 두), 足(발 족)

「1」소, 돼지 따위의 머리와 발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연체동물문 두족강에 속하는 동물의 발.

용례:

「1」소 한 마리가 사각과 두족으로 동강이 나 놓여 있고….≪전광용, 흑산도≫

6. 만족 (滿足) [만족]

한자: 滿(찰 만(:)), 足(발 족)

「1」마음에 흡족함.
「2」모자람이 없이 넉넉함.

용례:

  • 「1」가격 만족.
  • 「1」그는 아이를 돌보는 일에서 만족을 얻는다.
  • 「1」추위만 웬만큼 가릴 수 있다면 그것으로 그는 아주 만족이었다.≪윤흥길, 완장≫
  • 「1」여자의 마음을 새삼스레 인제야 안 듯싶은 만족과 감격을 느꼈다.≪염상섭, 취우≫
  • 「2」생활의 만족.

7. 무족 (無足) [무족]

한자: 無(없을 무), 足(발 족)

길이가 짧아서 발까지 내려오지 않는다는 뜻에서, ‘무지기’(부녀자들이 명절이나 잔치 때에 겉치마가 부풀어 오르게 보이려고 치마 속에 입던 통치마의 하나.)를 이르는 말.

용례:

무족 치마.

8. 발족 (發足) [발쪽]

한자: 發(필 발), 足(발 족)

어떤 조직체가 새로 만들어져서 일이 시작됨. 또는 그렇게 일을 시작함.

용례:

  • 기념사업회의 발족으로 여러 행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 경무청은 발족 이래의 성시를 이루고 말았다. 사건은 확대되고 정계는 술렁거렸다.≪유주현, 대한 제국≫

9. 부족 (不足) [부족]

한자: 不(아닐 불), 足(발 족)

필요한 양이나 기준에 미치지 못해 충분하지 아니함.

용례:

  • 시간 부족.
  • 예산 부족.
  • 일손 부족.
  • 자금 부족.
  • 수질 오염으로 인한 산소 부족으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
  • 졸도에서 깬 건 어젯밤이었다 하더라도 쌓였던 피로와 수면 부족이 계속 혼수로 밀어 넣었던 모양이었다.≪박상륭, 열명길≫

10. 불만족 (不滿足) [불만족]

한자: 不(아닐 불), 滿(찰 만(:)), 足(발 족)

마음에 흡족하지 않음.

용례:

  • 불만족이 없다.
  • 불만족을 표시하다.

11. 사족 (四足) [사:족]

한자: 四(넉 사:), 足(발 족)

「1」짐승의 네발. 또는 네발 가진 짐승.
「2」‘사지’(四肢)를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 「1」벽과 천장을 걸어 다니는 사족 로봇.
  • 「2」사족이 멀쩡하겠다, 기운이 억세겠다, 농삿거리도 있는 놈이 그래 미쳤다고 팔자에 없는 종노릇을 해?≪이무영, 농민≫

12. 사족 (蛇足) [사족]

한자: 蛇(긴뱀 사), 足(발 족)

뱀을 다 그리고 나서 있지도 아니한 발을 덧붙여 그려 넣는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군짓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을 이르는 말.

용례:

  • 사족을 달다.
  • 사족을 붙이다.
  • 이런 것이 그녀의 자존심의 소산일까 생각해 보았으나, 그런 것도 쓸데없는 사족처럼 느껴져, 내 편에서도 아예 염두에 두지 않기로 하였다.≪이호철, 소시민≫

13. 소족 (소足) [소족]

한자: 足(발 족)

소의 발.

용례:

강장제라는 것은 대개 소족이나 소꼬리 같은 것을 고아서 만든 것이라는….≪한설야, 이녕≫

14. 수족 (手足) [수족]

한자: 手(손 수(:)), 足(발 족)

「1」손과 발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자기의 손이나 발처럼 마음대로 부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형제나 자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수족을 놀리다.
  • 「1」수족이 마비되다.
  • 「1」어머님은 중풍으로 수족을 못 쓰신다.
  • 「2」남의 수족 노릇을 하다.
  • 「2」상감의 수족 가운데 수족인 조관 목을 베는 것을 보고서야 선비 명색이 어찌 눈을 돌리고 있겠소?≪송기숙, 녹두 장군≫
  • 「3」수족이 없는 노인들은 결국 양로원 신세를 질 수밖에 없다.

15. 실족 (失足) [실쪽]

한자: 失(잃을 실), 足(발 족)

「1」발을 헛디딤.
「2」행동을 잘못함.

용례:

  • 「1」그는 등산을 하다가 실족을 했다.
  • 「1」나는 창가에서 개천가만 바라보고 있었으니까 만약 순정이가 개천에 실족을 하는 불상사가 일어났어도 내 눈에 띄었을 거야.≪박완서, 도시의 흉년≫
  • 「2」김 면장이 그만 실족을 한 것이었다. 공금을 판공비라는 명목으로 마구 써 댄 것이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하근찬, 야호≫

16. 역부족 (力不足) [역뿌족]

한자: 力(힘 력), 不(아닐 불), 足(발 족)

힘이나 기량 따위가 모자람.

용례:

  • 그는 최선을 다했으나 역부족으로 실패하였다.
  • 적군을 그들의 힘으로 막는 것은 역부족이었다.

17. 원족 (遠足) [원:족]

한자: 遠(멀 원:), 足(발 족)

「1」휴식을 취하기 위해서 야외에 나갔다 오는 일.
「2」소풍(학교에서, 자연 관찰이나 역사 유적 따위의 견학을 겸하여 야외로 갔다 오는 일.)의 비표준어.

용례:

  • 「1」가세, 원족 삼아 자네하고 함께 걷는 맛도 별미일 것이니.≪조정래, 태백산맥≫
  • 「1」오매리 뒷산에도 가고…좀 더 멀리는 삼일포까지의 하루 원족을 나서기도 하고….≪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18. 유부족 (猶不足) [유부족]

한자: 猶(오히려 유), 不(아닐 불), 足(발 족)

아직도 부족함. 또는 오히려 부족함.

용례:

  • 잘못을 빌어도 유부족일 터인데 아직도 뉘우치지를 않는구나.
  • 백 번 놀라도 유부족일 거울의 요술을 아무런 두려움이 없이 일상으로 대하게 되었다는 것은….≪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19. 의족 (義足) [의:족]

한자: 義(옳을 의:), 足(발 족)

발이 없는 사람에게 인공으로 만들어 붙이는 발. 나무, 고무, 금속 따위로 만든다.

용례:

  • 의족을 달다.
  • 책방 주인아저씨가 조잡하게 만들어 단 의족을 흔들거리며 높다란 의자에 앉아 있다가….≪이문열, 변경≫

20. 일족 (逸足) [일쪽]

한자: 逸(편안할 일), 足(발 족)

「1」걸음걸이가 뛰어나게 빠른 발. 또는 매우 빠른 말.
「2」보통보다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용례:

「1」족하께선 일족으로 평판이 자자한 분이시니까 이백 리 행보쯤이야 해동갑으로 줄일 수 있다 하나….≪김주영, 객주≫

21. 자족 (自足) [자족]

한자: 自(스스로 자), 足(발 족)

「1」스스로 넉넉함을 느낌.
「2」필요한 물건을 자기 스스로 충족시킴.

용례:

「1」밝은 이성과 강한 의지에 의한 자족과 자유와 부동의 세계, 여기에 인간의 진정한 행복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22. 장족 (長足) [장족]

한자: 長(긴 장(:)), 足(발 족)

「1」기다랗게 생긴 다리.
「2」사물의 발전이나 진행이 매우 빠름.

용례:

  • 「2」장족의 발전.
  • 「2」그의 독일어 실력은 장족으로 진보했다.

23. 전족 (纏足) [전:족]

한자: 纏(얽을 전), 足(발 족)

중국의 옛 풍습의 하나. 여자의 엄지발가락 이외의 발가락들을 어릴 때부터 발바닥 방향으로 접어 넣듯 힘껏 묶어 헝겊으로 동여매어 자라지 못하게 한 일이나 그런 발을 이른다.

용례:

그녀들은 전족으로 자라지 못한 발을 쓰러질 듯 넘어질 듯 위태위태하게 움직이고 있었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24. 접족 (接足) [접쪽]

한자: 接(이을 접), 足(발 족)

디디고 들어가려고 발을 붙임. 또는 디디고 들어감.

용례:

그러고는 소위 그 미친개가 출몰한다는 문제의 집을 향해 소위 그 접족이란 걸 서서히 시작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25. 조수족 (措手足) [조수족]

한자: 措(둘[置] 조), 手(손 수(:)), 足(발 족)

「1」손발을 움직임.
「2」자기 힘으로 겨우 살아갈 만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신경이 바작바작 타는 것 같았었는데, 종엽이와 신숙이의 얼굴만 보아도 기분이 누그러지고, 아직은 조수족을 할 여유가 생긴 듯싶다.≪염상섭, 무화과≫

26. 준족 (駿足) [준:족]

한자: 駿(준마 준:), 足(발 족)

「1」발이 빠른 좋은 말.
「2」빠르게 잘 달림. 또는 그런 사람.
「3」뛰어난 인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심상훈의 행보는 빠르기로 유명했다.…백팔십 리 서울 길을 하루에 오고 하루에 갔다는 준족이다.≪유주현, 대한 제국≫

27. 충족 (充足) [충족]

한자: 充(채울 충), 足(발 족)

「1」넉넉하여 모자람이 없음.
「2」일정한 분량을 채워 모자람이 없게 함.

용례:

  • 「1」충족을 느끼다.
  • 「1」어머니는 남편에게서 얻지 못한 충족을 자식의 출세에서 구하려 한다.
  • 「2」호기심 충족.
  • 「2」욕구 충족.

28. 태부족 (太不足) [태부족]

한자: 太(클 태), 不(아닐 불), 足(발 족)

모자람이 상당함.

용례:

  • 학생 수에 비해 교실이 태부족이다.
  • 일자리가 태부족이라서 취직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29. 흡족 (洽足) [흡쪽]

한자: 洽(흡족할 흡), 足(발 족)

조금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로 넉넉하여 만족스러운 상태에 있음.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