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 속담딱지 (俗談딱紙) [속땀딱찌]
한자: 俗(풍속 속), 談(말씀 담), 紙(종이 지)
아이들 장난감의 하나. 속담을 적은 딱지와 거기에 해당하는 내용의 그림을 같은 수효로 만들어서 여러 가지 놀이를 한다.
172. 속지 (속紙) [속:찌]
한자: 紙(종이 지)
「1」편지봉투 따위에 들어 있는, 글 쓴 종이.
「2」신문처럼 여러 겹으로 포개어 접힌 종이에서 겉의 종이 안에 있는 각각의 종이.
「3」책장 사이에 끼워 두는 종이.
용례:
- 「1」속지에 축하 인사를 쓰고 종이를 접어 돈을 넣었다.
- 「2」아내는 소스라치게 놀라며 보고 있던 신문 속지를 나에게 내밀었다.
173. 속표제지 (속表題紙) [속:표제지]
한자: 表(겉 표), 題(제목 제), 紙(종이 지)
한 권으로 묶인 책의 내용이 여러 부나 편으로 되어 있을 때에, 각 부나 편의 앞에 제목을 써서 구분하여 놓은 종이.
174. 속표지 (속表紙) [속:표지]
한자: 表(겉 표), 紙(종이 지)
책의 겉표지 다음에 붙이는 얇은 종이로 된 표지. 서적의 제목, 저자명, 발행소명 따위를 적는다.(비지,안표지)
175. 손지 (損紙) [손:지]
한자: 損(덜 손:), 紙(종이 지)
인쇄 또는 그 전후의 공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 불량 제품의 종이.
176. 쇄지 (刷紙) [쇄:지]
한자: 刷(인쇄할 쇄:), 紙(종이 지)
인쇄에 쓰는 종이.
177. 수신지 (受信紙) [수신지]
한자: 受(받을 수(:)), 信(믿을 신:), 紙(종이 지)
수신기에서 수신한 내용을 적은 종이.
178. 수입인지 (收入印紙) [수이빈지]
한자: 收(거둘 수), 入(들 입), 印(도장 인), 紙(종이 지)
세금을 거두어들이는 수단의 하나로 정부가 발행하는 증표. 세금이나 수수료 따위를 낸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서류에 붙인다.
179. 습자지 (習字紙) [습짜지]
한자: 習(익힐 습), 字(글자 자), 紙(종이 지)
글씨 쓰기를 연습할 때 쓰는 얇은 종이.
용례:
습자지에 붓글씨를 쓰다.
180. 습지 (濕紙) [습찌]
한자: 濕(젖을 습), 紙(종이 지)
도배를 할 때에, 풀칠한 종이가 고르게 잘 붙도록 그 위를 문지르는 축축한 종이.
181. 시전지 (詩箋紙) [시전지]
한자: 詩(시 시), 箋(기록할 전), 紙(종이 지)
시나 편지 따위를 쓰는 종이.(화전지)
182. 시지 (試紙) [시:지]
한자: 試(시험 시(:)), 紙(종이 지)
「1」과거 시험에 쓰던 종이.
「2」활을 쏜 성적 따위를 적은 종이.
용례:
「1」과거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지의 위쪽에다 청남과 청북을 기록하도록 하여, 각각 두 사람씩을 뽑아서 공평하게 할 것을 청하였다.≪번역 숙종실록≫
183. 시험용지 (試驗用紙) [시험뇽:지]
한자: 試(시험 시(:)), 驗(시험 험:), 用(쓸 용:), 紙(종이 지)
시험 문제가 쓰인 종이나 답안을 쓰는 종이.
184. 시험지 (試驗紙) [시험지]
한자: 試(시험 시(:)), 驗(시험 험:), 紙(종이 지)
「1」시험 문제가 쓰인 종이나 답안을 쓰는 종이.
「2」용액이나 기체 속에 특정 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쓰는, 시약을 바른 종이. 리트머스 시험지, 녹말 시험지 따위가 있다.
용례:
- 「1」시험지를 채점하다.
- 「1」시험지를 받아 보니 어려운 문제가 많았다.
- 「1」나는 결코 백 점짜리 시험지를 수빈이처럼 자랑스럽게 쳐들고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185. 식지 (食紙) [식찌]
한자: 食(밥/먹을 식), 紙(종이 지)
밥상과 음식을 덮는 데 쓰는 기름종이.
용례:
한 식경 뒤에 내시가 은 소반에 무엇인지 식지를 덮어 들여왔다.≪박종화, 금삼의 피≫
186. 신문지 (新聞紙) [신문지]
한자: 新(새 신), 聞(들을 문(:)), 紙(종이 지)
신문 기사를 실은 종이.
용례:
- 신문지에 싸다.
- 신문지로 덮다.
- 신문지를 접다.
- 깔고 앉아 있던 헌 신문지 한 장 남김없이 차곡차곡 좌판을 걷어 머리에 이고서 어딘가로 총총히 사라져 가던 그 여자를 나는 또 문득 떠올렸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 흙이 채 마르기 전에 도배를 한 듯, 벽에 바른 신문지가 여기저기 들떠 우그러져 있었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187. 안지 (案紙) [안:지]
한자: 案(책상 안:), 紙(종이 지)
초안(草案)에 쓰는 용지.
188. 안편지 (안便紙) [안편지]
한자: 便(편할 편(:)), 紙(종이 지)
부녀자가 쓰는 편지.
189. 안피지 (雁皮紙) [안:피지]
한자: 雁(기러기 안:), 皮(가죽 피), 紙(종이 지)
산닥나무 종류의 껍질로 만든 종이. 매우 얇고 질기며 투명하여 임사용(臨寫用)으로 쓰인다.
용례:
- 안피지로 밑그림을 베끼다.
- 안피지로 속을 싸고 다시 겉봉을 정성스레 씌워 보냈다.
190. 압지 (押紙) [압찌]
한자: 押(누를 압), 紙(종이 지)
잉크나 먹물 따위로 쓴 것이 번지거나 묻어나지 아니하도록 위에서 눌러 물기를 빨아들이는 종이.
용례:
- 압지로 물기를 빨아낸 그 페이지를 가리키며 그 시가 그렇게 슬픈 것이냐고 묻더군.≪이문열, 변경≫
- 길바닥의 흙먼지는 붉고 검은 잉크를 빨아들이는 강력한 압지처럼 내 구두 물감을 순식간에 흡수해 버렸다.≪김용성, 도둑 일기≫
191. 앞표지 (앞表紙) [압표지]
한자: 表(겉 표), 紙(종이 지)
책의 앞쪽 표지.
용례:
그 책은 앞표지가 낡을 대로 낡아 너덜너덜하다.
192. 약봉지 (藥封紙) [약뽕지]
한자: 藥(약 약), 封(봉할 봉), 紙(종이 지)
약을 담는 봉지.
용례:
- 정숙의 몸은 이미 싸늘하게 식어 있었다. 머리맡에는 무슨 약봉지가 있었고 물 사발이 엎질러져 정숙의 저고리와 방바닥을 적시고 있었다.≪손창섭, 사연기≫
- 김 노인의 약방에는 아직도 천장에 약봉지가 빼곡하게 달려 있었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193. 약선지 (藥線紙) [약썬지]
한자: 藥(약 약), 線(줄 선), 紙(종이 지)
화약의 심지를 만드는 데 쓰던 종이.
194. 약지 (藥紙) [약찌]
한자: 藥(약 약), 紙(종이 지)
약을 싸는 데 쓰는 종이.
195. 약포지 (藥包紙) [약포지]
한자: 藥(약 약), 包(쌀[裹] 포(:)), 紙(종이 지)
약을 싸는 종이.
용례:
어느 큰 양약국 공장에서 십여 명의 같은 소년들과 함께, 거의 반년이나 가깝게 약포지로 약을 싸는 일에만 골몰하였다.≪박태원, 천변 풍경≫
196. 양면지 (兩面紙) [양:면지]
한자: 兩(두 량:), 面(낯 면:), 紙(종이 지)
안팎이 따로 없이 다 매끄럽게 가공한 종이.
197. 양지 (洋紙) [양지]
한자: 洋(큰바다 양), 紙(종이 지)
서양에서 들여온 종이. 또는 서양식으로 만든 종이. 주로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며 신문용지, 인쇄용지, 필기용지, 포장용지 따위로 나뉜다.
용례:
- 안에서 나온 상자 갑은 은은한 분홍빛 양지로 싸고 붉은 끈으로 고리를 만들어 묶은 게 볼품이 신기했다.≪박완서, 미망≫
- 신부의 방이라고 양지를 사다가 벽을 바르고 바닥은 신문지로 장판을 하였다.≪이기영, 고향≫
198. 양피지 (羊皮紙) [양피지]
한자: 羊(양 양), 皮(가죽 피), 紙(종이 지)
양의 생가죽을 얇게 펴서 약품 처리를 한 후에 표백하여 말린, 글을 쓰는 데 사용하는 재료. 서양의 고대에서 중세까지 많이 사용하였다.
용례:
바위 동굴에서 양피지에 육필로 쓴 두루마리들이 발견됐다.
199. 어용지 (御用紙) [어:용지]
한자: 御(거느릴 어:), 用(쓸 용:), 紙(종이 지)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권력자나 권력 기관에 영합하여 그 방침에 따라 편파적으로 보도하는 신문.
200. 엄지 (엄紙) [엄:찌]
한자: 紙(종이 지)
어음을 쓴 종이.
201. 업계지 (業界紙) [업꼐지]
한자: 業(업 업), 界(지경 계:), 紙(종이 지)
어떤 특정한 업계를 대상으로 그 업계에 대한 정보만을 취급하여 발행하는 신문. 의사 시보, 경제 시보 따위를 이른다.
202. 여과지 (濾過紙) [여:과지]
한자: 濾(거를 려:), 過(지날 과:), 紙(종이 지)
액체 속에 들어 있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걸러 내는 다공성 종이.(여지)
203. 여지 (鑢紙) [여지]
한자: 鑢(줄 려(여)), 紙(종이 지)
겉에 보드라운 금강사(金剛沙)나 유리 가루를 발라서 줄 삼아 쓰는 질긴 종이.
204. 연마지 (硏磨紙) [연:마지]
한자: 硏(갈 연:), 磨(갈 마), 紙(종이 지)
금강사(金剛沙)나 유리 가루, 규석(硅石) 따위의 보드라운 가루를 발라 붙인 천이나 종이. 쇠붙이의 녹을 닦거나 물체의 거죽을 반들반들하게 문지르는 데에 쓴다.
205. 연애편지 (戀愛便紙) [여:내편:지]
한자: 戀(그리워할/그릴 련(연):), 愛(사랑 애(:)), 便(편할 편(:)), 紙(종이 지)
연애하는 남녀 사이에 주고받는 애정의 편지.
용례:
지금까지 나는 여자로부터 사랑은 고사하고 연애편지 한 장 받아 보지 못했다.≪김원일, 어둠의 축제≫
206. 연지 (鍊紙) [연:지]
한자: 鍊(쇠불릴/단련할 련:), 紙(종이 지)
종이를 마름.
207. 염지 (染紙) [염:지]
한자: 染(물들 염:), 紙(종이 지)
「1」여러 가지 색깔을 물들인 종이.
「2」누렇게 물들인 종이라는 뜻으로, 불경(佛經)을 달리 이르는 말.
208. 염지 (艷紙) [염:지]
한자: 艷(고울 염[艶]:), 紙(종이 지)
겉면이 매끈매끈하며 윤이 나는 내수성(耐水性) 종이. 화장지, 포장지 따위로 쓴다.
209. 영지 (影紙) [영:지]
한자: 影(그림자 영:), 紙(종이 지)
글씨를 쓸 때에, 글자의 간격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정간(井間)을 그어 글씨를 쓸 종이 밑에 받치는 종이.(정간지)
210. 예비지 (豫備紙) [예:비지]
한자: 豫(미리 예:), 備(갖출 비:), 紙(종이 지)
인쇄, 제본, 운송 따위의 과정에서 파손될 것을 예상하여 준비하는 여분의 종이.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紙 종이 지 - 9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