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갑제 (甲第) [갑쩨]
한자: 甲(갑옷 갑), 第(차례 제:)
크고 넓게 아주 잘 지은 집.
용례:
왕은 공이 큰 대신에게 갑제 1구를 하사하였다.
2. 거제 (居第) [거제]
한자: 居(살 거), 第(차례 제:)
사람이 들어가 살 수 있게 지은 건물.
3. 경제 (京第) [경제]
한자: 京(서울 경), 第(차례 제:)
임시로 시골에 나가 있는 사람이 서울에 있는 본가를 이르는 말.
4. 고제 (高第) [고제]
한자: 高(높을 고), 第(차례 제:)
과거에서의 우수한 성적을 이르던 말.
5. 과제 (科第) [과제]
한자: 科(과목 과), 第(차례 제:)
「1」과거에 합격하던 일.
「2」우리나라와 중국에서 관리를 뽑을 때 실시하던 시험.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에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광종 9년(958)에 처음 실시하여 조선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문과, 무과, 잡과 따위가 있었다.
6. 급제 (及第) [급쩨]
한자: 及(미칠 급), 第(차례 제:)
「1」시험이나 검사 따위에 합격함.
「2」과거에 합격하던 일.
용례:
「2」최여신이 아무리 공부를 잘해서 과거를 보려 했으나, 호화스러운 진사 급제는 배경 없는 그에게 떨어질 리가 없었다.≪박종화, 임진왜란≫
7. 낙제 (落第) [낙쩨]
한자: 落(떨어질 락), 第(차례 제:)
「1」진학 또는 진급을 못 함.
「2」시험이나 검사 따위에 떨어짐.
「3」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과거 시험에 응하였다가 떨어짐.
용례:
- 「1」낙제 점수.
- 「1」뒤늦게 부지런히 수업을 들은 그는 낙제를 면하여 3학년으로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 「1」그 친구가 한 해 낙제를 해서 남들보다 한 해 늦게 졸업을 했다.
- 「2」필기시험에는 합격했지만 실기시험에는 낙제를 하고 말았다.
- 「3」당신들이 이번에 낸 기획안은 모두 낙제요.
- 「3」숙녀와의 약속에서 불성실한 태도를 보인다면 그건 낙제야.
8. 동제 (東第) [동제]
한자: 東(동녘 동), 第(차례 제:)
중국에서, 왕후(王侯)의 저택을 이르던 말. 황궁(皇宮)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생긴 말이다.
9. 등제 (登第) [등제]
한자: 登(오를 등), 第(차례 제:)
과거에 급제하던 일.
10. 등제 (等第) [등:제]
한자: 等(무리 등:), 第(차례 제:)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들의 근무 성적을 조사하여 등급을 매기던 일. 해마다 두 차례 왕에게 보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승진이나 유임, 좌천, 파직 따위를 결정하였다.
11. 번제 (番第) [번제]
한자: 番(차례 번), 第(차례 제:)
번을 드는 차례.
12. 별제 (別第) [별쩨]
한자: 別(다를/나눌 별), 第(차례 제:)
살림을 하는 집 외에 경치 좋은 곳에 따로 지어 놓고 때때로 묵으면서 쉬는 집.
13. 본제 (本第) [본제]
한자: 本(근본 본), 第(차례 제:)
「1」‘본가’(따로 세간을 나기 이전의 집.)를 이르는 말.
「2」말하는 이가 자기의 동생을 이르는 말.
용례:
- 「1」저의 본제에는 아직 부모님이 살고 계십니다.
- 「1」유락 죄인의 본제를 조심조심 숨을 죽이며 지키던 사람들이 아닌가.≪한무숙, 만남≫
- 「2」본제는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부모님을 봉양하고 있습니다.
14. 비제 (鄙第) [비:제]
한자: 鄙(더러울 비:), 第(차례 제:)
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15. 사제 (私第) [사제]
한자: 私(사사(私事) 사), 第(차례 제:)
개인 소유의 집.
용례:
남치근이 궐내에서 윤원형에게 미안한 말을 듣고 그날 밤으로 곧 사제에 대령하여 윤원형의 눈치를 살피는 중에….≪홍명희, 임꺽정≫
16. 사제 (賜第) [사:제]
한자: 賜(줄 사:), 第(차례 제:)
「1」임금의 특명으로, 과거에 급제한 사람과 똑같은 자격을 내려 주던 일.
「2」임금의 특명으로, 집을 내려 주던 일.
17. 상제 (上第) [상:제]
한자: 上(윗 상:), 第(차례 제:)
과거에서 첫째로 급제하던 일. 또는 첫째로 급제한 사람.
18. 신급제 (新及第) [신급쩨]
한자: 新(새 신), 及(미칠 급), 第(차례 제:)
과거에 새로 급제함. 또는 그런 사람.
19. 신제 (新第) [신제]
한자: 新(새 신), 第(차례 제:)
새로 이사하여 든 집.
20. 을제 (乙第) [을쩨]
한자: 乙(새 을), 第(차례 제:)
옛날 중국에서, 진사(進士)에 합격한 사람들 가운데 성적이 약간 낮은 사람.
21. 장원급제 (壯元及第) [장:원급쩨]
한자: 壯(장할 장:), 元(으뜸 원), 及(미칠 급), 第(차례 제:)
과거에서, 갑과의 첫째로 뽑히던 일.
22. 저제 (邸第) [저:제]
한자: 邸(집 저:), 第(차례 제:)
「1」규모가 아주 큰 집.
「2」귀인(貴人)의 집.
용례:
「1」언덕 위의 저제.
23. 차제 (次第) [차제]
한자: 次(버금 차), 第(차례 제:)
순서 있게 구분하여 벌여 나가는 관계. 또는 그 구분에 따라 각각에게 돌아오는 기회.
24. 탁제 (擢第) [탁쩨]
한자: 擢(뽑을 탁), 第(차례 제:)
과거에 합격하던 일.
25. 하제 (下第) [하:제]
한자: 下(아래 하:), 第(차례 제:)
과거 시험에 응하였다가 떨어짐.
26. 향제 (鄕第) [향제]
한자: 鄕(시골 향), 第(차례 제:)
고향에 있는 집.
용례:
당나라에 아첨하기로만 일을 삼는 무리들하고 한 조정에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이 치욕이라 하여 이손의 벼슬을 버리고 향제에 드러눕고 말았다.≪현진건, 무영탑≫
27. 환제 (還第) [환제]
한자: 還(돌아올 환), 第(차례 제:)
집으로 돌아옴.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