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미개간지 (未開墾地) [미:개간지]
한자: 未(아닐 미(:)), 開(열 개), 墾(개간할 간), 地(따 지)
아직 개간하지 못하였거나 아니한 땅.
용례: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미개간지를 개척하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22. 미개지 (未開地) [미:개지]
한자: 未(아닐 미(:)), 開(열 개), 地(따 지)
「1」문화가 발달하지 못하고 생활·문화 수준이 낮은 땅.
「2」과학·문화 따위에서 아직 개척하지 못한 분야.
용례:
- 「1」황 박사는 미개지 아프리카에서 사랑의 의술을 폈다.
- 「2」인간의 뇌에 관한 것은 의술 분야의 미개지이다.
- 「2」개척자들 앞에 미개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123. 미개척지 (未開拓地) [미:개척찌]
한자: 未(아닐 미(:)), 開(열 개), 拓(넓힐 척), 地(따 지)
「1」아직 개척하지 못했거나 아니한 땅.
「2」과학·문화 따위에서 아직 개척하지 못한 분야.
용례:
- 「1」지구상에는 아직도 미개척지가 많이 남아 있다.
- 「2」과학 분야에서 미개척지의 하나는 인간의 뇌이다.
124. 민유지 (民有地) [미뉴지]
한자: 民(백성 민), 有(있을 유:), 地(따 지)
개인이 소유한 땅.
용례:
기지가 민유지라 땅값은 아니 들었고….≪심훈, 상록수≫
125. 밀원지 (蜜源地) [미뤈지]
한자: 蜜(꿀 밀), 源(근원 원), 地(따 지)
벌이 꿀을 빨아 오는 원천이 되는 식물이 많이 있는 지역.
용례:
양봉업자들은 철 따라 밀원지를 찾아다닌다.
126. 반음지 (半陰地) [바:늠지]
한자: 半(반(半) 반:), 陰(그늘 음), 地(따 지)
절반 정도 응달이 진 곳.
용례:
- 반음지 식물.
- 반음지의 비옥한 토양.
- 반음지와 같이 그늘이 조금 진 곳에 야생화가 많다고 한다.
127. 반입지 (搬入地) [바닙찌]
한자: 搬(옮길 반), 入(들 입), 地(따 지)
물건을 들여오는 목적지.
128. 반출지 (搬出地) [반출찌]
한자: 搬(옮길 반), 出(날[生] 출), 地(따 지)
물건을 실어 내가는 목적지.
용례:
- 제품의 반출지.
- 반출지는 부산이다.
129. 발굴지 (發掘地) [발굴찌]
한자: 發(필 발), 掘(팔 굴), 地(따 지)
고분, 유적, 유물 따위를 캐내는 곳.
용례:
- 이곳은 백제 유물의 발굴지이다.
- 발굴지에서 화석이 나왔다.
130. 발상지 (發祥地) [발쌍지]
한자: 發(필 발), 祥(상서 상), 地(따 지)
「1」역사적으로 큰 가치가 있는 어떤 일이나 사물이 처음 나타난 곳.
「2」예전에, 나라를 세운 임금이 태어난 땅을 이르던 말.
용례:
- 「1」민족의 발상지.
- 「1」고대 문명의 발상지.
- 「2」조선 태조의 발상지는 함경도 지방이었다.
131. 발생지 (發生地) [발쌩지]
한자: 發(필 발), 生(날 생), 地(따 지)
어떤 일이나 사물이 생겨난 곳.
용례:
- 사건 발생지.
- 중국은 한자의 발생지이다.
- 저물녘에 소요의 발생지인 보성리에 당도한 교인들은 총을 쏘아 대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32. 발송지 (發送地) [발쏭지]
한자: 發(필 발), 送(보낼 송:), 地(따 지)
물건, 편지, 서류 따위를 부치거나 보낸 곳.
용례:
- 그 물건의 발송지가 서울인 것을 보니 아마도 아드님이 선물을 보낸 듯합니다.
- 상품을 보낼 때는 발송지를 분명하게 써야 한다.
- 뜻밖에도 유인실이라는 이름이 정확한 필치로 적혀 있었다. 편지의 발송지는 서울이 아닌 동경이었다.≪박경리, 토지≫
133. 발신지 (發信地) [발씬지]
한자: 發(필 발), 信(믿을 신:), 地(따 지)
소식이나 우편 또는 전신을 보낸 지역.
용례:
그 편지는 보낸 사람 이름은 없지만 발신지가 서울인 것으로 보아 친구가 보낸 것인 듯하다.
134. 발원지 (發源地) [바뤈지]
한자: 發(필 발), 源(근원 원), 地(따 지)
「1」흐르는 물줄기가 처음 시작한 곳.
「2」어떤 사회 현상이나 사상 따위가 맨 처음 생기거나 일어난 곳.
용례:
- 「1」민족의 영산(靈山)인 백두산은 압록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 「1」풍천내는…큰 하천과 합쳐지게 되지만 샛골을 감싸고 흐를 때가 제일 물이 맑았다. 그 물의 발원지인 물내울칼봉과 가까웠기 때문이다.≪박완서, 미망≫
- 「2」제일 차 세계 대전의 발원지는 동유럽의 한 도시였다.
135. 발진기지 (發進基地) [발찐기지]
한자: 發(필 발), 進(나아갈 진:), 基(터 기), 地(따 지)
출발 진지로 이용되는 기지.
용례:
항공 모함은 떠다니는 발진 기지인 셈이다.
136. 발착지 (發着地) [발착찌]
한자: 發(필 발), 着(붙을 착), 地(따 지)
기차, 자동차, 비행기 따위가 출발하고 도착하는 곳.
용례:
이곳은 평원과 산맥을 오가는 기차나 비행기의 발착지로 이용된다.
137. 발행지 (發行地) [발행지]
한자: 發(필 발), 行(다닐 행(:)), 地(따 지)
「1」출판물을 발행한 곳.
「2」어음이나 수표 따위가 발행된 곳. 발행지는 기재 항목 가운데 하나로서 실제 존재하는 지역이어야 한다. 그 기재가 없는 때에도 발행인의 명칭에 부기(附記)한 경우가
있을 때에는 그곳을 발행지로 본다.
용례:
「1」이 책의 발행지는 뉴욕이라서 구하기 어렵다.
138. 방목지 (放牧地) [방:목찌]
한자: 放(놓을 방(:)), 牧(칠[養] 목), 地(따 지)
가축을 놓아기르는 일정한 땅이나 장소.
139. 밭도지 (밭賭地) [받또지]
한자: 賭(내기 도), 地(따 지)
「1」남의 밭을 빌려서 부치고 그 삯으로 해마다 주인에게 내는 현물. 또는 그렇게 내는 삯.
「2」삯을 주고 주인에게 빌려서 부치는 밭.
용례:
- 「1」밭도지 보리.
- 「1」밭도지 2년 치를 미리 주다.
- 「1」금년 농사에 1평당 1천 원씩의 밭도지가 들어갔다.
- 「1」대관절 올 밭도지 벼 두 섬 반은 뭘로 해내야 좋을지.≪김유정, 금 따는 콩밭≫
- 「2」밭도지를 얻다.
- 「2」밭도지 400평과 논 다섯 마지기를 임대하다.
140. 배송지 (配送地) [배:송지]
한자: 配(나눌/짝 배:), 送(보낼 송:), 地(따 지)
물품을 다른 곳으로 보낼 때 그 물품을 받는 장소.
용례:
물건을 보냈는데 배송지가 명확하지 않다며 반송되었다.
141. 백사지 (白沙地) [백싸지]
한자: 白(흰 백), 沙(모래 사), 地(따 지)
「1」흰모래가 깔려 있는 땅.
「2」곡식이나 초목 따위가 자라지 못하는 메마른 땅.
「3」의지할 데가 도무지 없는 객지나 타향.
용례:
「3」나는 그날 새벽 김해 고향을 하직하고 서울로 올라와서 이삼 삭 동안 백사지에서 죽을 고생 다했네.≪홍명희, 임꺽정≫
142. 백지 (白地) [백찌]
한자: 白(흰 백), 地(따 지)
「1」농사가 안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2」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
용례:
「1」삼 년 동안 면세하여 주기로 한 개간지에 과세를 하고, 심지어는 백지에까지 징세하는 등 농민들에게 부담을 강요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43. 백지 (白地) [백찌]
한자: 白(흰 백), 地(따 지)
아무 턱도 없이.
용례:
- 백지 죄 없는 나보고만 성을 내네.≪박경리, 토지≫
- 백지 모르는 남남끼리 내외라고 정해 놓고 시집을 살러 왔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모를 일이다.≪이기영, 봄≫
144. 번식지 (繁殖地) [번식찌]
한자: 繁(번성할 번), 殖(불릴 식), 地(따 지)
동물들이 새끼를 치며 번식하는 장소.
145. 번지 (番地) [번지]
한자: 番(차례 번), 地(따 지)
「1」땅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서 매겨 놓은 번호. 또는 그 땅.
「2」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 장소의 위치.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수. 바이트(byte)를 단위로 부여한다.
용례:
- 「1」번지 없는 주막.
- 「1」종로 1번지.
- 「1」이 편지에는 받는 사람의 번지가 적혀 있지 않습니다.
- 「1」당신은 몇 번지에 삽니까?
146. 번화지 (繁華地) [번화지]
한자: 繁(번성할 번), 華(빛날 화), 地(따 지)
번성하여 화려한 곳.
용례:
- 저렇게 철도를 부설하며 시가를 개척하여 점점 번화지가 되어 가니….≪최찬식, 추월색≫
- 언덕 하나만 넘어서면 그만인 바로 전찻길인 번화지가 된다.≪염상섭, 올수≫
147. 벽지 (僻地) [벽찌]
한자: 僻(궁벽할 벽), 地(따 지)
외따로 뚝 떨어져 있는 궁벽한 땅.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교통이 불편하고 문화의 혜택이 적은 곳을 이른다.
용례:
- 낙도 및 벽지 주민을 위한 진료 활동.
- 괘관산은…산세는 비교적 유순해도 지리산 이상으로 벽지로서 인근에 촌락이 없고 따라서 찾는 사람도 드물었다.≪이병주, 지리산≫
148. 변지 (邊地) [변지]
한자: 邊(가[側] 변), 地(따 지)
「1」변두리의 땅.
「2」나라의 경계가 되는 변두리의 땅.
「3」극락의 변두리 땅. 극락왕생의 염불을 하면서도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에 의혹을 품는 사람들이 태어나는 곳이다.
용례:
- 「1」강도의 초범으로 죽일 죄상이 없는 자는 이마에 강도라고 자자(刺字)하여 먼 변지로 귀양을 보내고….≪홍명희, 임꺽정≫
- 「2」이때 함경도 북쪽 변지에서는 또다시 오랑캐들이 노략질하고 날뛰기 시작하니….≪박종화, 임진왜란≫
149. 별천지 (別天地) [별천지]
한자: 別(다를/나눌 별), 天(하늘 천), 地(따 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용례:
그의 집 정원은 봄이 되면 기화요초가 아름답게 만발하여 별천지를 이룬다.
150. 병참기지 (兵站基地) [병참기지]
한자: 兵(병사 병), 站(역(驛)마을 참(:)), 基(터 기), 地(따 지)
병참에 쓰는 근거지.
용례:
전방의 각 병참 기지에는 탄약과 장비 따위의 보급품이 끊임없이 도착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151. 복지 (卜地) [복찌]
한자: 卜(점 복), 地(따 지)
살 만한 곳을 가려서 정함.
용례:
집을 지을 때 제일 먼저 문제가 되는 것은 복지이고 다음은 선택된 대지와 주거의 좌향이다.
152. 복지 (福地) [복찌]
한자: 福(복 복), 地(따 지)
「1」신선들이 사는 곳.
「2」행복을 누리며 잘 살 수 있는 땅.
「3」풍수지리에서, 집터의 운이 좋아 운수가 트일 땅.
「4」인류의 시조가 타락하기 전에 살았다는 곳.
용례:
- 「2」하루하루의 생활이 즐겁다. 그리고 이 오지가 복지로 전환될 날도 그리 멀지는 않을 것 같다.≪오영수, 오지에서 온 편지≫
- 「3」만복이 우러나는 복지 아니고서는 이만한 물과 음식을 낼 수 없으리라.≪최명희, 혼불≫
153. 본거지 (本據地) [본거지]
한자: 本(근본 본), 據(근거 거:), 地(따 지)
활동의 근거로 삼는 곳.
용례:
-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반도 땅은 일본인의 경제 침략의 본거지가 되고….≪김원일, 불의 제전≫
- 포로가 있으면 앞장을 세워 적의 본거지를 쉽게 찾을 수 있을 테니까….≪안정효, 하얀 전쟁≫
154. 본적지 (本籍地) [본적찌]
한자: 本(근본 본), 籍(문서 적), 地(따 지)
호적법에서, 호적이 있는 지역을 이르던 말.
용례:
그는 본적지의 호적부에는 일체의 공식 기록이 백지인 채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155. 봉지 (封地) [봉지]
한자: 封(봉할 봉), 地(따 지)
제후의 영토.
용례:
그대가 내 땅에 머물러 살기를 청하면 땅은 비록 좁고 메마르나 천 리를 베어 그대의 봉지로 주겠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56. 부임지 (赴任地) [부:임지]
한자: 赴(다다를[趨而至]/갈[趨] 부:), 任(맡길 임(:)), 地(따 지)
임무를 받아 근무하는 곳.
용례:
아버지의 부임지를 따라 이북의 끝인 신의주에서 보낸 2년간은 내 어린 나이와 함께 잊히지 않는 그리움 때문에….≪전혜린,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157. 부지 (敷地) [부지]
한자: 敷(펼 부(:)), 地(따 지)
건물을 세우거나 도로를 만들기 위하여 마련한 땅.
용례:
- 공장 부지.
- 학교 부지.
- 부지 확보.
- 부지 매입.
- 공원 부지를 마련하다.
- 그 공터는 놀이터 부지로 결정되었다.
- 문제는 새로 지은 교회의 건물과 부지를 자기 앞으로 등기한 것입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158. 분양지 (分讓地) [부냥지]
한자: 分(나눌 분(:)), 讓(사양할 양:), 地(따 지)
일정한 땅을 몇으로 나누어 파는 토지.
용례:
땅 주인은 지역 신문 광고란에 분양지 매각 공고를 내어 땅을 팔았다.
159. 분여지 (分與地) [부녀지]
한자: 分(나눌 분(:)), 與(더불/줄 여:), 地(따 지)
갈라서 나누어 준 땅.
용례:
왕은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영주들에게 나누어 주었던 분여지를 거둬들이기 시작했다.
160. 분지 (盆地) [분지]
한자: 盆(동이 분), 地(따 지)
해발 고도가 더 높은 지형으로 둘러싸인 평지. 보통의 평야보다 해발 고도가 높으며, 기온의 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