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돌사자 (돌獅子) [돌:사자]
한자: 獅(사자 사(:)), 子(아들 자)
돌로 만든 사자. 수호의 의미로 무덤이나 탑 따위의 앞이나 둘레에 세웠다.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에 성행하였다.
47. 동자 (童子) [동:자]
한자: 童(아이 동(:)), 子(아들 자)
「1」남자인 아이.
「2」승려가 되려고 절에서 공부하면서 아직 출가하지 아니한 사내아이.
「3」‘보살’(菩薩)을 달리 이르는 말. 여래의 왕자이고 또 음욕이 없는 아이와 같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4」절에서 심부름하는 아이. 법회 때에 화관을 쓰고 참례하거나, 번(幡)을 들기도 한다.
용례:
「1」그 알을 깨어 보니 몸가짐이 단정하고 아름답게 생긴 동자가 있었다.
48. 동자 (瞳子) [동:자]
한자: 瞳(눈동자 동:), 子(아들 자)
눈알의 한가운데에 있는, 빛이 들어가는 부분. 검게 보이며, 빛의 세기에 따라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홍채로 크기가 조절된다.
용례:
- 사고 소식을 듣자 그의 동자가 커졌다.
- 불과 한 치 앞도 못 보는 눈에 절망한 나머지 동자 없는 소경의 눈이….≪박완서, 도시의 흉년≫
49. 등의자 (藤椅子) [등의자]
한자: 藤(등나무 등), 椅(의자 의), 子(아들 자)
등(藤)의 줄기로 엮어 만든 의자.
용례:
나는…포도 덩굴 아래 등의자에서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 주며 이야기하고 있는데 한 장의 편지가 왔습니다.≪최정희, 인맥≫
50. 등자 (鐙子) [등자]
한자: 鐙(등자 등), 子(아들 자)
「1」말을 타고 앉아 두 발로 디디게 되어 있는 물건. 안장에 달아 말의 양쪽 옆구리로 늘어뜨린다.
「2」산을 오를 때나 눈길을 걸을 때,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굽에 못을 박은 나막신.
용례:
「1」이각의 첩은 말 위에서 등자를 딛고 발을 동동 구른다.≪박종화, 임진왜란≫
51. 막과자 (막菓子) [막꽈자]
한자: 菓(과자 과/실과 과:), 子(아들 자)
마구 만들어 질이 좋지 않은 과자.
용례:
한 채는 눈깔사탕이며 엿, 성냥, 막과자 나부랭이를 팔던 송방(松房)으로 불린 구멍가게며 주인은 술장수 퇴물인 최 씨네 부부였다.≪이문구, 관촌 수필≫
52. 만득자 (晩得子) [만:득짜]
한자: 晩(늦을 만:), 得(얻을 득), 子(아들 자)
늙어서 낳은 자식.
용례:
희가 내 외아들이라고 해서, 또 만득자라고 해서 그런 것이 아니지마는….≪이광수, 유정≫
53. 만형자 (蔓荊子) [만형자]
한자: 蔓(덩굴 만), 荊(가시 형), 子(아들 자)
「1」마편초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20~8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다. 여름에 입술 모양의 자주색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만형자’라고 하여 약용한다. 해변의 모래땅에 나는데 한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2」순비기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이 약간 차고 풍열(風熱)로
인한 감기, 두통 따위에 쓴다.
54. 맏손자 (맏孫子) [맏쏜자]
한자: 孫(손자 손(:)), 子(아들 자)
둘 이상의 손자 가운데 맏이인 손자를 이르는 말.
용례:
- 할아버지는 맏손자만을 제일로 여기시며 귀여워하신다.
- 최치수의 재종형 조준구였다. 그러니까 치수의 조모, 조씨 부인 오라버니의 맏손자인 것이다.≪박경리, 토지≫
55. 맥고모자 (麥藁帽子) [맥꼬모자]
한자: 麥(보리 맥), 藁(짚 고), 帽(모자 모), 子(아들 자)
맥고로 만든 모자. 개화기에 젊은 남자들이 주로 썼다.
용례:
그 당시에는 로이드안경에 맥고모자 차림의 신사가 인기였다.
56. 맥고자 (麥藁子) [맥꼬자]
한자: 麥(보리 맥), 藁(짚 고), 子(아들 자)
맥고로 만든 모자. 개화기에 젊은 남자들이 주로 썼다.
용례:
볕이 쨍쨍 쪼이고 있는데 문밖에서 누가 찾기에 나가 보니까 정말 김종혁 씨가 왔어요. 하얀 리넨 양복에 맥고자를 쓰고 한 손에는 책을 들었는데….≪유진오, 행로≫
57. 맹자 (孟子) [맹:자]
한자: 孟(맏 맹(:)), 子(아들 자)
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B.C.372~B.C.289). 자는 자여(子輿)·자거(子車). 공자의 인(仁) 사상을 발전시켜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으며, 인의의 정치를 권하였다. 유학의 정통으로 숭앙되며, ‘아성(亞聖)’이라 불린다.
58. 맹자 (孟子) [맹:자]
한자: 孟(맏 맹(:)), 子(아들 자)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맹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 따위를 기술한 것으로, <양혜왕(梁惠王)>, <공손추(公孫丑)>, <등문공(滕文公)>, <이루(離婁)>, <만장(萬章)>, <고자(告子)>, <진심(盡心)>의 7편으로 분류하였다. 14권 7책.
59. 면자 (綿子) [면자]
한자: 綿(솜 면), 子(아들 자)
목화의 씨.
용례:
항복한 왜인…나만(羅萬)·나도(羅道)·박남(朴南) 등에게는 면포·주포 각각 1필씩과 면자 1근을 하사하였다.≪번역 태종실록≫
60. 모자 (母子) [모:자]
한자: 母(어미 모:), 子(아들 자)
어머니와 아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오랜만에 만난 모자는 밤 깊은 줄도 모르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61. 모자 (帽子) [모자]
한자: 帽(모자 모), 子(아들 자)
「1」머리에 쓰는 물건의 하나. 예의를 차리거나 추위, 더위,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한 것이다.
「2」갓양태 위로 우뚝 솟은 원통 모양의 부분.
용례:
- 「1」제복을 입고 모자를 쓴 군인.
- 「1」모자를 쓴 사람이 모자 밑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머리를 긁적거리면서 여자 쪽으로 조금 다가앉는다.≪서정인, 강≫
- 「1」하얀 모자 아래로 겨울 아침의 맵짠 바람을 안은 머리카락이 구름처럼 날린다.≪최인훈, 구운몽≫
62. 모자 (帽子) [모자]
한자: 帽(모자 모), 子(아들 자)
바둑에서, 변에 놓인 상대편의 돌을 누르기 위하여 위로 한 칸 걸러 놓는 수. 상대편 집의 수를 줄이거나 공격하는 수단으로 보통 중반전에 쓴다.
용례:
중앙에서 백이 모자를 씌우며 상변에 흩어진 다섯 점을 공격했다.
63. 목자 (目子) [목짜]
한자: 目(눈 목), 子(아들 자)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척추동물의 경우 안구·시각 신경 따위로 되어 있어, 외계에서 들어온 빛은 각막·눈동자·수정체를 지나 유리체를 거쳐 망막에 이르는데, 그 사이에 굴광체(屈光體)에 의하여 굴절되어 망막에 상을 맺는다.
용례:
목자를 부라리다.
64. 무이자 (無利子) [무이자]
한자: 無(없을 무), 利(이할 리:), 子(아들 자)
이자가 붙지 않음.
용례:
- 무이자 장기 대출.
- 무이자로 돈을 빌리다.
- 상품 판매를 늘리려고 무이자 할부 판매를 실시하고 있다.
- 이날 밤 성내 주민들 중에는 교인 몰래 양식을 풀어 가난한 집에 무이자로 꾸어 준 사람이 여럿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65. 문제자 (門弟子) [문제자]
한자: 門(문 문), 弟(아우 제:), 子(아들 자)
문하에서 배우는 제자.
용례:
공자의 문제자로 계씨의 집에 벼슬살이한 사람도 있었으니….≪번역 중종실록≫
66. 문중자 (文中子) [문중자]
한자: 文(글월 문), 中(가운데 중), 子(아들 자)
「1」중국 수나라 왕통의 사시(私諡).
「2」중국 수나라 때 왕통이 쓴 유가서. ≪논어≫를 모방하여 왕통과 문인(門人)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중도(中道)에 의한 왕도(王道)의 실현과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일치를 논술하였다. 10권.
67. 미남자 (美男子) [미:남자]
한자: 美(아름다울 미(:)), 男(사내 남), 子(아들 자)
얼굴이 잘생긴 남자.
용례:
그는 미남자였다. 특히 기름기 없는 부드러운 머리털이 반쯤 드리운 수재다운 수려한 이마는 마음에 들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68. 밀짚모자 (밀짚帽子) [밀찜모자]
한자: 帽(모자 모), 子(아들 자)
밀짚이나 보릿짚으로 만들어 여름에 쓰는 모자. 위가 높고 둥글며 양태가 크다.
용례:
뙤약볕 아래에서 밀짚모자를 쓴 농부가 밭일을 하고 있다.
69. 바보상자 (바보箱子) [바:보상자]
한자: 箱(상자 상), 子(아들 자)
‘텔레비전’을 달리 이르는 말. 텔레비전의 부정적 영향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이다.
용례:
바보상자 앞에서 뒹굴뒹굴하지만 말고 공부 좀 해라.
70. 박물군자 (博物君子) [방물군자]
한자: 博(넓을 박), 物(물건 물), 君(임금 군), 子(아들 자)
온갖 사물에 정통한 사람.
용례:
대감께서는 연치도 높으시거니와 박물군자시니만큼 대감께 보이고 진가를 알아볼까 해서 온 길이올시다.≪박종화, 전야≫
71. 박자 (拍子) [박짜]
한자: 拍(칠 박), 子(아들 자)
「1」토기를 만들 때 바탕흙을 두드려 단단하게 하는 데 쓰던 연장. 손잡이가 달린 펀펀한 나무판으로, 여러 가지 무늬가 새겨져서 두드릴 때 그릇 겉면에 무늬를 내기도 한다.
「2」음악적 시간을
구성하는 기본적 단위. 보통 마디와 일치한다.
용례:
- 「2」박자가 느리다.
- 「2」박자가 빠르다.
- 「2」박자를 맞추다.
- 「2」박자에 맞춰 춤을 추다.
- 「2」한 박자 쉬고 노래를 시작했다.
72. 반동분자 (反動分子) [반:동분자]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動(움직일 동:), 分(나눌 분(:)), 子(아들 자)
반동적인 행위를 하는 자.
용례:
반동분자를 색출하다.
73. 반박자 (半拍子) [반:박짜]
한자: 半(반(半) 반:), 拍(칠 박), 子(아들 자)
「1」악곡에서, 사분음표를 한 박자로 했을 때 반이 되는 박자. 팔분음표나 팔분쉼표로 나타낸다.
「2」일반적이거나 정해진 움직임에 비해 약간 빠르거나 느리게 진행하는 것.
용례:
- 「1」반박자를 쉬고 첫 소절을 불러라.
- 「1」이 노래는 반박자 먼저 들어가므로 반주를 잘 들어야 한다.
- 「2」반박자 빠른 패스.
- 「2」그는 늘 반박자 늦게 답을 한다.
74. 방자 (房子) [방자]
한자: 房(방 방), 子(아들 자)
「1」고려 시대에, 중국의 사신과 그 수행원이 머무는 사관(使館)에 속하여 허드렛일을 맡아보던 잡직.
「2」조선 시대에, 지방의 관아에서 심부름하던 남자 하인.
「3」조선 시대에, 상궁이나
나인의 방에 속하여 잡역에 종사하던 여자 종.
용례:
- 「2」이 도령이 광한루에 나왔다가 맞은편 수림 속에서 그네 뛰는 춘향이를 처음 보고 방자더러 불러오라 하여도, 방자 놈이 좀처럼 말을 안 들으니까….≪이희승, 먹추의 말참견≫
- 「2」여러 비장이 술과 안주와 잔과 술 데울 그릇을 통인과 방자들에게 한 가지 두 가지씩 들려 가지고 한 떼를 지어 몰려왔다.≪홍명희, 임꺽정≫
75. 배자 (褙子) [배:자]
한자: 褙(배자 배), 子(아들 자)
추울 때에 저고리 위에 덧입는, 주머니나 소매가 없는 옷. 겉감은 흔히 양단을 쓰고 안에는 토끼, 너구리 따위의 털을 넣는다.
용례:
황방호는 두툼한 배자를 껴입고 감발에 행전을 친 게 눈밭에 뒹굴어도 춥지 않을 차림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76. 백부자 (白附子) [백뿌자]
한자: 白(흰 백), 附(붙을 부(:)), 子(아들 자)
「1」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3~5갈래로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열편(裂片)은 다시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여름에 누런색 또는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줄기나 가지 끝에 핀다. 독이 있으며 뿌리는 약재로 쓰인다. 습한 산골짜기에 나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1」’의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따뜻하고 독성이 있는데 중풍이나 외과 약으로 쓰인다.
77. 버들상자 (버들箱子) [버들상자]
한자: 箱(상자 상), 子(아들 자)
키버들로 만든 상자.
용례:
버들상자에 보관한 옷가지들.
78. 법제자 (法弟子) [법쩨자]
한자: 法(법 법), 弟(아우 제:), 子(아들 자)
불법의 가르침을 받는 제자.
용례:
네. 소승은 우관 선사의 법제자이오이다. 나무 관세음보살.≪박경리, 토지≫
79. 보자 (褓子) [보자]
한자: 褓(포대기 보), 子(아들 자)
물건을 싸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네모지게 만든 작은 천.
용례:
봉희는 보자에 싼 가방을 들고 택규는 무엇이 들었는지 묵직한 여행 가방 같은 것을 들었다.≪염상섭, 젊은 세대≫
80. 복분자 (覆盆子) [복뿐자]
한자: 覆(다시 복), 盆(동이 분), 子(아들 자)
「1」복분자딸기의 열매.
「2」장미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고 땅에 닿은 줄기에서 뿌리가 내리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 복엽이다. 5~6월에 연한 붉은색 꽃이 산방(繖房) 또는 복산형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붉은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발기 불능(勃起不能) 또는 오줌을 자주 누는 데 약용한다. 산기슭의 양지에서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81. 부녀자 (婦女子) [부녀자]
한자: 婦(며느리 부), 女(계집 녀), 子(아들 자)
결혼한 여자와 성숙한 여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왜병은 노인이고 부녀자고 어린애고 가리지 않고 총격을 가해 학살을 감행했다.≪유현종, 들불≫
- 민간인의 양식과 재물을 약탈하기 일쑤고 백주에 부녀자를 겁탈하고….≪유주현, 대한 제국≫
- 우매한 서민 부녀자들도 읽을 수 있게 언문으로 교리서를 엮었었다.≪한무숙, 만남≫
82. 부담상자 (負擔箱子) [부:담상자]
한자: 負(질[荷] 부:), 擔(멜 담), 箱(상자 상), 子(아들 자)
말에 실어 나를 물건을 넣는 상자.
용례:
박유복이와 배돌석이가 양반 행세 하고 부담마들을 타기로 하여 역사에 부비 쓸 서총대 무명을 부담상자 네 짝에 그들먹하게 담고….≪홍명희, 임꺽정≫
83. 부모처자 (父母妻子) [부모처자]
한자: 父(아비 부), 母(어미 모:), 妻(아내 처), 子(아들 자)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그는 전쟁으로 부모처자를 모두 잃고 홀로 되었다.
84. 부자 (父子) [부자]
한자: 父(아비 부), 子(아들 자)
아버지와 아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부자가 꼭 닮다.
- 옆집 부자는 휴일마다 함께 등산을 한다.
85. 분자 (分子) [분자]
한자: 分(나눌 분(:)), 子(아들 자)
「1」어떤 특성을 가진 인간 개체. 흔히 부정적인 관점에서 이르는 말이다.
「2」물질에서 화학적 형태와 성질을 잃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최소의 입자. 희유기체와 같이 1원자의 분자도 있지만,
보통은 두 개 이상의 원자가 공유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진,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이다. 원자 수가 수천, 수만인 것을 고분자라고 한다.
용례:
- 「1」불온 분자.
- 「1」매수당하기 쉬운 분자들은 평소에 돈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86. 분자 (分子) [분자]
한자: 分(나눌 분(:)), 子(아들 자)
분수 또는 분수식에서, 가로줄 위에 있는 수나 식.
87. 불량분자 (不良分子) [불량분자]
한자: 不(아닐 불), 良(어질 량), 分(나눌 분(:)), 子(아들 자)
「1」행실이나 성품이 나쁜 사람.
「2」어떤 조직체 안에 있는 좋지 못한 사람.
용례:
- 「1」그는 술버릇이 나빠 불량분자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 「2」불량분자 색출 작업이라는 명목 아래에 많은 사람이 숙청당했다.
- 「2」일진회원을 비롯한 각 지방의 불량분자 4천여 명을 헌병 보조원이라는 명목으로 모집하여 일본 헌병의 앞잡이 노릇을 하게 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88. 불만분자 (不滿分子) [불만분자]
한자: 不(아닐 불), 滿(찰 만(:)), 分(나눌 분(:)), 子(아들 자)
마음에 늘 불만을 품고 있는 사람.
용례:
- 아무리 태평성대라 해도 불만분자는 있기 마련이다.
- 나라가 안팎으로 어려운 조건에 있음을 뻔히 알면서도, 진정으로 나라를 아끼고 사랑하려는 마음은 없이, 불온 분자, 불만분자들하고 간단히 어울려 들었어.≪이호철, 문≫
89. 불순분자 (不純分子) [불쑨분자]
한자: 不(아닐 불), 純(순수할 순),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사상이나 이념이 그 조직 안의 것과 달라서 비판적으로 지적되는 사람.
용례:
- 불순분자를 색출하다.
- 불순분자를 추방하다.
- 불순분자의 선동에 넘어가다.
- 소련을 조국이라고 하는 불순분자도 용납할 수가 없고, 그 밖에 사대주의 근성에 젖어 있는 놈도 용납할 수가 없다.≪이병주, 지리산≫
90. 불자 (佛子) [불짜]
한자: 佛(부처 불), 子(아들 자)
「1」석가모니의 제자.
「2」‘보살’(菩薩)을 달리 이르는 말.
「3」계(戒)를 받아 출가한 사람.
「4」불교 신자.
「5」부처의 아들딸, 곧 모든 중생을 이르는 말.
용례:
「4」나는 비록 불자가 아니지만 이따금 사찰을 찾아가 마음의 위안을 얻곤 한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