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수제 (首題) [수제]
한자: 首(머리 수), 題(제목 제)
「1」공문서 따위의 첫머리에 쓰는 제목.
「2」경(經)의 제목을 이르는 말.
52. 숙제 (宿題) [숙쩨]
한자: 宿(잘 숙), 題(제목 제)
「1」복습이나 예습 따위를 위하여 방과 후에 학생들에게 내 주는 과제.
「2」두고 생각해 보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
「3」모이기 며칠 전에 미리 내어서 돌리는 시나 글의 제목.
용례:
- 「1」숙제를 내다.
- 「1」숙제가 많다.
- 「1」선생님께서 숙제를 꼼꼼히 검사하셨다.
- 「2」난국 타개의 숙제.
- 「2」오래 끌어온 숙제가 해결되었다.
- 「2」교통 체증은 우리가 풀어야 할 커다란 숙제이다.
- 「2」그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채 숙제로 남아 있다.
53. 시간문제 (時間問題) [시간문:제]
한자: 時(때 시), 間(사이 간(:)),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이미 결과가 뻔하여 조만간 이루어질 일.
용례:
- 범인 검거는 시간문제이다.
- 평화 협상이 깨진 이상 전쟁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54. 시제 (詩題) [시제]
한자: 詩(시 시), 題(제목 제)
시의 제목이나 제재.
용례:
- 소녀는 시제에 맞춰 시를 썼다.
- ‘가을 하늘’이란 시제를 내걸고 백일장이 열렸다.
55. 시제 (試題) [시:제]
한자: 試(시험 시(:)), 題(제목 제)
과거(科擧)의 글제.
용례:
난리 후 뒤숭숭한 민심을 무마한다는 명목으로 조정에서는 어사에게 시제를 보내 과거 잔치를 베푸는데, 급제자가 무려 사오십 명이나 되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56. 시험문제 (試驗問題) [시험문:제]
한자: 試(시험 시(:)), 驗(시험 험:),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시험을 보기 위하여 내놓은 문제.
용례:
- 시험 문제를 출제하다.
- 시험 문제를 내다.
- 시험 문제가 예년에 비해 쉽게 나왔다.
57. 식량문제 (食糧問題) [싱냥문:제]
한자: 食(밥/먹을 식), 糧(양식 량), 問(물을 문:), 題(제목 제)
매년 산출·수입되는 식량과 증가하는 인구와의 수급 문제.
58. 신제 (新題) [신제]
한자: 新(새 신), 題(제목 제)
새로 낸 과제(課題).
59. 실제 (實題) [실쩨]
한자: 實(열매 실), 題(제목 제)
한시에서, 실생활에 관계가 없는 풍(風), 월(月), 화(花)를 제재로 삼지 아니하고 경적(經籍)이나 사서(史書)의 내용을 제재로 한 것.
60. 어제 (御題) [어:제]
한자: 御(거느릴 어:), 題(제목 제)
임금이 친히 과거장에 나와서 보이던 과거의 글제.
61. 엄제 (嚴題) [엄제]
한자: 嚴(엄할 엄), 題(제목 제)
백성이 낸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 따위에 쓰던 관청의 엄한 판결이나 지령.
62. 역명제 (逆命題) [영명제]
한자: 逆(거스릴 역), 命(목숨 명:), 題(제목 제)
정리의 가정과 결론을 바꾸어 얻은 명제. 명제 ‘B이면 A이다.’는 명제 ‘A이면 B이다.’의 역명제이다.
63. 연제 (演題) [연:제]
한자: 演(펼 연:), 題(제목 제)
연설이나 강연 따위의 제목.
용례:
- 강연회 연제.
- 나는 ‘한인이 배일하는 이유가 무엇인고?’ 하는 연제로 일장의 연설을 하였다.≪김구, 백범일지≫
64. 예제 (例題) [예:제]
한자: 例(법식 례:), 題(제목 제)
「1」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기로 내는 연습 문제.
「2」백성의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에 적던, 관아의 판결문이나 지시문.
용례:
「1」예제를 풀어라.
65. 예제 (豫題) [예:제]
한자: 豫(미리 예:), 題(제목 제)
「1」예상한 문제나 글제.
「2」넌지시 미리 알려 준 문제나 글제.
66. 예제 (藝題) [예:제]
한자: 藝(재주 예:), 題(제목 제)
상연하는 연예물의 제목.
67. 외제 (外題) [외:제]
한자: 外(바깥 외:), 題(제목 제)
「1」겉장에 쓰는 책의 이름.
「2」글이나 말의 내용이 제목과는 다름. 또는 그런 글이나 말.
68. 원제 (原題) [원제]
한자: 原(언덕 원), 題(제목 제)
본디의 제목.
69. 유제 (類題) [유:제]
한자: 類(무리 류(:)), 題(제목 제)
비슷하거나 같은 종류의 문제나 제목.
70. 응용문제 (應用問題) [응:용문:제]
한자: 應(응할 응:), 用(쓸 용:),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이미 배운 지식이나 법칙을 기반으로 하여 활용해서 푸는 문제.
71. 의제 (議題) [의제]
한자: 議(의논할 의(:)), 題(제목 제)
회의에서 의논할 문제.
용례:
- 의제로 오르다.
- 의제로 채택되다.
- 의제로 삼다.
- 의제를 설정하다.
- 토의된 의제에 대하여 표결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72. 이제 (裏題) [이:제]
한자: 裏(속 리:), 題(제목 제)
책의 첫 장에 적힌 책의 제목.
73. 인구문제 (人口問題) [인구문:제]
한자: 人(사람 인), 口(입 구(:)),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인구의 증감이나 질적 구성과 경제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제. 인구 증가율과 생산성 증가율의 부조화로 발생하며, 인구 증가율이 생산성 증가율을 웃도는 것이 문제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74. 일언제 (一言題) [이런제]
한자: 一(한 일), 言(말씀 언), 題(제목 제)
한 마디 말로 된, 시가의 제목.
75. 입제 (入題) [입쩨]
한자: 入(들 입), 題(제목 제)
과거(科擧)에서 시의 첫째 구나 부(賦)의 넷째 구.
76. 작도제 (作圖題) [작또제]
한자: 作(지을 작), 圖(그림 도), 題(제목 제)
자와 컴퍼스만을 써서 주어진 조건에 알맞은 선이나 도형을 그리라는 문제.
77. 잡제 (雜題) [잡쩨]
한자: 雜(섞일 잡), 題(제목 제)
「1」잡다한 여러 가지 문제.
「2」갈피를 잡을 수 없게 단 제목.
「3」일정한 제목도 없이 여러 가지 내용을 적은, 대수롭지 않은 한시.
78. 제제 (提題) [제제]
한자: 提(끌 제), 題(제목 제)
논증하여야 할 명제.
79. 주제 (主題) [주제]
한자: 主(임금/주인 주), 題(제목 제)
「1」대화나 연구 따위에서 중심이 되는 문제.
「2」예술 작품에서 지은이가 나타내고자 하는 기본적인 사상.
「3」주된 제목.
「4」하나의 악곡을 이루는 중심 악상. 악곡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기초가 되어, 그 선율적·화성적·율동적 발전이 악곡을 다양하게 전개한다.
용례:
- 「1」논문의 주제.
- 「1」대화의 주제.
- 「1」주제와 관련이 없는 내용.
- 「1」주제를 정하다.
- 「1」오늘 강당에서는 ‘한국의 농업 정책’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있다.
- 「1」김 교수는 어려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
- 「2」≪흥부전≫의 주제.
- 「2」자연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그림.
- 「2」그 연극은 심각한 주제를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 「2」주제가 풀려 가는 과정에서 독자가 관념적으로 허무주의를 즐길 수는 있겠지만 나는 아직 한 번도 주제의 결론 자체를 허무주의로 맺은 작품을 쓴 적은 없습니다. ≪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80. 주택문제 (住宅問題) [주:택문:제]
한자: 住(살 주:), 宅(집 택),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주택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회 문제. 급격한 도시화와 주택 공급의 부족, 불량 주택의 발생 따위가 주요한 원인이 된다.
81. 중동문제 (中東問題) [중동문:제]
한자: 中(가운데 중), 東(동녘 동),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중동 지역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 이스라엘의 건국과 이에 따른 팔레스타인인의 추방에 의하여 일어난 전쟁과 종교 문제, 석유 생산에 관련된 강대국들과의 이해관계 따위의 문제가 있다.
82. 즉제 (卽題) [즉쩨]
한자: 卽(곧 즉), 題(제목 제)
「1」그 자리에서 곧바로 내는 과제.
「2」제목을 내놓고 그 자리에서 시가나 문장을 지음. 또는 그 제목.
「3」그 자리에서 주제가 주어져 곧바로 작곡을 하면서 연주함. 또는 그 주제.
83. 출제 (出題) [출쩨]
한자: 出(날[生] 출), 題(제목 제)
문제나 제목을 냄.
용례:
- 출제 경향.
- 출제 위원.
- 출제 방식.
- 공동 출제.
- 국어 시험은 외부 인사에게 출제를 의뢰하였다.
84. 칙제 (勅題) [칙쩨]
한자: 勅(칙서 칙), 題(제목 제)
임금이 출제한 시문의 제목.
85. 탐제 (探題) [탐제]
한자: 探(찾을 탐), 題(제목 제)
문답을 통하여 배움의 정도를 시험하는 법회에서, 논제를 선정하고 마지막으로 결정하는 책임자.
86. 토지문제 (土地問題) [토지문:제]
한자: 土(흙 토), 地(따 지), 問(물을 문:), 題(제목 제)
토지 소유 형태의 모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
87. 파제 (破題) [파:제]
한자: 破(깨뜨릴 파:), 題(제목 제)
「1」한시(漢詩)의 팔고문에서 첫 두 구(句)를 이르는 말.
「2」과거를 볼 때 시의 첫머리에 제목의 뜻을 밝히던 일.
88. 편제 (扁題) [편제]
한자: 扁(작을 편), 題(제목 제)
종이, 비단, 널빤지 따위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써서 방 안이나 문 위에 걸어 놓는 액자.
89. 표제 (表題) [표쩨]
한자: 表(겉 표), 題(제목 제)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의 제목.
90. 표제 (標題) [표제]
한자: 標(표할 표), 題(제목 제)
「1」서책의 겉에 쓰는 그 책의 이름.
「2」연설이나 담화 따위의 제목.
「3」연극 따위의 제목.
「4」신문이나 잡지 기사의 제목.
「5」서적이나 장부 가운데 어떤 항목을 찾기
편리하도록 베푼 제목.
용례:
- 「1」표제로 삼다.
- 「1」‘조선의 취락’이라는 표제가 붙은, 책뚜껑이 비틀어지고 여기저기 얼룩이 간 아주 낡은 책이었다.≪황순원, 일월≫
- 「2」내일 할 연설에 표제를 붙였다.
- 「4」커다란 표제 아래 그에 대한 기사가 신문에 실렸다.
- 「5」표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다.
91. 품제 (品題) [품:제]
한자: 品(물건 품:), 題(제목 제)
「1」사물의 가치나 우열을 문예적으로 평가하는 일.
「2」경전의 내용을 품(品)으로 나눈 편장(篇章)의 제목.
92. 해제 (解題) [해:제]
한자: 解(풀 해:), 題(제목 제)
「1」책의 저자·내용·체재·출판 연월일 따위에 대해 대략적으로 설명함. 또는 그런 설명.
「2」문제를 풂.
용례:
- 「1」도서 해제.
- 「1」영인본에 해제를 붙이다.
93. 헌제 (獻題) [헌:제]
한자: 獻(드릴 헌:), 題(제목 제)
지은이나 발행자가 그 책을 다른 사람에게 바치는 뜻을 적은 글.
94. 현제 (懸題) [현:제]
한자: 懸(달[繫] 현:), 題(제목 제)
과거를 보일 때 문제를 내걸던 일.
95. 호제 (好題) [호:제]
한자: 好(좋을 호:), 題(제목 제)
좋은 제목.
96. 화제 (畫題) [화:제]
한자: 畫(그림 화:), 題(제목 제)
「1」그림의 이름 또는 제목.
「2」그림 위에 쓰는 시문(詩文).
용례:
「1」화제를 붙이다.
97. 화제 (話題) [화제]
한자: 話(말씀 화), 題(제목 제)
「1」이야기의 제목.
「2」이야기할 만한 재료나 소재.
용례:
- 「2」화제의 인물.
- 「2」화제의 주인공.
- 「2」화제로 삼다.
- 「2」화제를 바꾸다.
- 「2」화제에 오르다.
- 「2」화제를 다른 곳으로 돌리다.
- 「2」그의 무용담은 우리 사무실에서 화제가 되었다.
- 「2」정님이를 찾아간다는 것부터 창피한 일이거니와 그보다도 정님이와의 관계는 좋거니 나쁘거니 도시 화제에 올리고 싶지 않았다.≪한설야, 황혼≫
98. 환경문제 (環境問題) [환:경문:제]
한자: 環(고리 환(:)), 境(지경 경), 問(물을 문:), 題(제목 제)
대기와 수질의 오염, 환경 파괴 따위와 같이 자연환경, 생활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는 갖가지 문제.
99. 회제 (回題) [회제]
한자: 回(돌아올 회), 題(제목 제)
과거에서 시험하던 시(詩)의 열두째 글귀. 또는 부(賦)의 열셋째와 열넷째의 두 글귀.
100. 휴제 (休題) [휴제]
한자: 休(쉴 휴), 題(제목 제)
이야기하던 화제를 그만둠.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題 제목 제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