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 (家族) [가족]
한자: 家(집 가), 族(겨레 족)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다.
용례:
- 가족을 부양하다.
- 잃어버렸던 아이가 열흘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왔다.
- 전시회에 가족 단위의 관람객들이 줄을 잇고 있다.
- 천막이나마 오순도순 가족끼리 마음 놓고 살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하는 생각뿐입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2. 각족 (殼族) [각쪽]
한자: 殼(껍질 각), 族(겨레 족)
연체동물 가운데 조가비를 가진 동물을 일상적으로 통틀어 이르는 말.
3. 갑족 (甲族) [갑쪽]
한자: 甲(갑옷 갑), 族(겨레 족)
가문이나 문벌이 아주 훌륭한 집안.
용례:
몇 대에 걸쳐 수령을 많이 배출한 이 명문 갑족 조천 김씨 문중에는 현재 생존해 있는 수령 역임자만 따져도 여덟이나 되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4. 거족 (巨族) [거:족]
한자: 巨(클 거:), 族(겨레 족)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용례:
섣불리 하다가는 척신 거족들에게 미움을 사서 큰코를 다칠는지도 알 수 없으므로….≪김동인, 운현궁의 봄≫
5. 거족 (擧族) [거:족]
한자: 擧(들 거:), 族(겨레 족)
온 겨레나 종족.
6. 결정족 (結晶族) [결쩡족]
한자: 結(맺을 결), 晶(맑을 정), 族(겨레 족)
「1」결정을 그 대칭성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 것. 8종의 대칭성 요소와 그 조합에 따른 32종으로 나누어진다.
「2」결정군을 부분군으로 하는 군.
7. 계족 (系族) [계:족]
한자: 系(이어맬 계:), 族(겨레 족)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려 나온 친족.
8. 고산족 (高山族) [고산족]
한자: 高(높을 고), 山(메 산), 族(겨레 족)
타이완의 원주민. 인도네시아에서 건너와 정착하였으며, 중국인 및 네덜란드인에게 정복된 숙번과, 고유의 문화를 보존하며 산지에 사는 생번으로 분류된다.(고사족,번족)
9. 고족 (孤族) [고족]
한자: 孤(외로울 고), 族(겨레 족)
일가친척이 적어서 외롭게 사는 집안.
10. 고족 (高族) [고족]
한자: 高(높을 고), 族(겨레 족)
지체가 높은 집안.
용례:
그는 이미 대륙을 지배하는 당과 거란에 고족 출신의 맹장으로 알려져 있었다.
11. 공족 (公族) [공족]
한자: 公(공평할 공), 族(겨레 족)
왕(王)이나 공(公) 따위의 신분이 높은 사람의 동족(同族).
용례:
황족과 공족 간의 결혼은 허용되지 않았다.
12. 구족 (九族) [구족]
한자: 九(아홉 구), 族(겨레 족)
「1」고조·증조·조부·부친·자기·아들·손자·증손·현손까지의 동종(同宗) 친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자기를 본위로 직계친은 위로 4대 고조, 아래로 4대 현손에 이르기까지이며, 방계친은 고조의 4대손이
되는 형제·종형제·재종형제·삼종형제를 포함한다.
「2」어머니 쪽인 외조부, 외조모, 이모의 자녀와 처족(妻族)인 장인·장모, 아버지 쪽인 고모의 자녀, 자매의 자녀, 딸의 자녀와 자기의
동족(同族)을 통틀어 이르는 말.
「3」중국에서 이르던 동쪽의 아홉 오랑캐. 견이(畎夷), 우이(于夷), 방이(方夷), 황이(黃夷), 백이(白夷), 적이(赤夷), 현이(玄夷), 풍이(風夷),
양이(陽夷)를 이른다.
용례:
- 「2」혼인한 두 곳에서 서로서로 수를 빌고 복을 빌어 구족이 화합한 곳에서 진심으로 열린 즐거운 잔치가 아니라….≪박종화, 다정불심≫
- 「2」나를 죽여 봐라, 네놈들은 삼대가 망하고 구족이 멸할 거다.≪이병주, 지리산≫
13. 구족 (救族) [구:족]
한자: 救(구원할 구:), 族(겨레 족)
위태로운 지경에 처한 민족을 구해 냄.
14. 구족 (舊族) [구:족]
한자: 舊(예 구:), 族(겨레 족)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지체 높은 집안.
15. 국족 (國族) [국쪽]
한자: 國(나라 국), 族(겨레 족)
임금의 혈족.
16. 군족 (群族) [군족]
한자: 群(무리 군), 族(겨레 족)
뚜렷한 조직이 없이 몇 개의 가족으로 형성된 원시적인 집단.
17. 귀족 (貴族) [귀:족]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가문이나 신분 따위가 좋아 정치적·사회적 특권을 가진 계층. 또는 그런 사람.
용례:
- 그는 왕실로부터 후작의 작위를 받은 귀족이다.
- 몇 사람의 귀족이나 군주들만이 자유를 독점한 시대와 사회가 있었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18. 귀족 (貴族) [귀:족]
한자: 貴(귀할 귀:), 族(겨레 족)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가족이나 겨레를 높여 이르는 말.
19. 극북족 (極北族) [극뿍쪽]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北(북녘 북 | 달아날 배:), 族(겨레 족)
극북어를 사용하는 종족.
20. 근족 (近族) [근:족]
한자: 近(가까울 근:), 族(겨레 족)
촌수가 가까운 일가(一家).
21. 기마민족 (騎馬民族) [기마민족]
한자: 騎(말탈 기), 馬(말 마:), 民(백성 민), 族(겨레 족)
기마에 의한 활동을 생활의 중심으로 하던 민족. 유목 생활을 하던 스키타이·흉노·몽고 따위의 민족, 농경·수렵 생활을 하던 선비·거란 따위의 민족, 수렵 생활을 하던 부여·고구려 따위의 민족으로 나눌 수 있다. 주로 유라시아의 초원 지대에서 유목, 약탈, 정복, 교역 따위를 하였다.
22. 기족 (旗族) [기족]
한자: 旗(기 기), 族(겨레 족)
중국 청나라 때의 만주족을 이르는 말.
23. 나체족 (裸體族) [나:체족]
한자: 裸(벗을 라:), 體(몸 체), 族(겨레 족)
알몸으로 사는 것이 자연스럽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의 무리.
24. 농경민족 (農耕民族) [농경민족]
한자: 農(농사 농), 耕(밭갈[犁田] 경), 民(백성 민), 族(겨레 족)
농사와 가축 사육을 주된 생업으로 하는 민족. 그 특징으로 자급자족 단위의 증대와 인구 증가, 대지에 대한 친근감, 선조 숭배 따위를 들 수 있다.
용례:
- 우리 민족은 농사를 천하의 으뜸가는 일로 삼아 온 농경 민족이다.
- 내륙에 정착한 농경 민족은 대부분의 경우 기마 민족의 기동력에 유린당하는 일이 많았다.
25. 다민족 (多民族) [다민족]
한자: 多(많을 다), 民(백성 민), 族(겨레 족)
여러 민족.
용례:
미국은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이다.
26. 다족 (多族) [다족]
한자: 多(많을 다), 族(겨레 족)
친족이 많음.
27. 단일민족 (單一民族) [다닐민족]
한자: 單(홑 단), 一(한 일), 民(백성 민), 族(겨레 족)
한 나라의 주민이 단일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민족.
용례:
그와 나는 혈통이 같은 단일 민족의 후예라는 것만을 일단 인식하려고 노력했다.≪최일남, 꿈길과 말길≫
28. 단족 (單族) [단족]
한자: 單(홑 단), 族(겨레 족)
「1」세력이 없고 외로운 집안.
「2」한 나라의 주민이 단일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민족.
29. 대가족 (大家族) [대:가족]
한자: 大(큰 대(:)), 家(집 가), 族(겨레 족)
「1」식구 수가 많은 가족.
「2」직계나 방계의 친족 및 노비 따위로 이루어진 가족. 가장권에 의하여 통제되며, 전근대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가족 형태이다.
용례:
- 「1」우리는 사 대가 모여 사는 대가족이다.
- 「1」그러니까 만기는 처가네 식구까지 열네 명이나 되는 대가족을 거느리고 있었던 것이다.≪손창섭, 잉여 인간≫
- 「1」그에게는 현재 부상병 사 명을 포함하여 무려 십칠 명이라는 대가족이 딸려 있는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30. 대족 (大族) [대:족]
한자: 大(큰 대(:)), 族(겨레 족)
자손이 많고 세력이 있는 집안.
31. 동족 (同族) [동족]
한자: 同(한가지 동), 族(겨레 족)
「1」같은 겨레.
「2」한 조상에서 내려온 성과 본이 같은 일가(一家).
용례:
- 「1」동족 의식.
- 「1」우리는 같은 피를 나누고 같은 말을 쓰는 동족이다.
- 「1」어떻게 내 동족을 배반하고 이민족에게 빌붙겠느냐.
- 「2」동족 부락이 형성되다.
32. 등족 (等族) [등:족]
한자: 等(무리 등:), 族(겨레 족)
같은 신분이나 계급에 속하는 무리. 중세의 봉건적 신분 제도에서 유래한 말이다.
33. 만이족 (蠻夷族) [마니족]
한자: 蠻(오랑캐 만), 夷(오랑캐 이), 族(겨레 족)
예전에, 중국 사람들이 중국의 남쪽과 동쪽에 있는 종족을 낮잡는 뜻으로 이르던 말.
34. 만족 (蠻族) [만족]
한자: 蠻(오랑캐 만), 族(겨레 족)
「1」미개하여 문화 수준이 낮은 종족.
「2」예전에, 중국에서 남쪽의 오랑캐라는 뜻으로 남쪽 지방에 사는 민족을 낮잡아 이르던 말.
35. 만주족 (滿洲族) [만주족]
한자: 滿(찰 만(:)), 洲(물가 주), 族(겨레 족)
만주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남방 퉁구스계의 한 종족. 역사상 숙신(肅愼), 읍루(挹婁), 말갈(靺鞨), 여진(女眞) 따위가 이 종족의 전신이며 청나라를 세우기도 하였다.
36. 망족 (望族) [망:족]
한자: 望(바랄 망:), 族(겨레 족)
명망이 있는 집안.
용례:
이른바 한 지방의 유명 사족인 망족으로서, 군과 도의 경계를 넘어 다른 지역 범위에까지 넘나드는 양반의 혼인에….≪최명희, 혼불≫
37. 멸족 (滅族) [멸쪽]
한자: 滅(꺼질/멸할 멸), 族(겨레 족)
한 가족이나 종족을 멸하여 없앰. 또는 한 가족이나 종족이 망하여 없어짐.
용례:
- 멸족을 당하다.
- 그 처형에 있어서 원배를 보내자, 사약을 하자, 멸족을 하자, 여러 가지의 의논이 났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 역모에 연루되어 멸족의 화를 당하게 생긴 사람, 민란에 가담하여 모가지가 위태로운 사람….≪송기숙, 녹두 장군≫
38. 명족 (名族) [명족]
한자: 名(이름 명), 族(겨레 족)
이름난 집안의 겨레붙이.
용례:
서울의 명족들은 다 버리고 단지 향곡의 글을 잘하는 사람 5, 6인을 뽑으면서….≪번역 영조실록≫
39. 모족 (毛族) [모족]
한자: 毛(터럭 모), 族(겨레 족)
털을 가진 네발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40. 목족 (睦族) [목쪽]
한자: 睦(화목할 목), 族(겨레 족)
동족(同族) 또는 친족(親族)끼리 화목하게 지냄.
41. 몽고족 (蒙古族) [몽고족]
한자: 蒙(어두울 몽), 古(예 고:), 族(겨레 족)
몽골고원 지방에 사는, 여러 부족으로 이루어진 아시아의 인종 집단.
42. 문족 (門族) [문족]
한자: 門(문 문), 族(겨레 족)
한집안의 겨레붙이.
용례:
태종 대왕께서 훌륭한 문족에서 뽑아 배필을 구하는데….≪번역 세종실록≫
43. 민족 (民族) [민족]
한자: 民(백성 민), 族(겨레 족)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하면서 언어와 문화상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 집단. 인종이나 국가 단위인 국민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용례:
- 민족의 영웅.
- 민족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분단은 우리 민족에게 엄청난 시련을 가져왔다.
44. 박쥐족 (박쥐族) [박:쮜족]
한자: 族(겨레 족)
낮에는 쉬고 밤에 활동하는 사람들을 낮잡아 이르는 말.
45. 반민족 (反民族) [반:민족]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民(백성 민), 族(겨레 족)
제 민족에게 반역함.
용례:
반민족 행위.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族 겨레 족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族 겨레 족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族 겨레 족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