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귀래 (歸來) [귀:래]
한자: 歸(돌아갈 귀:), 來(올 래(:))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옴.
용례:
고향 사람들은 언제든지 너의 귀래를 환영한다.
47. 귀래가 (歸來歌) [귀:래가]
한자: 歸(돌아갈 귀:), 來(올 래(:)), 歌(노래 가)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고된 시집살이 끝에 친정에 왔다가 고향 산천과 동료, 친지들과 이별하고 다시 시집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하였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48. 귀령법 (歸零法) [귀:령뻡]
한자: 歸(돌아갈 귀:), 零(떨어질/영[數字] 령), 法(법 법)
전압이나 전류 따위의 값이 영이 되도록 장치를 조절하여 측정하는 방법. 감도가 좋아서 정밀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으나 조절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전기다리미 측정법이 대표적이다.
49. 귀로 (歸路) [귀:로]
한자: 歸(돌아갈 귀:), 路(길 로:)
「1」돌아오는 길.
「2」전원에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 또는 선로에서 전류가 돌아오는 회로.
용례:
- 「1」일을 마치고 저마다 지붕 밑의 온도를 찾아 돌아가는 밤의 귀로에서 사람들의 피곤한 눈매와 마주친다.≪법정, 무소유≫
- 「1」그 위엔 귀로에 오른 장꾼들이 몇 있을 뿐, 그녀들의 모습은 역시 보이지 않았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50. 귀로 (歸老) [귀:로]
한자: 歸(돌아갈 귀:), 老(늙을 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노후를 보냄.
51. 귀류법 (歸謬法) [귀:류뻡]
한자: 歸(돌아갈 귀:), 謬(그르칠 류), 法(법 법)
어떤 명제가 참임을 직접 증명하는 대신, 그 부정 명제가 참이라고 가정하여 그것의 불합리성을 증명함으로써 원래의 명제가 참인 것을 보여 주는 간접 증명법.
52. 귀매 (歸妹) [귀:매]
한자: 歸(돌아갈 귀:), 妹(누이 매)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진괘(震卦)와 태괘(兌卦)가 거듭난 것으로 못 위에 우레가 있음을 상징한다.(귀매괘)
53. 귀명 (歸命) [귀:명]
한자: 歸(돌아갈 귀:), 命(목숨 명:)
삼보(三寶)에 돌아가 몸과 마음을 불도에 의지함.
54. 귀명상 (歸命想) [귀:명상]
한자: 歸(돌아갈 귀:), 命(목숨 명:), 想(생각 상:)
부처가 구원하여 주기를 바라는 생각.
55. 귀명하다 (歸命하다) [귀:명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命(목숨 명:)
삼보(三寶)에 돌아가 몸과 마음을 불도에 의지하다.
용례:
불법에 귀명하다.
56. 귀몽 (歸夢) [귀:몽]
한자: 歸(돌아갈 귀:), 夢(꿈 몽)
고향으로 돌아가는 꿈을 꿈. 또는 그 꿈.
용례:
어젯밤에 귀몽을 꾸었는데 고향에 계시는 부모님께 무슨 일이 있으신 게 아닐까?
57. 귀범하다 (歸帆하다) [귀:범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帆(돛 범:)
멀리 나갔던 돛단배가 돌아오다.
용례:
지금은 역풍이 불어서 귀범하기는 어렵다.
58. 귀복 (歸伏) [귀:복]
한자: 歸(돌아갈 귀:), 伏(엎드릴 복)
반항심을 버리고 순종하여 항복함.
용례:
저항 세력의 귀복을 유도하다.
59. 귀복 (歸復) [귀:복]
한자: 歸(돌아갈 귀:), 復(회복할 복)
다시 돌아옴.
용례:
해외 파견 근무를 마친 부장의 귀복이 곧 있을 거라고 한다.
60. 귀복하다 (歸伏하다) [귀:보카다]
한자: 歸(돌아갈 귀:), 伏(엎드릴 복)
반항심을 버리고 순종하여 항복하다.
용례:
조정에서는 반란군이 귀복한다면 죄를 묻지 않기로 했다.
61. 귀복하다 (歸服하다) [귀:보카다]
한자: 歸(돌아갈 귀:), 服(옷 복)
귀순하여 복속하다.
용례:
탐라국은 백제에 귀복하였다.
62. 귀본 (歸本) [귀:본]
한자: 歸(돌아갈 귀:), 本(근본 본)
진적(眞寂)의 본원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승려의 죽음을 이르는 말.
63. 귀부 (歸附) [귀:부]
한자: 歸(돌아갈 귀:), 附(붙을 부(:))
스스로 와서 복종함.
용례:
우리 전하께서 잠저에 계셨을 때로부터 덕망이 날로 높아져서 천명과 인심의 귀부가 저절로 있게 되었던 것이다.≪번역 태조실록≫
64. 귀부하다 (歸附하다) [귀:부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附(붙을 부(:))
스스로 와서 복종하다.
용례:
- 우리 장군의 고매한 인품에 감복하여 귀부하는 장군이 적잖다.
- 야인이 처음에는 귀부해 오나 믿기 어려우므로, 나의 기대하고 바라는 바가 바야흐로 깊은데, 경이 어찌 갑자기 사임하고자 하는가.≪번역 세종실록≫
65. 귀비탕 (歸脾湯) [귀:비탕]
한자: 歸(돌아갈 귀:), 脾(지라 비(:)), 湯(끓을 탕:)
정신을 안정시키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하는 보약. 신경 쇠약, 불면증, 건망증, 유정(遺精) 따위의 치료에 쓴다.
66. 귀비환 (歸脾丸) [귀:비환]
한자: 歸(돌아갈 귀:), 脾(지라 비(:)), 丸(둥글 환)
귀비탕을 갈아서 환(丸)으로 만든 보약.
67. 귀사 (歸思) [귀:사]
한자: 歸(돌아갈 귀:), 思(생각 사(:))
참으로 사모하여 마음이 이끌림.
68. 귀산 (歸山) [귀:산]
한자: 歸(돌아갈 귀:), 山(메 산)
산중에 있는 절이나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69. 귀서 (歸棲) [귀:서]
한자: 歸(돌아갈 귀:), 棲(깃들일 서:)
「1」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2」동물이 집이나 둥지로 돌아감.
70. 귀선 (歸線) [귀:선]
한자: 歸(돌아갈 귀:), 線(줄 선)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두 줄 이상의 도선(導線) 가운데 전기 장치와 회로 부품을 거쳐 접지 쪽으로 돌아가는 선.
71. 귀선 (歸船) [귀:선]
한자: 歸(돌아갈 귀:), 船(배 선)
「1」항구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배.
「2」배에서 내린 사람이 그 배로 다시 되돌아감.
용례:
「1」먹구름이 몰려오고 풍랑이 일자 어선들은 급히 귀선을 서둘렀다.
72. 귀선하다 (歸船하다) [귀:선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船(배 선)
배에서 내린 사람이 그 배로 다시 되돌아가다.
용례:
부두에서 볼일을 보던 선원들이 출항 시간이 가까워 오자 모두 귀선했다.
73. 귀성 (歸城) [귀:성]
한자: 歸(돌아갈 귀:), 城(재 성)
성(城)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74. 귀성 (歸省) [귀:성]
한자: 歸(돌아갈 귀:), 省(살필 성)
부모를 뵙기 위하여 객지에서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귀근)
용례:
- 고속 도로 하행선이 귀성 차량으로 정체되었다.
- 시골이 고향인 사람들은 설 연휴를 맞아 귀성을 준비하기에 바빴다.
75. 귀성 (歸性) [귀:성]
한자: 歸(돌아갈 귀:), 性(성품 성:)
미혹이 없는 본성으로 돌아가는 일. 생멸하는 온갖 법의 차별화되어 있는 형태를 받아들여 진여(眞如)의 본성에 귀일하게 한다.
76. 귀성객 (歸省客) [귀:성객]
한자: 歸(돌아갈 귀:), 省(살필 성), 客(손 객)
부모를 뵙기 위하여 객지에서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여객.
용례:
추석 이틀 전부터 서울역은 귀성객으로 크게 붐볐다.
77. 귀성길 (歸省길) [귀:성낄]
한자: 歸(돌아갈 귀:), 省(살필 성)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길.
용례:
- 귀성길 교통 상황.
- 그녀는 귀성길에 오르기 전부터 부모님께 드릴 선물을 챙기느라 바빴다.
- 시집살이라고 할 것도 없는 돌내골 생활이었지만, 그래도 쌓인 피로가 있었던지 방학을 한 동영이 귀성길에 데리러 올 때까지의 한 달 가까운 친정살이를 정인은 줄곧 잠으로 때웠다.≪이문열, 영웅시대≫
78. 귀성열차 (歸省列車) [귀:성녈차]
한자: 歸(돌아갈 귀:), 省(살필 성), 列(벌릴 렬), 車(수레 차)
명절이나 방학 때에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람을 위하여 특별히 운행하는 열차.
용례:
- 역은 귀성열차를 타려는 사람들로 몹시 붐볐다.
- 양손 가득히 선물 꾸러미를 든 사람들의 마음은 귀성열차에 오르기도 전에 벌써 고향에 가 있었다.
79. 귀성하다 (歸省하다) [귀:성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省(살필 성)
부모를 뵙기 위하여 객지에서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다.
용례:
- 원한용은 일본 경응 대학 재학 중 방학에 귀성해 있다가 불온서적을 소유하고 있는 사실이 발각되어 대전 형무소에 수감되었다.≪이병주, 지리산≫
- 나는 여름 방학에 귀성한 채 다시 동경으로 건너가지 않고….≪최정희, 지맥≫
80. 귀소 (歸巢) [귀:소]
한자: 歸(돌아갈 귀:), 巢(새집 소)
동물이 집이나 둥지로 돌아감.
용례:
귀가는 휘황한 헤드라이트를 앞세우고 엔진 소리도 요란하게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무릅쓴 동물의 귀소처럼 야성적으로 보였다.≪박완서, 엄마의 말뚝≫
81. 귀소본능 (歸巢本能) [귀:소본능]
한자: 歸(돌아갈 귀:), 巢(새집 소), 本(근본 본), 能(능할 능)
동물이 자기 서식처나 둥지로 되돌아오는 성질이나 능력. 꿀벌, 개미, 비둘기, 제비 따위에서 현저히 나타난다.(귀가성, 귀소성)
82. 귀속 (歸屬) [귀:속]
한자: 歸(돌아갈 귀:), 屬(붙일 속)
「1」재산이나 영토, 권리 따위가 특정 주체에 붙거나 딸림.
「2」어떤 개인이 특정 단체의 소속이 됨.
용례:
「1」그나마도 지금까지 조선 정부가 간도 귀속 문제로 싸워 내려온 내력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더욱 분개했다.≪안수길, 북간도≫
83. 귀속 (歸俗) [귀:속]
한자: 歸(돌아갈 귀:), 俗(풍속 속)
승려가 다시 속인이 됨. 또는 그런 일.
84. 귀속되다 (歸屬되다) [귀:속뙤다]
한자: 歸(돌아갈 귀:), 屬(붙일 속)
「1」재산이나 영토, 권리 따위가 특정 주체에 붙거나 딸리게 되다.
「2」어떤 개인이 특정 단체의 소속이 되다.
용례:
- 「1」그 땅은 학교에 귀속되어 있다.
- 「2」한익을 남편으로 맞이한 효진은 이제부터는 우씨가 아닌 박씨 가문의 일인으로 귀속되었다.≪홍성원, 육이오≫
85. 귀속하다 (歸屬하다) [귀:소카다]
한자: 歸(돌아갈 귀:), 屬(붙일 속)
「1」재산이나 영토, 권리 따위가 특정 주체에 붙거나 딸리다. 또는 그렇게 하다.
「2」어떤 개인이 특정 단체의 소속이 되다. 또는 그렇게 하다.
용례:
- 「1」상속인이 없는 재산은 국가에 귀속하게 된다.
- 「1」해방이 되자 정부는 일본 사람들이 쓰던 물건이나 가옥을 국가에 귀속했다.
86. 귀숙 (歸宿) [귀:숙]
한자: 歸(돌아갈 귀:), 宿(잘 숙)
숙박하는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87. 귀순 (歸順) [귀:순]
한자: 歸(돌아갈 귀:), 順(순할 순:)
적이었던 사람이 반항심을 버리고 스스로 돌아서서 복종하거나 순종함.
용례:
- 귀순 용사.
- 빛을 튀기며 떨어진 전단은 공산당 입산자나 지하 공작원의 귀순 권유 내용을 담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88. 귀순병 (歸順兵) [귀:순병]
한자: 歸(돌아갈 귀:), 順(순할 순:), 兵(병사 병)
적으로 맞서던 상황에서 반항심을 버리고 복종하거나 순종하여 온 병사.
89. 귀순자 (歸順者) [귀:순자]
한자: 歸(돌아갈 귀:), 順(순할 순:), 者(놈 자)
적으로 맞서던 상황에서 반항심을 버리고 복종하거나 순종해 온 사람.
용례:
적의 심리전 비행기가 뿌린 전단이나 공중 방송은 들어 보면 귀순자들을 잘 대해 주고 무기를 가지고 가면 보상금도 준다고 그랬다.≪안정효, 하얀 전쟁≫
90. 귀순하다 (歸順하다) [귀:순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順(순할 순:)
적이었던 사람이 반항심을 버리고 스스로 돌아서서 복종하거나 순종하다.
용례:
- 적병은 무기를 버리고 귀순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 헌병 분견 소장은 그 지방에서 인망이 높던 그곳 면장을 은밀히 차도선에게 보내어 그만 귀순하기를 권하였다.≪한설야, 탑≫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