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 장지 (狀紙) [장:지]
한자: 狀(문서 장:), 紙(종이 지)
지방 벼슬아치들이 임금에게 보고하는 글을 쓴 종이.
252. 장판지 (壯版紙) [장판지]
한자: 壯(장할 장:), 版(판목 판), 紙(종이 지)
방바닥을 바르는 데 쓰는 마감용 종이. 예전에는 기름을 먹여 만들었는데 요즘에는 비닐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다.
용례:
벽지로 도배를 마치고 바닥에는 장판지를 발랐다.
253. 재배지 (再褙紙) [재:배지]
한자: 再(두 재:), 褙(배자 배), 紙(종이 지)
벽지 따위의 종이를 바를 때, 초배지를 바르고 그 위에 덧바르는 종이.
254. 재생지 (再生紙) [재:생지]
한자: 再(두 재:), 生(날 생), 紙(종이 지)
한 번 쓴 종이를 녹여서 다시 만든 종이.
용례:
종이가 누르스름한 재생지인 것을 보면 그것은 국내에서 리프린트한 것인 성싶었다.≪이병주, 지리산≫
255. 저명지 (著名紙) [저:명지]
한자: 著(나타날 저:), 名(이름 명), 紙(종이 지)
이름이 난 신문이나 잡지.
256. 전국지 (全國紙) [전국찌]
한자: 全(온전 전), 國(나라 국), 紙(종이 지)
전국의 독자를 대상으로 하여 발행하는 신문.
용례:
등단을 한 뒤 내 시가 전국지에 실렸다.
257. 전단지 (傳單紙) [전단지]
한자: 傳(전할 전), 單(홑 단), 紙(종이 지)
선전이나 광고 또는 선동하는 글이 담긴 종이쪽.
용례:
- 전단지를 제작하다.
- 전단지를 뿌리다.
- 동생은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기 위해 온 동네에 전단지를 붙이고 다녔다.
258. 전보용지 (電報用紙) [전:보용:지]
한자: 電(번개 전:), 報(갚을/알릴 보:), 用(쓸 용:), 紙(종이 지)
발신할 전보의 내용을 써서 전신국에 내는 용지.
용례:
우체국 계원에게 전보용지를 내밀고 요금을 치르고 나니 큰일을 해낸 기분이 되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259. 전보지 (電報紙) [전:보지]
한자: 電(번개 전:), 報(갚을/알릴 보:), 紙(종이 지)
전보 내용을 적은 종이.
용례:
정옥이는 방에서 나오며, 채 축대에 올라 서지도 않은 남편에게 전보지를 내민다.≪염상섭, 올수≫
260. 전사지 (轉寫紙) [전:사지]
한자: 轉(구를 전:), 寫(베낄 사), 紙(종이 지)
「1」전사 석판에 쓰는 얇은 가공지.
「2」도기(陶器)나 양철에 인쇄할 때에 쓰는 인쇄 화지(畫紙).
「3」카본 사진 인쇄에 쓰는, 다이크로뮴산 젤라틴을 두껍게 바른 종이.
261. 전지 (全紙) [전지]
한자: 全(온전 전), 紙(종이 지)
「1」신문 따위의 한 면 전체.
「2」모든 신문.
「3」자르지 아니한 온장의 종이. 편 신문의 배의 크기이다.
용례:
「3」널따란 탁자 위에는 반쯤 채색된 모조지가 전지로 펼쳐 있었고….≪서정인, 후송≫
262. 전지 (剪紙) [전:지]
한자: 剪(가위 전(:)), 紙(종이 지)
색종이를 접어 가위로 무늬를 내어 부채에 오려 붙이는 일.
263. 절연지 (絕緣紙) [저련지]
한자: 絕(끊을 절), 緣(인연 연), 紙(종이 지)
전기가 통하지 아니하여 전선, 콘덴서 따위의 각종 전기 기구에 널리 쓰이는 종이. 크라프트 펄프(kraft pulp), 마닐라삼, 목면(木棉), 삼지닥나무 따위를 원료로 한다.
264. 접음표지 (접음表紙) [저븜표지]
한자: 表(겉 표), 紙(종이 지)
제본할 때에, 마구리를 본문보다 길게 하여 안쪽으로 접어 넣은 표지.
265. 접지 (摺紙) [접찌]
한자: 摺(접을 접), 紙(종이 지)
「1」종이를 앞 또는 뒤로 접음. 또는 그렇게 접은 종이.
「2」제본할 때 페이지 순서대로 인쇄된 종이를 접음. 또는 그렇게 접은 종이.
용례:
「2」어머니는 인쇄소 제본 공장에 나가 접지 일을 했다.≪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266. 정론지 (政論紙) [정논지]
한자: 政(정사(政事) 정), 論(논할 론), 紙(종이 지)
주로 정치적인 기사나 사설, 논평 따위를 다루는 신문.
267. 정시지 (正試紙) [정:시지]
한자: 正(바를 정(:)), 試(시험 시(:)), 紙(종이 지)
활쏘기 대회에서, 참가한 사람의 성명·직함을 쓰고 경사(競射)의 성적을 적는 종이.
268. 제도용지 (製圖用紙) [제:도용:지]
한자: 製(지을 제:), 圖(그림 도), 用(쓸 용:), 紙(종이 지)
제도하는 데에 쓰는 종이. 켄트지나 모눈종이, 트레이싱 페이퍼 따위가 있다.(제도지)
269. 제지 (製紙) [제:지]
한자: 製(지을 제:), 紙(종이 지)
종이를 만듦.
270. 조간지 (朝刊紙) [조간지]
한자: 朝(아침 조), 刊(새길 간), 紙(종이 지)
날마다 아침에 발행하는 신문.
271. 조명지 (照明紙) [조:명지]
한자: 照(비칠 조:), 明(밝을 명), 紙(종이 지)
조명에 쓰는, 색이 있으면서 투명한 종이.
272. 존문편지 (存問便紙) [존문편:지]
한자: 存(있을 존), 問(물을 문:), 便(편할 편(:)), 紙(종이 지)
고을의 원이 존문하겠다는 뜻을 적어 보내던 편지.
용례:
조병갑이가 처음 여기 도임해 왔을 때 부자들한테 존문 편지를 몇 장이나 보냈고, 대충 얼마나 뜯어냈냐?≪송기숙, 녹두 장군≫
273. 종이쪽지 (종이쪽紙) [종이쪽찌]
한자: 紙(종이 지)
종이에 몇 글자 써넣은 글쪽지.
용례:
- 종이쪽지 한 장.
- 종이쪽지에 편지를 쓰다.
- 날이 밝자 남문 근처에 또 종이쪽지를 매단 화살이 서너 개 떨어져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그는 안주머니에서 꼬깃꼬깃 접힌 종이쪽지를 펴 보였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274. 좌면지 (座面紙) [좌:면지]
한자: 座(자리 좌:), 面(낯 면:), 紙(종이 지)
제사 지낼 때에, 제상 위에 까는 기름종이.
275. 주간지 (週刊紙) [주간지]
한자: 週(주일 주), 刊(새길 간), 紙(종이 지)
한 주일에 한 번씩 발행하는 신문.
276. 주지 (注紙) [주:지]
한자: 注(부을 주:), 紙(종이 지)
주서(注書)나 승지(承旨)가 임금 앞에서 임금의 명령을 받아 적는 데에 쓰던 종이.
277. 죽엽지 (竹葉紙) [주겹찌]
한자: 竹(대 죽), 葉(잎 엽), 紙(종이 지)
어린 대를 원료로 하여 만든 중국에서 나는 얇은 종이.
278. 죽지 (竹紙) [죽찌]
한자: 竹(대 죽), 紙(종이 지)
「1」어린 대를 원료로 하여 만든 중국에서 나는 얇은 종이.
「2」얇은 종이 모양을 한 대의 속껍질.
279. 죽청지 (竹靑紙) [죽청지]
한자: 竹(대 죽), 靑(푸를 청), 紙(종이 지)
종이의 하나. 매우 얇으나 질기고 단단하다.
280. 중량지 (重量紙) [중:냥지]
한자: 重(무거울 중:), 量(헤아릴 량), 紙(종이 지)
두꺼운 종이.(후지)
281. 중성지 (中性紙) [중성지]
한자: 中(가운데 중), 性(성품 성:), 紙(종이 지)
잉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산 칼슘 따위의 중성 재료를 첨가한 종이. 보존성이 뛰어나다.
282. 중앙지 (中央紙) [중앙지]
한자: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紙(종이 지)
서울에 본사가 있는 신문사가 전국에 보급하는 신문.
283. 중질지 (中質紙) [중질지]
한자: 中(가운데 중), 質(바탕 질), 紙(종이 지)
품질이 백상지(白上紙)와 갱지(更紙)의 중간 정도인 인쇄용지. 화학 펄프를 70% 이상 함유하고 있다.
284. 증지 (證紙) [증지]
한자: 證(증거 증), 紙(종이 지)
일정한 절차를 마쳤음을 증명하거나 물품의 품질을 표시하기 위하여 붙이는 표.
용례:
- 수입 증지.
- 서류에 증지를 붙였다.
285. 지방지 (地方紙) [지방지]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紙(종이 지)
어떤 지방을 대상으로 하여 발행하는 신문.
용례:
- 지방지를 구독하다.
- 그에 대한 기사가 지방지에 게재되었다.
- 각 도마다 특유의 지방지가 있다.
286. 지표지 (紙表紙) [지표지]
한자: 紙(종이 지), 表(겉 표), 紙(종이 지)
종이로 만든 표지.
287. 지형지 (紙型紙) [지형지]
한자: 紙(종이 지), 型(모형 형), 紙(종이 지)
지형을 만드는 데 쓰는 종이. 강도가 높고 부드러우며 열에 잘 견딘다.
288. 질문지 (質問紙) [질문지]
한자: 質(바탕 질), 問(물을 문:), 紙(종이 지)
어떤 문제에 관한 질문들을 열거한 지면.
용례:
- 질문지를 돌리다.
- 질문지를 작성하다.
289. 쪽지 (쪽紙) [쪽찌]
한자: 紙(종이 지)
「1」작은 종잇조각.
「2」어떤 내용의 글을 적은 종이쪽.
용례:
- 「1」쪽지 시험.
- 「1」메모하게 쪽지 하나 가져오너라.
- 「1」나는 그의 대답을 조목조목 쪽지에 적었다.
- 「2」쪽지나 하나 써 보내라.
- 「2」그는 쪽지도 남기지 않고 사흘째 집에 들어오지 않고 있다.
- 「2」그는 배달수에게 이름이 깨알처럼 적힌 쪽지를 건네주었다.≪문순태, 피아골≫
290. 찌지 (찌紙) [찌지]
한자: 紙(종이 지)
특별히 기억할 만한 것을 표하기 위하여 글을 써서 붙이는 좁은 종이쪽.
용례:
바람벽을 의지하고 쌓아 둔 부담짝들에서…찌지가 붙어 있는 부담짝만을 골라 뒤 담장 밖으로 넘기는 것이었다.≪김주영, 객주≫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9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