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財 재물 재 - 2

46. 식재 (殖財) [식째]

한자: 殖(불릴 식), 財(재물 재)

재산을 불리어 늘림.

47. 여재 (餘財) [여재]

한자: 餘(남을 여), 財(재물 재)

남은 재물이나 재산.

용례:

수확은 전보다 훨씬 늘어서 조상 봉사하고 집 안 개량하고 가용을 쓰고도 해마다 얼마간씩 여재가 밀려 오지만….≪한설야, 탑≫

48. 연관재 (聯關財) [연관재]

한자: 聯(연이을 련), 關(관계할 관), 財(재물 재)

서로 대용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재화. 대체재와 보완재가 있다.

49. 영재 (贏財) [영재]

한자: 贏(남을 영), 財(재물 재)

남은 재물이나 재산.

50. 완성재 (完成財) [완성재]

한자: 完(완전할 완), 成(이룰 성), 財(재물 재)

어떤 재화의 생산에 쓰이지 아니하고 생활하는 데 직접 쓰이는 생산물.

51. 용재 (用財) [용:재]

한자: 用(쓸 용:), 財(재물 재)

재물을 씀.

52. 우등재 (優等財) [우등재]

한자: 優(넉넉할 우), 等(무리 등:), 財(재물 재)

소비자의 소득이 많을수록 그 수요가 많아지는 재화.

53. 유재 (留財) [유재]

한자: 留(머무를 류), 財(재물 재)

모아 둔 재물.

용례:

그는 사업에 실패하여 많은 재산을 날리기는 했지만 유재로 여생을 걱정 없이 살 수 있다.

54. 유재 (遺財) [유재]

한자: 遺(남길 유), 財(재물 재)

죽은 사람이 남긴 재물.

55. 유형문화재 (有形文化財) [유:형문화재]

한자: 有(있을 유:), 形(모양 형),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유형 문화유산’(보존·계승할 만한 가치가 큰 건축물,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따위의 문화유산.)의 전 용어.

56. 유형재 (有形財) [유:형재]

한자: 有(있을 유:), 形(모양 형), 財(재물 재)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재산. 화폐, 동산, 부동산, 상품 따위를 이른다.

57. 이재 (理財) [이:재]

한자: 理(다스릴 리:), 財(재물 재)

재산을 잘 관리함.

용례:

  • 이재 능력.
  • 이재에 밝다.
  • 이재에 어둡다.
  • 이성이가 이재에 능할 뿐 아니라 절로 따르는 재운 또한 쏠쏠해서 똑같이 물려받은 재산을 부성이보다 몇 배로 불리자….≪박완서, 미망≫

58. 이재 (異財) [이:재]

한자: 異(다를 이:), 財(재물 재)

재산을 나누어 따로 떼어 둠.

59. 인간문화재 (人間文化財) [인간문화재]

한자: 人(사람 인), 間(사이 간(:)),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국가 무형 문화재 보유자’(예능, 공예 기술, 무술 등 무형의 문화적 자산을 원형대로 정확히 체득하여 보존하고 있다고 국가가 인정한 사람.)를 일상적으로 이르던 말.

용례:

굿 잘하기로 소문이 난 데다가 인간문화재로 지정을 받았다는 광주 무당과 양하동 무당 내외가 왔다고….≪한승원, 해일≫

60. 일차재 (一次財) [일차재]

한자: 一(한 일), 次(버금 차), 財(재물 재)

개인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충족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재화. 식료품, 의류, 가구, 주택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61. 자본재 (資本財) [자본재]

한자: 資(재물 자), 本(근본 본), 財(재물 재)

생산 기계나 원자재 따위의 생산 수단.

62. 자유재 (自由財) [자유재]

한자: 自(스스로 자), 由(말미암을 유), 財(재물 재)

사용 가치는 있지만 무한으로 존재하여 교환 가치가 없는 재화. 공기, 햇빛, 바닷물 따위가 있다.

63. 자재 (資財) [자재]

한자: 資(재물 자), 財(재물 재)

「1」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무형의 재산. 유동 자산과 고정 자산으로 대별된다.
「2」자본이 되는 재산.

64. 장래재 (將來財) [장내재]

한자: 將(장수 장(:)), 來(올 래(:)), 財(재물 재)

앞으로 지출될 재물. 주택 자금, 자녀 교육비, 노후 생활을 위한 의료비나 소비재 구입비 따위를 이른다.

65. 장재 (掌財) [장:재]

한자: 掌(손바닥 장:), 財(재물 재)

돈의 출납을 맡아보는 사람.

66. 저재 (貯財) [저:재]

한자: 貯(쌓을 저:), 財(재물 재)

재물이 모여 쌓임. 또는 재물을 모아 쌓음.

67. 저차재 (低次財) [저:차재]

한자: 低(낮을 저:), 次(버금 차), 財(재물 재)

개인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충족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재화. 식료품, 의류, 가구, 주택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68. 적재 (積財) [적째]

한자: 積(쌓을 적), 財(재물 재)

재산을 쌓아 모음. 또는 그 재산.

69. 전재 (全財) [전재]

한자: 全(온전 전), 財(재물 재)

자기가 가진 전 재산.

70. 전재 (錢財) [전:재]

한자: 錢(돈 전:), 財(재물 재)

재물로서의 돈.

용례:

큰 도적 떼가 있어서 능히 장거리와 큰 고을을 쳐서 관원을 죽이고 전재를 빼앗되….≪김구, 백범일지≫

71. 정재 (淨財) [정재]

한자: 淨(깨끗할 정), 財(재물 재)

신불(神佛)을 섬기거나 남을 도와주기 위하여 깨끗하게 쓰는 재물.

72. 종재 (宗財) [종재]

한자: 宗(마루 종), 財(재물 재)

종중(宗中)의 재산.

73. 중간재 (中間財) [중간재]

한자: 中(가운데 중), 間(사이 간(:)), 財(재물 재)

생산 과정에서 다른 재화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화. 원재료 따위의 생산재를 이른다.

74. 지방문화재 (地方文化財) [지방문화재]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국유 문화재 이외에 향토 문화의 보존상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각 시나 도에서 지정하고 관리·보호하는 문화재.

용례:

  • 지방 문화재로 지정하다.
  • 우리 마을에는 지방 문화재가 많이 보존되어 있다.

75. 진재 (賑財) [진:재]

한자: 賑(진휼 진:), 財(재물 재)

재난에 빠진 백성을 돕는 데 쓰는 재물.

76. 차재 (借財) [차:재]

한자: 借(빌/빌릴 차:), 財(재물 재)

돈을 꾸어 옴. 또는 그 돈.

77. 처재 (妻財) [처재]

한자: 妻(아내 처), 財(재물 재)

「1」아내가 친정에서 가지고 온 재산.
「2」점괘 가운데 육친(六親)의 하나. 아내와 재물에 관한 운명과 신수를 맡는다.

78. 천재 (天財) [천재]

한자: 天(하늘 천), 財(재물 재)

천연의 재물. 또는 천하(天下)의 재물.

79. 체재 (滯財) [체재]

한자: 滯(막힐 체), 財(재물 재)

재화(財貨)를 모음.

80. 최종재 (最終財) [최:종재]

한자: 最(가장 최:), 終(마칠 종), 財(재물 재)

재화의 생산 단계의 최후에 얻어지는 완성품. 식품 따위의 최종 소비재와 기계나 기구 따위의 최종 생산재가 있다.

81. 축재 (蓄財) [축째]

한자: 蓄(모을 축), 財(재물 재)

재물이 모여 쌓임. 또는 재물을 모아 쌓음.

용례:

  • 부정 축재.
  • 그는 미국에서 생활하는 동안 축재도 상당했으므로 한국에 나와 서울에서 자리를 잡을 생각을 했었다.
  • 비록 천인 출신이기는 했지만 왜놈 전풍에게 붙어 축재를 하고 나자 각처의 수령들을 주물럭거리고 거드름을 피우던 사내다.≪유현종, 들불≫

82. 탈재 (奪財) [탈째]

한자: 奪(빼앗을 탈), 財(재물 재)

재물을 빼앗음.

83. 탐재 (貪財) [탐재]

한자: 貪(탐낼 탐), 財(재물 재)

재물을 탐냄.

84. 투자재 (投資財) [투자재]

한자: 投(던질 투), 資(재물 자), 財(재물 재)

생산의 과정에 쓰는 재화. 넓은 뜻으로는 자본재와 같으나, 좁은 뜻으로는 원재료처럼 한 번 생산할 때 소비되는 것을 이른다.

85. 편재 (騙財) [편재]

한자: 騙(속일 편), 財(재물 재)

남의 재물을 속여서 빼앗음.

86. 표준재 (標準財) [표준재]

한자: 標(표할 표), 準(준할 준:), 財(재물 재)

상대 가격을 나타낼 때 기준이 되는 재(財).

87. 핍재 (乏財) [핍째]

한자: 乏(모자랄 핍), 財(재물 재)

재산이 달림.

88. 하급재 (下級財) [하:급째]

한자: 下(아래 하:), 級(등급 급), 財(재물 재)

소비자의 소득이 늘수록 그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

89. 화재 (貨財) [화:재]

한자: 貨(재물 화:), 財(재물 재)

절도, 강도, 사기, 횡령 따위의 재산 범죄의 대상이 되는 물건. 주로 형법(刑法)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90. 횡재 (橫財) [횡재]

한자: 橫(가로 횡), 財(재물 재)

뜻밖에 재물을 얻음. 또는 그 재물.

용례:

  • 소금 장수는 횡재를 만났다 하였다. 이런 운수 좋은 날이 있을까 싶은 것이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주머니 속에 들어온 지갑은 내 의사와는 상관없이 누군가 내 주머니 속에 찔러 넣은 횡재를 얻은 것뿐이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財 재물 재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