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宰 재상 재:

1. 경재 (卿宰) [경재]

한자: 卿(벼슬 경), 宰(재상 재:)

임금을 돕고 모든 관원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이품 이상의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던 벼슬아치. 본디 ‘재(宰)’는 요리를 하는 자, ‘상(相)’은 보행을 돕는 자로 둘 다 수행하는 자를 이르던 말이었으나, 중국 진(秦)나라 이후에 최고 행정관을 뜻하게 되었다.

용례:

경재의 지체를 하고서도 부끄러운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위인들은 궐녀를 찾아와서….≪김주영, 객주≫

2. 국재 (國宰) [국째]

한자: 國(나라 국), 宰(재상 재:)

임금을 돕고 모든 관원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이품 이상의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던 벼슬아치. 본디 ‘재(宰)’는 요리를 하는 자, ‘상(相)’은 보행을 돕는 자로 둘 다 수행하는 자를 이르던 말이었으나, 중국 진(秦)나라 이후에 최고 행정관을 뜻하게 되었다.

3. 노재 (老宰) [노:재]

한자: 老(늙을 로:), 宰(재상 재:)

늙은 재상.

4. 대총재 (大冢宰) [대:총재]

한자: 大(큰 대(:)), 冢(클/무덤 총:), 宰(재상 재:)

조선 시대에 ‘이조 판서’를 달리 이르던 말. 중국 주(周)나라 때의 총재 벼슬에 해당한다 하여 이르던 말이다.

5. 도재 (屠宰) [도재]

한자: 屠(죽일 도), 宰(재상 재:)

동물을 잡아 죽임.

6. 명재 (名宰) [명재]

한자: 名(이름 명), 宰(재상 재:)

정사에 뛰어나서 이름난 재상.

7. 무재 (武宰) [무:재]

한자: 武(호반 무:), 宰(재상 재:)

무관 출신으로 판서나 참판의 벼슬을 지낸 사람.

8. 문재 (文宰) [문재]

한자: 文(글월 문), 宰(재상 재:)

문관(文官) 출신의 재상.

용례:

경은 본래 문재로서 무사를 익히지 않았는데도 밤중 장전(帳殿)에서 강개하게 가기를 청하였으니….≪번역 영조실록≫

9. 범재 (凡宰) [범:재]

한자: 凡(무릇 범(:)), 宰(재상 재:)

평범한 재상(宰相).

10. 사재 (四宰) [사:재]

한자: 四(넉 사:), 宰(재상 재:)

의정부의 ‘우참찬’(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한 정이품 문관 벼슬.)을 달리 이르던 말. 삼재(三宰)에 다음가는 지위라는 뜻이다.

11. 삼재 (三宰) [삼재]

한자: 三(석 삼), 宰(재상 재:)

「1」육부(六部)의 차례에서 세 번째가 된다는 뜻으로, ‘호부’(고려 시대에 둔 육부(六部)의 하나. 호구(戶口), 공부(貢賦), 전량(錢糧)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성종 14년(995)에 민관(民官)을 고친 것으로, 충렬왕 원년(1275)에 다시 판도사로 고쳤다.)를 달리 이르는 말.
「2」재상의 차례에서 세 번째가 된다는 뜻으로, ‘좌참찬’(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한 정이품 문관 벼슬. 삼정승을 보좌하면서 국정에 참여하였다.)을 달리 이르는 말.

12. 성재 (省宰) [성재]

한자: 省(살필 성), 宰(재상 재:)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이품 이상의 벼슬아치.

13. 성재 (聖宰) [성:재]

한자: 聖(성인 성:), 宰(재상 재:)

거룩한 재상이라는 뜻으로, ‘재상’(임금을 돕고 모든 관원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이품 이상의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던 벼슬아치. 본디 ‘재(宰)’는 요리를 하는 자, ‘상(相)’은 보행을 돕는 자로 둘 다 수행하는 자를 이르던 말이었으나, 중국 진(秦)나라 이후에 최고 행정관을 뜻하게 되었다.)을 높여 이르는 말.

14. 수재 (守宰) [수재]

한자: 守(지킬 수), 宰(재상 재:)

고려·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른다.

15. 시재 (時宰) [시재]

한자: 時(때 시), 宰(재상 재:)

당시의 정승(政丞).

16. 읍재 (邑宰) [읍째]

한자: 邑(고을 읍), 宰(재상 재:)

한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

17. 이재 (里宰) [이:재]

한자: 里(마을 리:), 宰(재상 재:)

조선 시대에,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에 관한 일과 그 밖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18. 작재 (作宰) [작째]

한자: 作(지을 작), 宰(재상 재:)

예전에, 고을의 원이 되던 일.

19. 재 (宰) [재]

한자: 宰(재상 재:)

고구려 때에 둔, 성읍(城邑)의 으뜸 벼슬.

20. 제재 (諸宰) [제재]

한자: 諸(모두 제), 宰(재상 재:)

여러 재상.

21. 종재 (宗宰) [종재]

한자: 宗(마루 종), 宰(재상 재:)

「1」종척과 재신(宰臣)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종친 가운데 으뜸인 대군이나 왕자군.

22. 주재 (主宰) [주재]

한자: 主(임금/주인 주), 宰(재상 재:)

「1」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함.
「2」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하는 사람.

용례:

「1」국무총리 주재로 가뭄 대책 회의를 열었다.

23. 중재 (重宰) [중:재]

한자: 重(무거울 중:), 宰(재상 재:)

중신(重臣)과 재상(宰相)을 아울러 이르는 말.

24. 진재 (眞宰) [진재]

한자: 眞(참 진), 宰(재상 재:)

「1」노장지학에서, 도(道)의 본체인 하늘을 이르는 말.
「2」우주의 주재자. 또는 조화의 신.

25. 총재 (冢宰) [총:재]

한자: 冢(클/무덤 총:), 宰(재상 재:)

이조의 으뜸 벼슬. 정이품의 문관 벼슬이다.

26. 출재 (出宰) [출째]

한자: 出(날[生] 출), 宰(재상 재:)

고을의 원으로 나감.

27. 태재 (太宰) [태재]

한자: 太(클 태), 宰(재상 재:)

「1」중국 은나라·주나라 때에, 천자를 보좌하던 벼슬.
「2」옛 중국의 으뜸 벼슬.

28. 통재 (統宰) [통:재]

한자: 統(거느릴 통:), 宰(재상 재:)

「1」통솔하여 재결(裁決)함.
「2」통솔하여 다스림.

29. 포재 (庖宰) [포재]

한자: 庖(부엌 포), 宰(재상 재:)

음식점 따위에서 음식을 만드는 사람.

30. 현재 (賢宰) [현재]

한자: 賢(어질 현), 宰(재상 재:)

어진 재상.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