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의 (可疑) [가:의]
한자: 可(옳을 가:), 疑(의심할 의)
‘가의하다’
(의심할 만하다.)의 어근.
2. 겁의 (怯疑) [거비]
한자: 怯(겁낼 겁), 疑(의심할 의)
겁이 나서 어찌할 바를 모름.
3. 결의 (決疑) [겨리]
한자: 決(결단할 결), 疑(의심할 의)
의혹을 풂.
4. 경의 (驚疑) [경이]
한자: 驚(놀랄 경), 疑(의심할 의)
놀라고 의심함.
용례:
송영종의 경우는 경의로 인하여 질환을 얻었는데 관구 앞에서 지팡이를 던지고 약물을 집어 던지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만….≪번역 영조실록≫
5. 괴의 (怪疑) [괴:의]
한자: 怪(괴이할 괴(:)), 疑(의심할 의)
‘괴의하다’
(괴상하고 의심스럽다.)의 어근.
6. 난의 (難疑) [나니]
한자: 難(어려울 난(:)), 疑(의심할 의)
의심스러운 일에 대하여 잘못을 비난하고 따짐.
7. 다의 (多疑) [다이]
한자: 多(많을 다), 疑(의심할 의)
의심이 많음.
8. 대의 (大疑) [대:이]
한자: 大(큰 대(:)), 疑(의심할 의)
크게 의심함. 또는 큰 의심이나 의혹.
9. 무혐의 (無嫌疑) [무혀미]
한자: 無(없을 무), 嫌(싫어할 혐), 疑(의심할 의)
혐의가 없음.
용례:
- 무혐의 결정.
- 무혐의 처리.
- 무혐의로 풀려나다.
- 어느 경우든 무혐의로 낙착 짓지 않는 한 그것은 견디기 어려운 궁지임은 뻔한 것이다.≪박경리, 토지≫
10. 설의 (設疑) [서리]
한자: 設(베풀 설), 疑(의심할 의)
의문을 내세움.
11. 섭의 (涉疑) [서븨]
한자: 涉(건널 섭), 疑(의심할 의)
‘섭의하다’
(확실하지가 아니하여 믿지 못할 만한 데가 있다.)의 어근.
12. 시의 (猜疑) [시이]
한자: 猜(시기할 시), 疑(의심할 의)
시기하고 의심함.
용례:
시의를 받다.
13. 신의 (信疑) [시:니]
한자: 信(믿을 신:), 疑(의심할 의)
믿음과 의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14. 용의 (容疑) [용이]
한자: 容(얼굴 용), 疑(의심할 의)
범죄의 혐의.
용례:
- 용의 차량을 집중 추적하다.
- 그는 이번 사건에 용의가 없음을 끝까지 주장하였다.
- 그가 용의를 벗어나려면 알리바이를 제시해야 한다.
15. 위의 (危疑) [위이]
한자: 危(위태할 위), 疑(의심할 의)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의심스러움.
16. 전의 (傳疑) [저니]
한자: 傳(전할 전), 疑(의심할 의)
옛일 가운데 의심스러운 점을 그대로 전함.
17. 중의 (衆疑) [중:이]
한자: 衆(무리 중:), 疑(의심할 의)
여러 사람이 품은 의심.
18. 지의 (遲疑) [지이]
한자: 遲(더딜/늦을 지), 疑(의심할 의)
의심하고 주저함.
19. 질의 (質疑) [지리]
한자: 質(바탕 질), 疑(의심할 의)
「1」의심나거나 모르는 점을 물음.
「2」국회 회의에서 의제가 되어 있는 의안이나 동의 등에 관하여 의원이 국무 위원, 정부 위원, 발의자 또는 제안자, 보고자에게 의문점을 따져 묻는 일. 질의
다음에 토론을 하게 된다.
용례:
- 「1」질의를 받다.
- 「1」질의에 답하다.
- 「1」학생들의 질의에 선생님은 친절하게 대답해 주셨다.
- 「1」간단하게 질의를 해 주십시오.
- 「2」대정부 질의를 벌이다.
20. 치의 (致疑) [치:이]
한자: 致(이를 치:), 疑(의심할 의)
의심을 둠.
용례:
- 덕기의 입장이 명백해지면 당연히 치의가 상훈이나 수원집으로 돌아갈 것인데, 상훈이는 그것을 미처 생각지 못하였던 것이다.≪염상섭, 삼대≫
- 절대로 비밀을 지켜 달라는 순남의 부탁을 받았을뿐더러 만일 그런 말을 했다가, 턱없이 무슨 치의를 받을는지 몰라서 그는 자제하고 말았다.≪이기영, 신개지≫
21. 피의 (被疑) [피:이]
한자: 被(입을 피:), 疑(의심할 의)
혐의나 의심을 받음.
용례:
- 피의 사실을 부인하다.
- 그가 자현한 것은 자기 때문에 애매한 사람들이 피의를 입어 까닭 없이 고생을 하는 것을 분개한 데서 나온 것이라 하여….≪현진건, 적도≫
22. 혐의 (嫌疑) [혀미]
한자: 嫌(싫어할 혐), 疑(의심할 의)
「1」꺼리고 미워함.
「2」범죄를 저질렀을 가능성이 있다고 봄. 또는 그 가능성. 수사를 개시하게 되는 동기가 된다.
용례:
- 「1」이 지경 될 줄 알았다면 남과 혐의나 아니 지었다면 좋을 것을….≪이해조, 화의 혈≫
- 「1」대원군과 명인호와의 사이에 사사로이 혐의가 있다니 그것은 과연 어떤 것인지? 대의를 버리고까지 왕비당이 될 만치 그 혐의는 큰 것인지?≪김동인, 젊은 그들≫
- 「2」범죄 혐의.
- 「2」혐의를 받다.
- 「2」혐의를 두다.
- 「2」혐의를 씌우다.
- 「2」혐의가 짙다.
- 「2」주위 사람의 유리한 증언으로 말미암아 피의자의 혐의가 풀리는 수도 물론 있고요. ≪유주현, 하오의 연가≫
- 「2」그는 이튿날 아침 지서로 내려가, 행패를 부린 두 작인을 과실 치상 혐의로 잡아들일 것을 한 주임에게 진정했다. ≪김원일, 불의 제전≫
23. 호의 (狐疑) [호이]
한자: 狐(여우 호), 疑(의심할 의)
여우가 의심이 많다는 뜻으로, 매사에 지나치게 의심함을 이르는 말.
24. 회의 (懷疑) [회이]
한자: 懷(품을 회), 疑(의심할 의)
「1」의심을 품음. 또는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의심.
「2」충분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판단을 보류하거나 중지하고 있는 상태.
「3」상식적으로 자명한 일이나 전통적인 권위를 긍정하지 아니하고,
부정적인 태도로 의심하여 보는 일. 이러한 태도는 철학적 정신의 근본이 된다.
용례:
- 「1」회의가 생기다.
- 「1」회의를 품다.
- 「1」회의에 빠지다.
- 「1」인생에 회의를 느끼다.
- 「1」내가 저 나이가 되도록 과연 현재의 삶의 방식 내지는 사고를 견지할 수 있을까라는 회의가 없지 않았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