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廳 관청 청 - 3

71. 조달청 (調達廳) [조달청]

한자: 調(고를 조), 達(통달할 달),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기획 재정부 소속으로, 정부 물자의 구매·공급·관리 및 정부 주요 시설의 공사 계약 따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72. 좌우포청 (左右捕廳) [좌:우포:청]

한자: 左(왼 좌:), 右(오를/오른(쪽) 우:), 捕(잡을 포:), 廳(관청 청)

좌포청과 우포청을 아울러 이르던 말.

용례:

청석골 대장 임꺽정이가 서울 안에 와 파묻혀 있단 소문이 있다나 그래서 어제저녁 때부터 좌우포청 포교들이 임꺽정이 종적을 알려고 나와서 발동을 한답디다.≪홍명희, 임꺽정≫

73. 좌청 (坐廳) [좌:청]

한자: 坐(앉을 좌:), 廳(관청 청)

땅에 늘어놓고 앉게 된 널조각.

용례:

안승학은 전방 좌청에 걸터앉으며 “모시 몇 자 주시지요. 상품으로.”≪이기영, 고향≫

74. 주무관청 (主務官廳) [주무관청]

한자: 主(임금/주인 주), 務(힘쓸 무:), 官(벼슬 관), 廳(관청 청)

어떤 사무를 주장하여 맡아보는 행정 관청.

용례:

군대에 관련된 업무를 주관하는 주무 관청은 국방부이다.

75. 주청 (酒廳) [주청]

한자: 酒(술 주(:)), 廳(관청 청)

술을 파는 집.

용례:

주인 여편네는 난로 옆 목로판에서 부산하게 도마질을 하다가 텅 빈 주청 안을 휘둘러보고는 짜증을 부리기 시작했다.≪이문희, 흑맥≫

76. 중소기업청 (中小企業廳) [중소기업청]

한자: 中(가운데 중), 小(작을 소:), 企(꾀할 기), 業(업 업), 廳(관청 청)

산업 통상 자원부 소속으로, 중견 기업과 중소기업을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지원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중앙 행정 기관. 2017년 7월 중소 벤처 기업부로 승격되면서 폐지되었다.

77. 중앙행정관청 (中央行政官廳) [중앙행정관청]

한자: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官(벼슬 관), 廳(관청 청)

그 권한이 전국에 미치는 관청. 행정 각부, 대검찰청, 감사원, 법원 행정처 따위가 있다.(중앙관청)

78. 중앙청 (中央廳) [중앙청]

한자: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廳(관청 청)

서울특별시 세종로 1번지에 있던 중앙 정부의 청사.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총독부 건물로 사용되던 것을 광복 후 이 이름으로 개칭하고 정부 청사로 사용하여 오다가 헐었다.

79. 지방검찰청 (地方檢察廳) [지방검:찰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檢(검사할 검:), 察(살필 찰), 廳(관청 청)

검찰청법에 따라 각 지방의 지방 법원에 대응하여 설치한 검찰청.

80. 지방검찰청지청 (地方檢察廳支廳) [지방검:찰청지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檢(검사할 검:), 察(살필 찰), 廳(관청 청), 支(지탱할 지), 廳(관청 청)

지방 검찰청의 관할 구역 안에 설치한 최하급 검찰청. 각 지방의 지방 법원 지원에 대응한다.

81. 지방경찰청 (地方警察廳) [지방경:찰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廳(관청 청)

경찰청의 사무를 지역적으로 분담·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장·광역시장 및 도지사 소속하에 둔 기관.

82. 지방기상청 (地方氣象廳) [지방기상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廳(관청 청)

기상청에 속하여 각 지방에서 기상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기관. 강릉, 광주, 대전, 부산, 제주에 있다.

83. 지방병무청 (地方兵務廳) [지방병무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兵(병사 병), 務(힘쓸 무:), 廳(관청 청)

병무청장에 소속하여, 징집과 소집 및 그 밖의 병무 행정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지방 관서.

84. 지방철도청 (地方鐵道廳) [지방철또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鐵(쇠 철), 道(길 도:), 廳(관청 청)

철도청장 소속으로 설치한 지방 관서. 철도 운수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며 서울, 대전, 부산, 순천, 영주에 있다.

85. 지방행정관청 (地方行政官廳) [지방행정관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官(벼슬 관), 廳(관청 청)

일정한 지역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지방관청)

86. 지방청 (地方廳) [지방청]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廳(관청 청)

중앙 관청의 사무를 분담하려고 지방에 두는 국가 행정 기관.

87. 지청 (支廳) [지청]

한자: 支(지탱할 지), 廳(관청 청)

본청(本廳)의 관할 아래에 있으면서 본청에서 따로 떨어져 나와 일정한 지역의 일을 맡아보는 관청.

용례:

  • 서울 지검 북부 지청 수사과.
  • 그에게 무엇보다도 힘이 되었던 것은, 고향인 S 법원 지청에 현직 판사로 있었다는 점이었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88. 철도청 (鐵道廳) [철또청]

한자: 鐵(쇠 철), 道(길 도:), 廳(관청 청)

건설 교통부 소속으로, 국유 철도의 운영과 그 부대사업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중앙 행정 기관. 2005년 1월부터, 건설 부문을 담당하는 한국 철도 시설 공단과 운행 부문을 담당하는 한국 철도 공사로 분리되었다.

89. 초례청 (醮禮廳) [초례청]

한자: 醮(초례 초), 禮(예도 례:), 廳(관청 청)

초례를 치르는 장소.

용례:

  • 한낮 때 못 되어서 초례청의 준비도 다 되었고 신랑 신부의 치장도 다 되었다.≪홍명희, 임꺽정≫
  • 부채로 얼굴을 가린 신부가 머리 어멈의 부축을 받으면서 방에서 나와 초례청에서 신랑과 마주 섰다.≪박완서, 미망≫

90. 촌계관청 (村鷄官廳) [촌:계관청]

한자: 村(마을 촌:), 鷄(닭 계), 官(벼슬 관), 廳(관청 청)

촌닭을 관청에 잡아다 놓은 것 같다는 뜻으로, 경험이 없는 일을 당하여 어리둥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용례:

김 장자 아들로 말하면, 서울도 초행일 뿐 아니라 진소위 촌계관청이라 하겠지만, 더구나 술집이란 데는 시골에 있을 때도 한 번 가 본 일이 없는 터에….≪이기영, 봄≫

91. 통계청 (統計廳) [통:계청]

한자: 統(거느릴 통:), 計(셀 계:),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기획 재정부 소속으로, 통계의 기준 설정과 인구 조사 및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92. 퇴청 (退廳) [퇴:청]

한자: 退(물러날 퇴:), 廳(관청 청)

관청에서 근무를 마치고 퇴근함.

용례:

마도섭은 다음 날 퇴청 후 야심할 때 들렀다.≪박완서, 미망≫

93. 특별관청 (特別官廳) [특뼐관청]

한자: 特(특별할 특), 別(다를/나눌 별), 官(벼슬 관), 廳(관청 청)

행정 관청 가운데 그 권한이 특수한 사항에 한정되어 있는 관청. 감사원, 경찰서 따위이다.

94. 특허청 (特許廳) [트커청]

한자: 特(특별할 특), 許(허락할 허),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산업 통상 자원부 소속으로, 특허, 실용신안, 의장(意匠)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맡아본다.

95. 포도청 (捕盜廳) [포:도청]

한자: 捕(잡을 포:), 盜(도둑 도(:)), 廳(관청 청)

조선 시대에, 범죄자를 잡거나 다스리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한성과 경기를 좌우로 나누어 좌포도청과 우포도청을 두었다.

용례:

포도부장이 이봉학이의 죄상을 탐지하여 포도청에 비밀히 보한 뒤….≪홍명희, 임꺽정≫

96. 포청 (捕廳) [포:청]

한자: 捕(잡을 포:), 廳(관청 청)

조선 시대에, 범죄자를 잡거나 다스리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한성과 경기를 좌우로 나누어 좌포도청과 우포도청을 두었다.

용례:

  • 감사는 또 화적들을 잡아서 진상 봉물을 찾아 달란 사연으로 황해 감영에 이문을 부치고 서울 포청에 기별을 띄웠다.≪홍명희, 임꺽정≫
  • 나흘 만에야 포청 뒤뜰로 끌려 나가 심문을 받았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97. 하인청 (下人廳) [하:인청]

한자: 下(아래 하:), 人(사람 인), 廳(관청 청)

양반 집에서 남자 종들이 거처하던 행랑방.

용례:

이편은 조용한데 건너편은 하인청인 듯 여럿의 지껄이는 소리가 떠들썩하였다.≪홍명희, 임꺽정≫

98. 합의제관청 (合議制官廳) [하비제관청]

한자: 合(합할 합), 議(의논할 의(:)), 制(절제할 제:), 官(벼슬 관), 廳(관청 청)

여러 구성원이 합의하여 의사를 결정하는 관청. 국무 회의, 감사원 및 각종 행정 위원회가 있다.

99. 해양경찰청 (海洋警察廳) [해:양경:찰청]

한자: 海(바다 해:), 洋(큰바다 양),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해양 수산부 소속으로, 해양에서의 경찰 및 오염 방제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2014년 11월에 폐지되었다가 2017년 7월에 신설되었다.

100. 해운항만청 (海運港灣廳) [해:운항:만청]

한자: 海(바다 해:), 運(옮길 운:), 港(항구 항:), 灣(물굽이 만), 廳(관청 청)

항만의 건설 및 운영과 해운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중앙 행정 기관. 1996년 8월 해양 수산부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101. 행정관청 (行政官廳) [행정관청]

한자: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官(벼슬 관), 廳(관청 청)

행정에 관한 국가 의사를 결정하고, 그 의사를 표시·집행하는 권한을 가지는 행정 기관. 그 권한이 전국에 미치는 것을 중앙 행정 관청,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것을 지방 행정 관청이라 한다.

102. 행정청 (行政廳) [행정청]

한자: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廳(관청 청)

행정 관청 중에서 공공 단체, 특히 지방 자치 단체의 의결 기관을 이르는 말.

103. 허청 (虛廳) [허청]

한자: 虛(빌 허), 廳(관청 청)

「1」헛간으로 된 집채.
「2」빈 그림자뿐인 집이라는 뜻으로, 실제로 있는 곳이 분명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1」몸채 맞은편에는 또 맞배집 아래채를 지었는데, 허청과 대문간, 외양간, 측간 외에 문간 옆에 행랑방을 들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04. 헐숙청 (歇宿廳) [헐쑥청]

한자: 歇(쉴 헐), 宿(잘 숙), 廳(관청 청)

예전에, 높은 벼슬아치의 집에 찾아온 손님이 잠깐 들러서 쉬거나 기다릴 수 있게 마련한 방.

용례:

아직도 죽동궁 헐숙청에서 집사들에 의지하여 거처하겠거니 하였는데 이제 전거할 주택을 마련한 모양이었다.≪김주영, 객주≫

105. 헛청 (헛廳) [헏청]

한자: 廳(관청 청)

헛간으로 된 집채.

용례:

  • 쇠죽 방 옆에는 뒷간이 딸린 헛청이 폐광의 입구처럼 음습한 어둠을 내뿜고 있었다.≪문순태, 피아골≫
  • 사무실 안 헛청에는 큰 멍석을 깔고 거기다가 하인들이 연방 술지게미를 퍼 나른다.≪이기영, 고향≫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廳 관청 청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廳 관청 청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