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반족 (半族) [반:족]
한자: 半(반(半) 반:), 族(겨레 족)
둘로 나뉜 각각의 친족 집단.
47. 반족 (班族) [반족]
한자: 班(나눌 반), 族(겨레 족)
양반의 겨레붙이.
용례:
효덕의 모친은, 도내에서 이름났다 하는 반족의 낭재들 집안은 시집살이 고되다고 아예 마음에서 밀어 두었으나….≪최명희, 혼불≫
48. 방족 (房族) [방족]
한자: 房(방 방), 族(겨레 족)
집안 주인의 친족.
49. 배낭족 (背囊族) [배:낭족]
한자: 背(등 배:), 囊(주머니 낭), 族(겨레 족)
배낭여행을 하는 사람의 무리.
용례:
이 호텔은 가격이 저렴하여 배낭족이 많이 묵는다.
50. 배달민족 (배달民族) [배달민족]
한자: 民(백성 민), 族(겨레 족)
우리 민족을 이르는 말.(배달족)
용례:
우리 배달민족은 결코 다른 나라를 침략해 본 적이 없는 평화 민족이다.
51. 배족 (背族) [배:족]
한자: 背(등 배:), 族(겨레 족)
자기 민족을 등지고 배반함.
52. 백의민족 (白衣民族) [배기민족]
한자: 白(흰 백), 衣(옷 의), 民(백성 민), 族(겨레 족)
흰옷을 입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한반도와 그에 딸린 섬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우리나라의 중심이 되는 민족.)을 이르는 말.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입은 데서 유래한다.
용례:
아버님이 백의민족의 독립을 위해서 싸우고 오셨으면, 일본 놈들이 물러간 이 마당에 우리도 떵떵거리고 살아야….≪최일남, 거룩한 응달≫
53. 번족 (蕃族) [번족]
한자: 蕃(불을 번), 族(겨레 족)
자손이 많아 번성한 집안.
54. 벌족 (閥族) [벌쪽]
한자: 閥(문벌 벌), 族(겨레 족)
나라에 공이 많고 벼슬 경력이 많음. 또는 그런 집안.
용례:
서 참봉네야 뭐 별것도 아니지만 그 벌족이 대단하거든. 외가만 하더라도 한땐 세도가 빨랫줄 같았다고.≪박경리, 토지≫
55. 변족 (邊族) [변족]
한자: 邊(가[側] 변), 族(겨레 족)
문벌이 좋은 집안 가운데 몰락하게 된 겨레붙이. 변두리로 밀려난 겨레붙이라는 뜻이다.
56. 본족 (本族) [본족]
한자: 本(근본 본), 族(겨레 족)
여자의 친정 친족.
57. 부양가족 (扶養家族) [부양가족]
한자: 扶(도울 부), 養(기를 양:), 家(집 가), 族(겨레 족)
처자나 부모 형제 등 자기가 부양하고 있는 가족. 또는 부양하여야 하는 가족.
용례:
그는 부양가족이 많아 늘 생활고에 시달린다.
58. 부여족 (夫餘族) [부여족]
한자: 夫(지아비 부), 餘(남을 여), 族(겨레 족)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 약 1,000년 동안 북만주에서 부여국을 세워 활동한 예맥족의 종족. 철기를 사용하고 영고(迎鼓)라는 제천 의식을 행하였으며 순장과 일부다처제의 풍습이 있었다.
59. 부족 (夫族) [부족]
한자: 夫(지아비 부), 族(겨레 족)
남편의 친족.
60. 부족 (附族) [부:족]
한자: 附(붙을 부(:)), 族(겨레 족)
혈연관계가 없거나 분명하지 아니하면서도 일가처럼 지내는 사람들.
61. 부족 (副族) [부:족]
한자: 副(버금 부:), 族(겨레 족)
원소 주기율표에서, 원소의 성질을 여덟 족으로 나누었을 때 각 족(族)의 베타 부분에 속하는 아족(亞族). 제1족부터 제8족까지 같은 족에 속하는 원소들은 성질의 차이에 따라 A, B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현재는 18족으로 나누어 생각하여 이러한 개념이 없어졌다.
62. 부족 (部族) [부족]
한자: 部(떼 부), 族(겨레 족)
「1」같은 조상·언어·종교 등을 가진, 원시 사회나 미개 사회의 구성단위가 되는 지역적 생활 공동체.
「2」성(姓)과 본(本)이 같은 겨레붙이.
용례:
- 「1」부족 공동체.
- 「1」부족 통일.
- 「1」부족 단위로 생활하다.
- 「1」부족 사이의 갈등으로 전쟁이 일어나다.
63. 분석족 (分析族) [분석쪽]
한자: 分(나눌 분(:)), 析(쪼갤 석), 族(겨레 족)
정성 분석에서 여러 가지 이온의 혼합물을 계통적으로 검출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나누어 놓은 이온의 무리.
64. 비족 (鄙族) [비:족]
한자: 鄙(더러울 비:), 族(겨레 족)
자기 겨레붙이를 낮추어 이르는 말.
65. 빈족 (貧族) [빈족]
한자: 貧(가난할 빈), 族(겨레 족)
가난한 족속이나 사람.
66. 사양족 (斜陽族) [사양족]
한자: 斜(비낄 사), 陽(볕 양), 族(겨레 족)
급격하게 사회가 변함에 따라 몰락한 명문 가족.
67. 사족 (士族) [사:족]
한자: 士(선비 사:), 族(겨레 족)
「1」문벌이 좋은 집안. 또는 그 자손.
「2」선비나 무인(武人)의 집안. 또는 그 자손.
용례:
「2」본래부터 의관한 사족의 집안이 아닌 자는 당분간 그 침실에서 제사 지내게 하소서.≪번역 세종실록≫
68. 산소족 (酸素族) [산소족]
한자: 酸(실[味覺] 산), 素(본디/흴[白] 소(:)), 族(겨레 족)
산소와 성질이 비슷한 황, 셀레늄, 텔루륨, 폴로늄 따위의 원소가 속하고 있는 족.
69. 삼족 (三族) [삼족]
한자: 三(석 삼), 族(겨레 족)
「1」부모, 형제, 처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아버지, 아들, 손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3」부계(父系), 모계(母系), 처계(妻系)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2」조석으로 좋이 없는 백성 잡아 삼족이 살찌게 먹이고….≪이문구, 오자룡≫
- 「3」삼족을 멸하다.
- 「3」지식인들은 삼족을 멸하는 당쟁의 검은 선풍 속에서 울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3」나 혼자만 죽고 마는 것이 아니고 내 가족과 외족, 처족까지 삼족이 멸하는 멸문지화를 당하는 일입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70. 서장족 (西藏族) [서장족]
한자: 西(서녘 서), 藏(감출 장:), 族(겨레 족)
주로 티베트고원 일대에 사는 몽골계의 한 종족. 티베트어를 사용하고 라마교를 믿으며 농사를 짓는 단두(短頭) 민족과 유목 생활을 하는 장두(長頭) 민족으로 나눈다.
71. 서족 (庶族) [서:족]
한자: 庶(여러 서:), 族(겨레 족)
서자 자손의 혈족.(좌족)
72. 서족 (鼠族) [서:족]
한자: 鼠(쥐 서:), 族(겨레 족)
쥐의 족속이라는 뜻으로, 몹시 교활하고 약은 사람을 이르는 말.
73. 성가족 (聖家族) [성:가족]
한자: 聖(성인 성:), 家(집 가), 族(겨레 족)
성모 마리아, 요셉, 예수로 이루어진 거룩한 가정.
74. 성족 (姓族) [성:족]
한자: 姓(성 성:), 族(겨레 족)
한 조상에서 내려온 성과 본이 같은 일가(一家).
75. 성족 (盛族) [성:족]
한자: 盛(성할 성:), 族(겨레 족)
세력 따위가 왕성한 족속.
76. 세족 (世族) [세:족]
한자: 世(인간 세:), 族(겨레 족)
여러 대를 계속하여 나라의 중요한 자리를 맡아 오거나 특권을 누려 오는 집안.
용례:
그도 또한 조선의 신하로서 그 집안으로 말하면 세족이요, 그 벼슬로 말하면 참판이다.≪번역 정조실록≫
77. 세족 (勢族) [세:족]
한자: 勢(형세 세:), 族(겨레 족)
세력이 있는 족속.
용례:
그 일문의 융성은 예로 들먹이기 어려울 만큼 번다해진 세족이었다.≪이문구, 오자룡≫
78. 소가족 (小家族) [소:가족]
한자: 小(작을 소:), 家(집 가), 族(겨레 족)
「1」식구 수가 적은 가족.
「2」한 쌍의 부부와 미혼의 자녀만으로 구성된 가족.
용례:
「1」지금은 사농공상의 직업을 따라서 대부분이 각처로 분산하고 남아 있는 식구들도 소가족으로 자취를 원하므로 사무실에서도 물자만 배급한다고 한다.≪김구, 백범일지≫
79. 소수민족 (少數民族) [소:수민족]
한자: 少(적을 소:), 數(셈 수:), 民(백성 민), 族(겨레 족)
다민족 국가에서 지배적 세력을 가진 민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적고 언어와 관습 따위를 달리하는 민족.
80. 소족 (素族) [소족]
한자: 素(본디/흴[白] 소(:)), 族(겨레 족)
관직에 있지 아니한 일반 백성.
81. 수족 (水族) [수족]
한자: 水(물 수), 族(겨레 족)
물에 사는 생물의 족속.
82. 시가족 (媤家族) [시가족]
한자: 媤(시집 시), 家(집 가), 族(겨레 족)
시집의 식구.
용례:
며느리와 시가족 사이가 화목하다.
83. 씨족 (氏族) [씨족]
한자: 氏(각시/성씨(姓氏) 씨), 族(겨레 족)
공동의 조상을 가진 혈연 공동체. 원시 사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부족 사회의 기초 단위로서, 대개는 족외혼의 관습에 의하여 유지된다.
84. 아연족 (亞鉛族) [아연족]
한자: 亞(버금 아(:)), 鉛(납 연), 族(겨레 족)
아연, 카드뮴, 수은의 세 원소를 이르는 말. 은백색의 부드러운 금속으로, 녹는점과 끓는점이 낮고, 휘발하기 쉽다. 주기율표에서 12족에 속한다.
85. 아족 (亞族) [아:족]
한자: 亞(버금 아(:)), 族(겨레 족)
성질의 차이에 따라 원소들을 나눈 두 개의 작은 족. 주기율표의 제1족부터 제8족까지 A, B의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A부분을 주족(主族), B부분을 부족(副族)이라 한다.
86. 애족 (愛族) [애:족]
한자: 愛(사랑 애(:)), 族(겨레 족)
자기 겨레를 사랑함.
용례:
- 애족 애민.
- 투철한 애족의 정신.
87. 야만족 (野蠻族) [야:만족]
한자: 野(들[坪] 야:), 蠻(오랑캐 만), 族(겨레 족)
미개하여 문화 수준이 낮은 종족.
용례:
도예를 가르치고 불상을 바다에 띄워 보내 주고 그렇게 예술을 전수해 주었는데 우리는 지금 저들에게 야만족으로 매도되고 있다.≪박경리, 토지≫
88. 얌체족 (얌체族) [얌체족]
한자: 族(겨레 족)
얌체 짓을 하는 무리.
용례:
어질고 착한 백성이니 용서해 주리라는 걸 미끼 삼아 그때그때의 권력에 붙어사는 얌체족이나 길러 내야 한다는 건가.≪황순원, 움직이는 성≫
89. 어족 (魚族) [어족]
한자: 魚(고기/물고기 어), 族(겨레 족)
척추동물문의 연골어강, 경골어강, 먹장어강, 두갑강, 조기강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거의 유선형이며 비늘로 덮여 있다. 지느러미와 부레가 있어 물속을 헤엄쳐 다니고 아가미로 호흡한다. 대부분은 난생인데 난태생도 있다.
용례:
망망대해 푸른 물결 속에는 어족의 떼가 무진장으로 살아서 다시 이 겨레의 영양을 살찌게 한다.≪박종화, 임진왜란≫
90. 어족 (語族) [어:족]
한자: 語(말씀 어:), 族(겨레 족)
계통상 하나로 묶이는 언어의 종족. 인도·유럽 어족, 알타이 어족, 셈 어족 따위가 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族 겨레 족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族 겨레 족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族 겨레 족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